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05) 최초의


 최초의 로봇 → 처음 나온 로봇

 최초의 라면 → 맨 처음 라면

 최초의 자동차 → 처음 만든 자동차


  한자말 ‘최초(最初)’는 “맨 처음”을 뜻합니다. “세계 최초이다”라든지 “최초의 발견”이라든지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자동차”처럼 쓰기도 합니다만, “세계에서 처음이다”나 “첫 발견”이나 “우리나라 첫 국산 자동차”로 고쳐쓸 수 있어요.


  ‘처음’이라고만 써도 되는데 ‘맨’을 앞에 붙여서 “맨 처음”이라고 하면 뜻을 한결 힘주어서 나타내는 셈입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처음’을 “시간적으로나 순서상으로 맨”으로 풀이합니다. 이 같은 말풀이라면 ‘최초’를 “맨 처음”처럼 풀이할 적에는 얄궂은 겹말이 됩니다.


  아무튼, ‘처음’으로만 써도 되고, 뜻을 힘주어 나타내고 싶다면 “맨 처음”이나 “가장 처음”으로 적으면 됩니다. 4348.8.12.물.ㅅㄴㄹ



이들은 세상을 창조한, 최초의 신들이 아니었어. 맨 처음의 일곱 신은 결코 싸우지 않았거든

→ 이들은 온누리를 지은, 첫 하느님이 아니었어. 맨 처음 일곱 하느님은 싸우지 않았거든

《마르코스/박정훈 옮김-마르코스와 안토니오 할아버지》(다빈치,2001) 17쪽


숨막힐 듯한 순간, 최초의 한 음만 내고 나면, 마음이 가라앉는다

→ 숨막힐 듯한 때에, 첫 소리 하나만 내고 나면, 마음이 가라앉는다

《이시키 마코토-피아노의 숲 12》(삼양출판사,2006) 48쪽


광자쌍의 얽힘을 테스트한 최초의 인물 중 한 사람

→ 광자쌍 얽힘을 실험한 첫 사람들 가운데 하나

《니콜라스 지생/이해웅,이순칠 옮김-양자우연성》(승산,2015) 1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03) -의 : 과학적 접근방식의 성공


그 당시까지 누구의 눈길도 받지 못한 버려진 것들

→ 그때까지 누구한테서도 눈길을 받지 못한 버려진 것들

→ 그무렵까지 누구 눈길도 받지 못한 버려진 것들

《야나기 무네요시/이목 옮김-수집 이야기》(산처럼,2008) 101쪽


  ‘그 당시(當時)’는 ‘그때’나 ‘그무렵’으로 손봅니다.


이 문제에 대한 자신들의 과학적 접근방식의 성공에 만족한 앨리스

 이 문제를 과학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성공하여 기쁜 앨리스

→ 이 문제에 과학으로 다가설 수 있어 기쁜 앨리스

→ 이 문제를 과학으로 바라볼 수 있어 기쁜 앨리스

《니콜라스 지생/이해웅,이순칠 옮김-양자우연성》(승산,2015) 40쪽


  ‘-에 대(對)한’은 번역 말투입니다. 이 번역 말투하고 ‘-의’이 맞붙은 글월입니다. “과학적(-的) 접근방식(接近方式)”은 “과학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나 “과학으로 다가설”로 손볼 만합니다. ‘성공(成功)하여’는 ‘이루어’로 손질할 수 있는데, 이 글월에서는 앞말하고 묶으면서 ‘-ㄹ 수 있어’로 풀어낼 만합니다. ‘만족(滿足)한’은 ‘기쁜’으로 손봅니다.


학생들의 작지만 중요한 반항의 경험들이

→ 학생들이 반항했던 작지만 중요한 경험이

→ 학생들이 반항했던 작지만 큰 경험이

→ 학생들이 반항했던 작지만 뜻깊은 경험이

《전쟁없는세상-저항하는 평화》(오월의봄,2015) 286쪽


  글짜임이 엉성한 탓에 ‘-의’를 두 군데에나 넣습니다. 글짜임만 바로잡으면 ‘-의’는 모두 사라집니다. “중요(重要)한 경험”은 그대로 두어도 되고, “큰 경험”이나 “뜻깊은 경험”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양반제라는 구제불능의 제도를 접한 나는

→ 양반제라는 구제불능 제도를 들은 나는

→ 양반제라는 바보스러운 제도를 들은 나는

《사노 요코/이지수 옮김-사는 게 뭐라고》(마음산책,2015) 144쪽


 ‘구제 불능(救濟 不能)’은 “도울 수 없는”을 뜻하지만, 이 글월에서는 “바보스러운”이나 “어처구니없는”이나 “터무니없는”을 가리키는구나 싶습니다. ‘접(接)한’은 ‘들은’으로 손질합니다. 4348.8.12.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08) 각고의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다

