숲노래 책숲마실


흔들리지 않을 푸른꽃 (2019.9.24.)

― 서울 〈책방 사춘기〉


  바깥일을 보려고 서울마실을 합니다. 마침 2019년 한가을에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이 태어납니다. 새로 태어나는 책을 펴낸곳 일꾼하고 기리면서 저녁을 함께할 생각입니다. 저녁자리에 앞서 찻집 〈커피 문희〉에 들릅니다. 예전에는 달림벗(자전거 벗)으로 만났다면, 이제는 찻집손님으로, 또 서울마실길에 만나는 얘기벗으로 만나는 분이 커피를 내리거든요.


  저녁자리에 때맞춰 가야 하니 틈이 밭습니다만, 마을책집 〈책방 사춘기〉에 들러서 책 한 자락을 장만하자고 생각합니다. 저녁빛이 드리우는 골목을 걷습니다. 서울에서 저녁별을 보기는 어렵지만, 저쯤에 틀림없이 그 별이 있을 테지 하고 생각하면서 하늘바라기를 합니다. 서울에서 밤별을 헤아리는 이웃님이 얼마나 될는지 몰라도, 아마 밤별을 마음에 담아 하루를 아늑히 마무리짓고서 기쁘게 아침을 꿈꾸는 분이 많을 테지 하고도 생각합니다.


  아무리 복닥이는 서울 한복판이어도 골목 안쪽은 고즈넉합니다. 아무리 사람이 물결치는 서울 한가운데여도 마을길은 한갓집니다. 저는 푸른배움터를 다닐 적부터 길을 걸으며 책을 읽었어요. 열린배움터에 들어갈 뜻으로 책을 쥐지 않았습니다. 마음을 물음종이(시험지)에 빼앗기고 싶지 않아서, 마음을 오롯이 이 푸른별을 사랑하는 조촐한 길을 찾는 숨결로 채우고 싶어서, 아직 자그맣고 이름없고 힘없는 푸름이라 하더라도 스스로 씨앗이 되어 이 땅에 푸른숲을 이루는 걸음 한 자락이 되고 싶어서, 집하고 배움터 사이를 걸으며 책을 읽었어요. 흔들리고 어둑어둑한 함씽씽이(버스)에서도 책을 읽었지요.


  흔들리고 어두운 함씽씽이를 타고 책을 읽으면 눈 버리지 않느냐고 걱정하는 어른이나 동무가 있었지만, 외려 멍하니 있을 적에 눈이 버릴 듯하다고 대꾸했습니다. 길에서고 함씽씽이에서고 책이 들려주는 너른 삶길을 헤아리노라면 눈은 한결 밝을 테고 마음은 더욱 자라리라 여겼어요.


  어린책은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면서 누리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푸른책은 푸름이하고 손잡으면서 즐기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린책·푸른책은 다같이 사랑이 되어 살림을 슬기롭게 가꾸는 몸짓으로 피어나려는 뜻으로 쓰고 읽고 나눈다고 생각합니다.


  어린이는 숲입니다. 어른도 숲입니다. 숲은 아이 같습니다. 숲은 어른스럽지요. 두 결을 함께 품는 숲이면서 책이자 사람이고 삶이지 싶어요. 누구나 스스로 생각을 가꾸려는 마음이 되면 모든 말을 즐겁고 아름답게 짓는 하루가 된다는 줄거리를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에 담으려 했어요. 제 푸름이 나날을 떠올리면서 오늘 푸름이로 살아가는 동무이자 이웃한테 건네고 싶어 이 말꽃을 썼어요.


《수상한 해적선의 등장》(구도 노리코/김소연 옮김, 천개의바람, 2019.4.25.)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큰책집이 품을 살림을 그리며 (2018.11.11.)

