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93) 흥興


 흥이 나다 → 재미가 나다 / 신이 나다

 흥을 깨뜨리다 → 재미를 깨뜨리다 / 신바람을 깨뜨리다

 흥을 돋우었다 → 재미를 돋우었다 / 즐거움을 돋우었다


  ‘흥(興)’이라는 한자는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감정”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재미나 즐거움을 일어나게 하는 기운은 바로 ‘신’이나 ‘신바람’ 같은 한국말로 가리킵니다.

  한국말로 ‘신·신바람’을 쓰면 됩니다. 이야기 흐름에 따라서 ‘재미·즐거움·기쁨’ 같은 낱말을 쓸 수 있습니다. 살을 붙여서 “신나는 잔치”라든지 “즐거운 잔치판”이라든지 “재미난 놀이마당”처럼 써 보아도 잘 어울립니다. 4348.8.25.불.ㅅㄴㄹ



이어도라는 상상 속의 유토피아라는 희망이 있는 한, 헐벗고 굶주려도 섬의 토박이들은 흥이 절로 났다

→ 이어도라는 꿈처럼 멋진 나라가 있는 동안, 헐벗고 굶주려도 섬 토박이들은 신바람이 절로 났다

→ 이어도라는 꿈나라 같은 멋진 곳이 있다고 생각하면, 헐벗고 굶주려도 섬 토박이들은 신이 절로 났다

《김영갑-섬에 홀려 필름에 미쳐》(하날오름,1996) 196쪽


그날을 가득 채운 소리들과 흥겨움을 작품 속에 표현했습니다

→ 그날을 가득 채운 소리와 즐거움을 작품에 담았습니다

→ 그날을 가득 채운 소리와 재미를 작품에 나타냈습니다

→ 그날을 가득 채운 소리와 신바람을 작품에 그렸습니다

《모디캐이 저스타인/천미나 옮김-찰리는 무엇을 들었을까?》(보물창고,2006) 31쪽


이 이미 다 깨져 버렸던 것이다

 재미가 이미 깨져 버렸던 셈이다

 즐거움이 이미 깨져 버렸던 셈이다

 즐거운 잔치는 이미 깨져 버렸다

 신나는 잔치는 이미 깨져 버렸다

《벤 마이켈슨/홍한별 옮김-나무소녀》(양철북,2006) 39쪽


돌돌돌 흥겹게 굴러갔는데

→ 돌돌돌 즐겁게 굴러갔는데

→ 돌돌돌 신나게 굴러갔는데

《박일환-엄마한테 빗자루로 맞은 날》(창비,2013) 86쪽


(최종규/숲노래 . 2015-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96) 우리의


 우리의 사랑은 아름답다 → 우리 사랑은 아름답다

 우리의 길을 막지 마라 → 우리 길을 막지 마라

 우리의 소원은 통일 → 우리 꿈은 통일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우리 소리를 찾아서


  우리는 틀림없이 ‘우리’ 말을 합니다. ‘우리의’ 말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는 나라는 ‘우리’ 나라이지, ‘우리의’ 나라가 아닙니다. 그렇지만 이처럼 생각을 못하는 분이 자꾸 늘어납니다. 우리 스스로 우리가 쓰는 말을 생각하는 줄기가 꺾이기 일쑤입니다.


  “우리 집”이나 “우리 오빠”처럼 쓰는 ‘우리’입니다. “우리의 집”이나 “우리의 오빠”처럼 쓰지 않는 ‘우리’입니다. 어머니도 아버지도 “우리 어머니”요 “우리 아버지”입니다. ‘우리’라는 낱말에는 ‘-의’를 붙일 수 없고, ‘-의’를 붙이지 않습니다. “우리의 갈 길” 같은 자리는 “우리가 갈 길”로 바로잡습니다. 4348.8.25.불.ㅅㄴㄹ