→ 뼈를 깎듯이 온힘을 기울이다

→ 뼈를 깎듯이 애쓰다

 각고의 연구 끝에

→ 뼈를 깎는 연구 끝에

→ 뼈를 깎듯 연구한 끝에


  ‘각고(刻苦)’는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어려움을 견디며 몸과 마음을 다하여 무척 애를 씀”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흔히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다”처럼 쓰는데, “뼈를 깎도록 애쓰다”나 “뼈를 깎을 만큼 애쓰다”로 다듬으면 잘 어울립니다. 또는 ‘피나다’라는 낱말을 넣을 수 있어요. “피나게 애쓰다”나 “피나는 연구 끝에”처럼 쓸 만해요.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노력(努力)’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을 뜻합니다. “각고의 노력”처럼 말하면 “몸과 마음을 다하여 애를 씀”이라는 뜻을 ‘-의’를 사이에 두고 잇달아 적는 셈입니다. 마치 “노력의 노력을 기울이다”나 “각고의 각고를 기울이다”처럼 쓰는 셈이라고 할까요.


 온힘을 기울이다 . 온힘을 쏟다

 온마음을 다하다 . 온마음을 바치다


  “온몸을 바쳐 애쓰다”라든지 “온마음을 쏟으며 애쓰다”처럼 쓰면 됩니다. “온몸을 바치듯이 애쓰다”라든지 “온마음을 쏟듯이 애쓰다”처럼 써도 됩니다. 4348.8.10.달.ㅅㄴㄹ



한 꿈많은 소녀가 자신이 타고난 소질로서의 육체를 각고의 노력으로 갈고 다듬어 예술품처럼 만인 앞에 내세우려는 자신의 욕구에 충실한다고 그것이 잘못된 일은 아니다

→ 꿈 많은 소녀가 제 타고난 재주로서 몸을 피나게 갈고 다듬어 예술품처럼 뭇사람 앞에 내세우려는 뜻을 펼친다고 이 일이 잘못은 아니다

《구혜영-세월의 강물소리》(유아개발사,1979) 196쪽


진정한 시와 시인은 어느 시기에 별안간 선택되는 것이 아니고 오랜 각고의 탐색 끝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 참된 시와 시인은 어느 때에 느닷없이 고를 수 있지 않고 오래 애쓰고 살핀 끝에 이루어진다는 대목을 헤아릴 때

《조태일-고여있는 시와 움직이는 시,전예원(1980)> 111쪽


이러한 각고의 노력으로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며 우리말 표기에 가장 적절한 문자를 발명하신 것이다

→ 이렇게 피나게 애써서 세계에서 가장 훌륭하며 우리말을 적기에 가장 알맞은 글자를 지으셨다

《정광-한글의 발명》(김영사,2015) 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1727) 과학적


 과학적 사고력을 키운다

→ 과학으로 생각하는 힘을 키운다

→ 슬기롭게 생각하는 힘을 키운다

→ 짜임새 있게 생각하는 힘을 키운다

 과학적인 증명을 해 보자

→ 과학으로 증명을 해 보자

→ 차근차근 밝혀 보자

→ 빈틈없이 밝혀 보자


  ‘과학적(科學的)’은 “과학의 바탕에서 본 정확성이나 타당성이 있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정확성(正確性)’은 “바르고 확실한 성질”을 뜻하고, ‘타당성(妥當性)’은 “사물의 이치에 맞는 옳은 성질”을 뜻한다 합니다. ‘확실(確實)’은 “틀림없이 그러함”을 뜻하고, ‘이치(理致)’는 “정당한 조리”라 하며, ‘정당(正當)’은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함”을 뜻하고, ‘조리(條理)’는 “앞뒤가 맞고 체계가 서는 갈피”라 합니다. 그러니까, “틀리지 않음, 올바름, 빈틈없음”에다가 “마땅함, 앞뒤가 맞음(알맞음), 튼튼히 섬”을 나타낸다고 할 만한 ‘과학적’입니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틀리지 않음, 올바름, 빈틈없음”에다가 “마땅함, 앞뒤가 맞음(알맞음), 튼튼히 섬”처럼 말하면 되는 자리에 구태여 ‘과학적’을 쓴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학문에서 쓰는 이름인 ‘과학’이라면 과학일 뿐이고, ‘-적’을 붙이는 “과학적으로 말하다”나 “과학적으로 생각하다” 같은 자리에서는 다른 뜻이라고 보아야지 싶습니다.