― 진주 〈진주문고〉


  곰곰이 생각하니 저는 여태 큰책집 아닌 작은책집을 찾아다녔습니다. 책집이면 모두 책집이기에 크기로 가를 까닭은 없는데, 더 크고 넓은 곳보다는 더 작고 좁은 곳을 다녔어요. 왜 이렇게 조그마한 마을책집을 다녔는가 하고 생각하니, 큰책집에서는 책집지기나 책집일꾼을 만나기 어렵습니다. 큰책집에서는 지기나 일꾼하고 ‘책을 둘러싼 이야기’를 할 길이 없기도 하고, 책집을 빛꽃으로 담기가 어렵습니다. 커서 못 찍는 책집이 아닌, 책손이며 일꾼이며 ‘안 찍히’도록 다루기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이 아름다운 책집을 빛꽃으로 담아도 될까요?” 하고 물을 만한 일꾼이 누구인지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큰책집하고 작은책집이 참으로 다른 대목이라면, 책 갈래입니다. 흔히들 큰책집이라서 책이 더 많다고 여기곤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웬만한 큰책집은 ‘똑같은 책’을 잔뜩 쌓아 놓거나 여기저기에 똑같이 꽂곤 해요. 얼핏 책이 더 많아 보이고, 갓 나온 책도 바로바로 들어오는구나 싶은 큰책집이지만, 외려 작은책집에 책이 꽉꽉 들어찬다든지 한결 넓고 깊이 다루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큰책집에서는 ‘책을 가려서 꽂기가 어려울’ 텐데, 작은책집에서는 ‘반드시 책을 가려서 꽂아야 합’니다. 이러다 보니 큰책집은 책꽂이가 꽤 느슨해요. 이 땅에 태어난 책을 좋거나 나쁘다고 가를 수는 없습니다만, ‘장사에 치우친 책’이라든지 ‘알맹이가 허술한 책’이라든지 ‘얕은 눈썰미로 겉만 훑은 책’을 샅샅이 가르지는 못하는 우리나라 큰책집이라고 느껴요.


  다시 말하자면, 작은책집을 다닐 적에는 ‘작은책집 일꾼·지기 눈썰미’로 몇 판씩 걸러낸 책꽂이를 만나는 셈이요, 작은책집 책손은 ‘작은책집에서 걸러낸 책을 새롭게 걸러서 이녁 마음을 가꾸는 책빛을 만난다’고 하겠습니다.


  진주 〈진주문고〉는 진주라는 고장을 이슬처럼 밝히는 책터입니다. 책집을 확 뜯어고치는 일을 꽤 오래 헤아린 끝에 차근차근 벌였다지요. 칸칸이 새로 꾸미고 보태며 손대는 품이 많이 깃들었다고 느낍니다. 아직 더 손대는 길일 테니, 차근차근 발돋움하겠지요. 그런데 같은 책이 이곳저곳에 좀 너무 많구나 싶습니다. 똑같은 책을 이쪽에도 두고 저쪽에도 두기보다는, 다 다른 한결 넓고 깊은 책을 이쪽 다르고 저쪽 다르게 놓으면 나으리라 생각해요. 책시렁이 좀 느슨합니다. 넉넉한 자리를 알차게 건사하는 손길까지는 살짝 모자라 보여요. 큰책집은 큰책집답게 시원시원하면서 너른 품을 보이면 좋겠어요. 잘나가는 책을 한켠에 둔다면, ‘잘 안 나가’더라도 두고두고 새기면서 마음을 살찌울 책을 한켠에 함께 두기를 빌어요.


《해자네 점집》(김해자, 걷는사람, 2018)

《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보았다》(에르빈 토마/김해생 옮김, 살림, 2018)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책집지기도 쉰다 (2014.7.12.)

― 인천 〈아벨서점〉



  배다리 헌책집 〈아벨서점〉 지기님은 1975년부터 헌책집을 아주 조그마하게 열었고, 저는 바로 이해에 태어났습니다. 언뜻 보면 책집 같지도 않은, 구석에 책을 조금 쌓아둔, 그런 ‘쪽책집’이라 할 터전에서 첫발을 내딛은 〈아벨서점〉인데요, 쉼날이 따로 없이 오래도록 달려오다가 “이래서는 이 아름다운 책집을 더는 꾸릴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레마다 하루씩 쉬기로 하셨다지요.


  제가 이곳을 언제 처음으로 드나들었는 지는 모릅니다. 푸른배움터에 갓 들어가던 무렵에 배움책을 사러 들렀을는지 모르나, 그 일은 안 떠오릅니다. 어린배움터를 다닐 즈음에는 이 둘레에 동무가 많기에 으레 이 책집 앞을 지나다녔어요. 가만 보면, 배다리 책골목도 제 놀이터 가운데 한켠이었어요. 다만 어린 날에는 책보다는 놀이였고, 무엇보다 책을 살 돈이 매우 적었는데, 그러나 그때 헌책집을 알았다면 그림꽃책(만화책)을 사러 뻔질나게 드나들었을 텐데 싶더군요.


  처음에는 쉼날이 외려 쉽지 않았다지만, 이제는 쉼날이 있어 숨을 돌릴 뿐 아니라, 마을일을 돌보기도 하고, 스스로 삶이며 마음을 고요히 되새기는 고마운 하루가 된다고 합니다. 참말 그렇지요. 쉼날이란 몸뿐 아니라 마음이 ‘숨을 새로 쉬도록’ 하는 날이거든요. 저는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기 때문에 ‘휴일’ 같은 한자말을 안 쓸 마음이 아닙니다. ‘쉼날·쉬는날’이라고 말해야 이날이 어떤 빛이며 뜻인가를 제대로 밝혀 어린이도 알아들을 만해요.


  쉼날이란, 숨을 새로 생각하면서 쉬어 기운을 즐거이 찾는 날이에요. 쉬는날이란, 숨이 새로 솟도록 몸을 가만히 두어 마음에 새빛이 반짝반짝 나란히 솟도록 하는 날입니다. 나라지기도 쉬고, 책집지기도 쉽니다. 일꾼도 쉬고, 놀이꾼도 쉬지요. 모두모두 쉽니다. 풀꽃나무도 쉬고, 구름도 쉬어요. 바다랑 바다도 쉴 뿐 아니라, 비랑 눈도 쉽니다. 풀벌레도 멧새도 나란히 쉬고요.


  숨을 쉬기에 생각을 쉬고, 마음을 쉬기에 삶도 쉽니다. 자, 느긋이 쉬었나요? 그러면 다시 눈을 뜨고 기지개를 켜고서 번쩍 일어나기로 해요. 오늘 하루도 새삼스레 즐겁고 씩씩하게 맞이합니다.


  책집마실이란 책으로 쉬고, 책으로 노래하는 길입니다. 책숲마실이란 책으로 마음을 추스르고, 책으로 삶을 되새기는 걸음입니다. 마을책집은 마을에서 이웃이 오순도순 책으로 어우러지면서, 이 책으로 살림터를 손수 가꾸는 살림지기가 되는 살림꽃을 나누는 따사로운 만남터이자 샘터라고 여겨요.


  꾸덕살이 깊은 〈아벨서점〉 지기님 손을 빛꽃으로 담습니다. “뭘 또 이런 손을 찍나? 찍을 모습도 많을 텐데.” “저는 바로 이 손을 찍으려고 여기 왔어요.”

.

《낯선 정거장에서 기다리네》(박원식 글·신준식 사진, 리좀, 2005)

《웃음의 힘》(반칠환, 지혜, 2012)

《천년 사랑 아카시아》(김동화, 서울문화사, 1999∼2001)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어린이하고 동무하려는 어른으로 (2020.11.11.)