 과학적 원리 → 과학 원리

 과학적 지식 → 과학 지식

 과학적 관리 → 빈틈없는 관리

 과학적 대답 → 빈틈없는 대답


  과학을 바탕으로 생각한다면 “과학을 바탕으로 생각(← 과학적 사고)”하는 일입니다. 과학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한다면 “과학을 바탕으로 말(← 과학적 설명)”하는 일이고요. 과학에 따라 살피면 “과학에 따라 생각(← 과학적인 탐구)”하는 일이에요. 그러나 우리들은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하는 일을 제대로 말하지 못합니다. 있는 그대로 말하지 못하고 말아요.


  자꾸 ‘-적’을 붙여서 ‘과학적’이 됩니다. 때로는 ‘수학적’이 됩니다. 때로는 ‘문학적’이 되고, 때에 따라서는 ‘철학적’이 되고 ‘정치적’이 되며 ‘경제적’이 됩니다. ‘-적’을 붙이면서 “어떤 학문에 바탕을 둔”을 나타낸다고 생각할는지 모르지만, 우리 스스로 이런 생각에 젖어들면서 우리 생각을 외려 더 두루뭉술하게 보여주고 맙니다.

 

 과학에 따라

 과학을 바탕으로

 과학으로

 과학을 헤아리며

 

  ‘어떤 과학’을 하는지를 제대로 밝혀야 합니다. ‘어떻게 하는 과학’인지를 살뜰히 보여주어야 합니다. ‘어떤 바탕’인지를 낱낱이 이야기해야 합니다. 그저 과학이라면 ‘과학’ 한 마디면 넉넉합니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사건을 풀어” 나갔다고 한다면, 이 ‘과학적’이란 무엇을 가리킬까요. 탐정이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과학을 아주 잘 알아서 과학을 바탕으로 문제를 풀었다는 소리일까요? 빈틈없이 살피고 하나하나 헤아리면서 앞뒤를 잘 이은 끝에, 숨겨진 모두를 알아냈다는 소리일까요? 4348.8.10.달.ㅅㄴㄹ




그러기 위해서는 또 학습 방법을 과학적으로 개선하고

→ 그러자면 또 배우는 방법을 차근차근 고치고

→ 그러자면 또 배우는 방법을 슬기롭게 가다듬고

→ 그러자면 또 배우는 방법을 짜임새 있게 손질하고

→ 그러자면 또 배우는 방법을 야무지게 손보고

《찌까즈 께이시/김성원 옮김-참 교육의 돛을 달고》(가서원,1990) 101쪽


그보다는 오히려, 이민노동자들이 불안과 불행으로 인해서 두세 배나 더 고통을 받고 있다고 말하는 편이 더욱 과학적일 것이다

→ 그보다는 오히려, 이민노동자들이 두려움과 슬픔 때문에 두세 곱이나 더 괴롭다고 말해야 더욱 올바르다

→ 그보다는 오히려, 이민노동자들이 두려움과 슬픔 때문에 두세 곱이나 더 괴롭다고 말해야 더욱 알맞으리라

《존 버거,장 모르/김현우 옮김-행운아》(눈빛,2004) 159쪽


하늘과 땅만큼의 차이가 있는 것을 덮어두고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따위의 기준으로 헤아리는 것은 너무나 과학적이지 못합니다

→ 하늘과 땅만큼 다른 대목을 덮어두고 생물 산소요구량 같은 잣대로 헤아리자면 너무나 과학하고 동떨어집니다

《요시다 도시미찌/홍순명 옮김-잘 먹겠습니다》(그물코,2007) 47쪽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결론은 아주 과학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결론은 아주 훌륭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결론은 아주 옳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생각은 아주 빈틈없구나 싶었습니다

→ 아무리 생각해 봐도 내가 내린 생각은 아주 그럴싸했습니다

《노경실-엄마 친구 아들》(어린이작가정신,2008) 30쪽


한글이 과학적인 것은

→ 한글이 과학인 까닭은

→ 한글이 빈틈없는 까닭은

→ 한글이 훌륭한 까닭은

《정광-한글의 발명》(김영사,2015) 2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1726) 직접적