― 순천 〈도그책방〉



  순천 ‘그림책도서관’ 옆에 있던 〈도그책방〉이 ‘그림책도서관’ 코앞에 새 가게를 엽니다. 이제 “옆책집”하고 “앞책집”이 나란히 있는 셈이요, 그림책빛이 한결 싱그러이 퍼지는 길머리가 되는구나 싶습니다. 11월 11일에 해오름잔치를 꾀한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이모저모 바쁜 일거리를 11월 10일까지 얼추 매듭을 짓습니다. 그렇다고 그 일감이 다 끝나지는 않았지만 하루를 느긋이 보낼 만한 틈은 마련했습니다. 새벽처럼 일어나 동트는 하늘을 바라보며 마당을 콩콩 달리며 노는 작은아이한테 “보라 씨는 오늘 어떤 하루를 그리니?” 하고 묻습니다. “아버지는 순천에 다녀오려 하는데, 너는 어떠니?” 하고 덧붙입니다. “으, 음, 그러면 같이 갈래요.”


  집안일을 갈무리하고 빨래를 살피고는 11시 시골씽씽이(군내버스)로 읍내로 나갑니다. 순천으로 가는 씽씽이를 기다립니다. 순천에서 우체국에 들러 글월을 부치고, 작은아이 낮밥을 먹이며 해바라기를 합니다. 이제 천천히 걸어 〈도그책방〉에 닿습니다. 책집에 닿기까지 길에서 3시간을 보내는데, 순천에서 지내는 이웃님이라면 가벼운 차림새로 살랑살랑 걸어서 드나들 만하겠지요. 마을책집이란 마을에서 언제라도 바람결처럼 가벼이 찾아들면서 책빛을 누리는 터이니까요.


  앉을자리가 널찍한 이곳에서 다리를 쉬다가, 볕이 잘 드는 코앞 그림책도서관 잔디밭을 걷다가, 다시 그림책 한 자락을 손에 쥐다가, 새삼스레 붓을 쥐고 쪽글 한 꼭지를 쓸 만하지 싶습니다. 글이란 쫓기는 마음으로는 못 씁니다. 마감이 있더라도 마감이 아니라 ‘글을 짓는 우리 숨빛’하고 ‘글을 기다리는 이웃 눈빛’을 바라보기에 써내는 글입니다. 마감이 빠듯하더라도 마감이 아닌 ‘그림을 그리는 우리 숨결’하고 ‘그림을 기다리는 이웃 눈망울’을 헤아리기에 그리는 그림이에요.


  멋을 부리기에 멋나는 그림책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삶을 사랑으로 녹이는 살림님 손길로 포근하게 숲을 돌보는 푸른 눈빛이 되기에 어린이랑 동무하면서 나누는 그림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즈막에는 ‘어른끼리 나누려는 그림책’이 꽤 자주 나오고, 어른끼리 나누려는 그림책을 어린이한테 읽히는 분도 많습니다만, 앞으로는 ‘어린이하고 동무하려는 그림책’으로 거듭나면 좋겠어요. 바바라 쿠니 님도, 엘사 베스코브 님도, 윌리엄 스타이그 님도, 이와사키 치히로 님도, 가브리엘 벵상 님도, 언제나 어린이하고 동무하는 상냥하면서 슬기로운 숲마음 어른이었지 싶습니다. 이분들 그림책에는 늘 숲바람이 산들산들 불어요.


  작은아이가 “아버지 집에 언제 가요?” 하고 자꾸 묻습니다. 그래, 집으로 돌아가야지. 다시 3시간을 들여 집으로 돌아갑니다. 집에 닿으니 별이 쏟아집니다.

.

.

《내가 책이라면》(쥬제 죠르즈 레트리아 글·안드레 레트리아 그림/임은숙 옮김, 국민서관, 2012.11.26.)

《황새 봉순이》(김황 글·사이다 그림, 킨더랜드, 2020.7.15.)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나무한테 곁을 두는 눈빛 (2020.10.10.)