 입산하게 된 직접적 동기

→ 산에 들어간 바로 그 까닭

 직접적으로 관련된

→ 곧바로 이어진

→ 고스란히 얽힌

 직접적으로 말해 주세요

→ 바로 말해 주세요

→ 있는 그대로 말해 주세요


  ‘직접’이라는 한자말에 ‘-적’을 붙인 ‘직접적(直接的)’입니다. 예전에는 한국말사전에서 이 말마디를 “중간에 아무것도 개재시키지 아니하고 바로 연결되는”으로 풀이했는데, 요새는 “중간에 제삼자나 매개물이 없이 바로 연결되는”으로 풀이합니다. 여기에서 ‘개재(介在)’는 ‘끼어듦’으로 고쳐쓸 낱말이고, ‘연결(連結)’은 ‘이음’을 뜻해요. 그리고 두 가지 뜻풀이에 ‘바로’라는 한국말이 나옵니다. 그러니까 “끼어드는 것 없이 바로 이어지는” 무엇을 가리키려고 ‘직접적’이라는 한자말을 빌어서 쓰는 셈입니다.


 직접적으로 당해 보지 않으면

→ 직접 당해 보지 않으면

→ 바로 겪어 보지 않으면

→ 몸소 겪어 보지 않으면

 내가 그 사람을 직접적으로 만나 보겠다

→ 내가 그 사람을 직접 만나 보겠다

→ 내가 그 사람을 바로 만나 보겠다

→ 내가 그 사람을 몸소 만나 보겠다


  한자말 ‘직접’을 쓰고 싶다면 쓰되, ‘-적’을 붙여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다”가 아닌 “직접 피해를 입다”로 쓸 노릇이고, “직접적으료 효과가 있다”가 아닌 “직접 효과가 있다”로 쓸 노릇입니다. 더 살펴보면 “곧바로 피해를 입다”나 “곧바로 효과가 있다”로 고쳐쓸 만해요.


  “직접적으로 말하다”는 “직접 말하다”로 손볼 노릇인데 “바로 말하다”나 “대놓고 말하다”나 “낱낱이 말하다”로 더 손질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으로 알려주다”는 “직접 알려주다”로 손볼 만하면서, “바로 알려주다”로 다시금 손질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는 ‘-적’만 덜기보다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나 “콕 집을 만한 증거가 없다”로 손볼 때에 잘 어울립니다. 4348.8.10.달.ㅅㄴㄹ



직접적으로 말하면 오히려 ‘다구상에게 끌려가는 차’로 떨어졌다고 평해도 좋다

→ 대놓고 말하면 오히려 ‘다구 장사한테 끌려가는 차’로 떨어졌다고 해도 좋다

→ 있는 그대로 말하면 오히려 ‘다구 장사한테 끌려가는 차’로 떨어졌다고 해도 좋다

《야나기 무네요시/김순희 옮김-다도와 일본의 미》(소화,1996) 97쪽


불량청소년을 만드는 가장 직접적인 이유 가운데 하나가 ‘아버지’였다

→ 불량청소년을 만드는 까닭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버지’였다

→ 청소년을 나쁜 길로 내몬 까닭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아버지’였다

《최민희-황금빛 똥을 누는 아기》(다섯수레,2001) 14쪽


직접적으로 느낄 수 없는 추상적인 개념을 받아들이기는

→ 직접 느낄 수 없는 추상 개념을 받아들이기는

→ 살갗으로 느낄 수 없는 이야기를 받아들이기는

《로리 팰라트닉,밥 버그/김재홍 옮김-험담》(씨앗을뿌리는사람,2003) 31쪽


이런 에너지가 저의 신경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 같아요

→ 이런 기운이 제 신경계에 그대로 영향을 미친 듯해요

→ 이런 기운이 제 신경계에 고스란히 영향을 미친 듯해요

→ 이런 기운이 제 신경계에 곧바로 스며든 듯해요

《바바라 호버맨 레바인/박윤정 옮김-병을 부르는 말, 건강을 부르는 말》(샨티,2004) 207쪽


재일 한국인은 남북분단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해외동포입니다

→ 재일 한국인은 남북분단 영향을 고스란히 받는 해외동포입니다

→ 재일 한국인은 남북분단 영향을 바로바로 받는 해외동포입니다

→ 재일 한국인은 남북분단 영향을 온몸으로 받는 해외동포입니다

《강재언,김동훈/하우봉,홍성덕 옮김-재일 한국·조선인, 역사와 전망》(소화,2005) 7쪽


직접적인 파스파 문자의 제정 동기는 몽고 위구르자가 한자의 발음을 전사하기가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파스파 글자를 지은 까닭은 바로 몽고 위구르 글자가 한자 소리를 옮겨적기가 알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광-한글의 발명》(김영사,2015) 121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