― 서울 〈나무 곁에 서서〉


  부산, 파주, 서울, 이렇게 다른 고장에서 하룻밤씩 묵은 시월 첫머리 아침입니다. 밝게 퍼지는 햇빛을 받으면서 일어나 하루를 그립니다. 그동안 장만한 책을 자리에 죽 펼쳐서 짐을 새로 여밉니다. 등짐이 되도록 덜 무겁도록 추스르지만 사흘을 바깥에서 묵으며 장만한 책이 꽤 많습니다.


  시골집에서는 멧새가 노래하며 새벽을 알린다면, 큰고장에서는 자동차가 붕붕거리며 아침을 알립니다. 시골집에서는 풀내음이랑 이슬로 날씨를 읽는다면, 큰고장에서는 아무래도 손따릉이나 보임틀을 켜서 날씨를 헤아리겠지요. 바람을 알려면 바람을 만나고, 바다를 알려면 바다를 만나고, 나무를 알려면 나무를 만날 노릇입니다. 이웃을 알려면 이웃을 만나고, 이웃나라를 알려면 이웃나라를 만나야겠지요.


  책으로만 사귄대서 알지 못해요. 숲책(환경책)을 곁에 두기에 숲을 알지 않아요. 다만, 숲책은 큰고장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이 숲한테 한 발짝 다가서려고 마음을 기울이는 눈빛이 되리라 봅니다. 숲책 한 자락은 큰고장하고 시골을 넘나들면서 푸르게 피어날 살림길을 스스로 생각하도록 이끄는 징검돌 하나가 될 만하지 싶어요.


  아침빛을 누리면서 〈나무 곁에 서서〉로 찾아갑니다. 손따릉을 켜서 길그림을 살피는데 이쪽저쪽이 헷갈립니다. 시골에서라면 하늘이라든지 바람으로 길을 읽을 텐데, 서울에서는 영 종잡지 못하겠어요. 이리 가다가 저리 돌고서야 비로소 책집이 깃든 쪽을 알아차립니다.


  서울 하늬녘에 깃든 책집은 조촐합니다. 곁에는 꽤 우람하구나 싶은 지음터(공장)가 있었다 하고, 그곳 옆마당에는 나무도 우람합니다. 겹겹으로 올린 집이 높기에 하늘은 손바닥만큼도 안 되지만, 이 조그마한 틈으로도 구름빛이며 하늘빛을 헤아립니다.


  어느 분은 “숲책만 갖추고서 장사가 되요?” 하고 물을는지 몰라요. 저는 “오롯이 숲책으로 장사를 하는 마을이 되고 나라가 되면, 이 나라는 푸른나라·숲나라·아름나라로 나아갈 만하지요!” 하고 얘기하겠습니다.


  모든 밥은 숲에서 옵니다. 모든 옷이며 집도 숲에서 옵니다. 숲이 푸르기에 바다가 맑아요. 숲이 넘실대기네 서울도 서울스러웁니다. 숲이 아름드리로 자라기에 아이들은 느긋하게 뛰놀면서 참한 어른으로 빛나는 길을 가겠지요.


  나무 곁에 서서 나무가 들려주는 노래를 듣습니다. 나무 곁에 서서 나무가 꿈꾸는 사랑을 바라봅니다. 나무 곁에 서서 얼마나 많은 멧새랑 풀벌레랑 벌나비랑 숲짐승이 이곳으로 찾아들어 어우러지는가를 듬뿍 누립니다.

.

《고양이와 책을》(안토니오 벤투라 글·알레한드라 에스트라다 그림/김정하 옮김, 딸기책방, 2019.4.22.)

《사계절 곤충 탐구 수첩》(마루야마 무네토시 글·주에키 타로 그림/김항율 옮김, 동양북스, 2020.7.15.)

《내 이웃의 동물들에게 월세를 주세요》(마승애 글·안혜영 그림, 노란상상, 2020.6.20.)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책숲마실 파는곳]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683120

[숲노래 사전] https://book.naver.com/search/search.nhn?query=%EC%88%B2%EB%85%B8%EB%9E%98&frameFilterType=1&frameFilterValue=35952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