우리의 다음 세대에게 얼마나 더 큰 비극과 고통을 안겨 줄 것인가

→ 우리 다음 세대한테 얼마나 더 큰 아픔과 슬픔을 안겨 줄까

→ 우리 다음 아이들한테 얼마나 더 큰 슬픔과 괴로움을 안겨 줄까

《박병태-벗이여, 흙바람 부는 이곳에》(청사,1982) 78쪽


우리의 교육현실이 친구가 되어야 할 학생들을 이렇게 갈라서게 만들고 있습니다

→ 우리 교육현실이 친구가 되어야 할 학생들을 이렇게 갈라서게 합니다

《천주교사회문제연구소-분단시대의 성찬과 평화》(일과놀이,1990) 24쪽


낮은 볼에 약하다 해도 계속 그쪽으로만 던진 우리의 잘못이다

→ 낮은 볼을 못 친다 해도 자꾸 그쪽으로만 던진 우리 잘못이다

→ 낮은 볼을 못 친다 해도 자꾸 그쪽으로만 던진 우리들 잘못이다

→ 낮은 볼을 못 친다 해도 자꾸 그쪽으로만 던진 우리가 잘못했다

→ 낮은 볼을 못 친다 해도 자꾸 그쪽으로만 던진 우리가 잘못했지

《산바치 카와/편집부 옮김-4번 타자 왕종훈 11》(서울문화사,1994) 13쪽


우리의 제일 높은 산 이름 / 우리의 제일 오랜 산 이름

→ 우리 가장 높은 산 이름 / 우리 가장 오랜 산 이름

 우리한테 가장 높은 산 이름 / 우리한테 가장 오랜 산 이름

→ 우리 나라 가장 높은 산 이름 / 우리 나라 가장 오랜 산 이름

 우리 땅 가장 높은 산 이름 / 우리 땅 가장 오랜 산 이름

→ 우리 겨레 가장 높은 산 이름 / 우리 겨레 가장 오랜 산 이름

《남호섭-타임 캡슐 속의 필통》(창비,1995) 146쪽


하나님이 우리의 보호자시며 동반자시라면

→ 하나님이 우리 보호자시며 동반자시라면

→ 하나님이 우리를 지키고 함께하는 분이시라면

→ 하나님이 우리를 보살피고 함께하신다면

《간디-날마다 한 생각》(호미,2001) 165쪽


이 푸른 별에는 우리 ‘인간’들보다 먼저 생명을 키워 온 식물과 새와 물고기들이 우리의 ‘선배’로서 살고 있었다

→ 이 푸른 별에는 우리 ‘사람’들보다 먼저 목숨을 키워 온 푸나무와 새와 물고기가 우리 ‘선배’로서 살았다

《이와타 켄자부로/이언숙 옮김-백 가지 친구 이야기》(호미,2002) 머리말


우리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을 거야

→ 우리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을 테지

→ 우리가 하려는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아

→ 우리가 왜 그런 말을 하는지 들으려고 하지 않아

《쿠루사,모니카 도페르트/최성희 옮김-놀이터를 만들어 주세요》(동쪽나라,2003) 22쪽


그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 우리의 영혼이 영원한 기쁨을 누릴 수 있는지 없는지는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 어떻게 하느냐는 우리 몫이다 … 우리 넋이 언제까지나 기쁨을 누릴 수 있는지 없는지는 우리가 하기에 달렸다

《로리 팰라트닉,밥 버그/김재홍 옮김-험담》(씨앗을뿌리는사람,2003) 24, 32쪽


진리(참됨)는 우리의 실천이 있을 때 비로소 참이다

→ 진리(참됨)는 우리 실천이 있을 때 비로소 참이다

→ 진리(참됨)는 우리가 실천할 때 비로소 참이다

→ 진리(참됨)는 우리가 몸으로 보여줄 때 비로소 참이다

《프란츠 알트-생태주의자 예수》(나무심는사람,2003) 14쪽


우리의 경로는 양옆의 바위 언덕으로 둘러싸인 이 호수를 에둘러 가는 것이었다

→ 우리는 바위 언덕으로 둘러싸인 이 못을 에두르는 길을 간다

→ 우리는 바위 언덕으로 둘러싸인 이 못을 에둘러 가기로 했다

《쿤가 삼텐 데와창/홍성녕 옮김-티벳전사》(그물코,2004) 98쪽


우리의 다음 정류지는 타왕이었다

 우리가 다음에 쉴 곳은 타왕이었다

 우리가 다음에 머물 곳은 타왕이었다

 우리는 다음에 타왕에 머무른다

→ 우리는 다음으로 타왕에 머무를 생각이었다

 다음으로 우리가 쉴 곳은 타왕이었다

→ 다음으로 우리는 타왕에 간다

《쿤가 삼텐 데와창/홍성녕 옮김-티벳전사》(그물코,2004) 262쪽


우리의 상상력을 초월하는

 우리 상상력을 뛰어넘는

 우리 생각을 뛰어넘는

 우리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 우리는 꿈도 못 꾸는

 우리는 생각조차 못한

《박용남-작은 실험들이 도시를 바꾼다》(시울,2006) 13쪽


늘 거기에 계신 분들이다. 우리의 삶의 터전, 동네에 계신 분들이다

→ 늘 거기에 계신 분들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 동네에 계신 분들이다

→ 늘 거기에 계신 분들이다. 우리 삶터, 동네에 계신 분들이다

《작가들》 22호(2007년 가을) 316쪽


고향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도심 하천은 이제 이룰 수 없는 우리의 꿈이 되는가

→ 고향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도심 냇물은 이제 이룰 수 없는 우리 꿈이 되는가

→ 고향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도심 냇물은 이제 이룰 수 없는 꿈이 되는가 

→ 고향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도심 냇물은 이제 우리가 이룰 수 없는 꿈이 되는가

《전수일-페놀소동》(작가마을,2008) 173쪽


중국사람들은 사원을 부수고, 우리의 보물을 중국으로 가져갔습니다

→ 중국사람들은 사원을 부수고, 우리 보물을 중국으로 가져갔습니다

→ 중국사람들은 절을 부수고, 우리 나라 보물을 중국으로 가져갔습니다

→ 중국사람들은 절을 부수고, 우리 겨레 보물을 중국으로 가져갔습니다

《티베트 난민 어린이들/베블링 북스 옮김-평화를 그리는 티베트 친구들》(초록개구리,2008) 137쪽


우리의 의식은 언젠가부터 자연의 진리에서 슬며시 끊어졌다

 우리 마음은 언젠가부터 자연에 깃든 진리와 슬며시 끊어졌다

 우리 마음은 언젠가부터 참다운 자연과 슬며시 끊어졌다

《문숙-문숙의 자연식》(샨티,2015) 9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1706) 무리


 그건 내 능력으로는 무리이다

→ 그 일은 내 재주로는 어렵다

→ 그 일은 내 힘으로는 못 한다

→ 그 일은 내 힘이 닿지 않는다

 그렇게 화를 내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 그렇게 성을 낼 만도 하다

→ 그렇게 성을 낼 만하기도 하다

 무리하지 말고 집에서 쉬세요

→ 힘쓰지 말고 집에서 쉬세요

→ 애쓰지 말고 집에서 쉬세요


  ‘무리(無理)’는 “도리나 이치에 맞지 않거나 정도에서 지나치게 벗어남”을 뜻한다고 합니다. 예전 한국말사전에서는 ‘무리’를 “하기 곤란함”으로 풀이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곤란(困難)’은 “사정이 몹시 딱하고 어려움”을 뜻해요. 그러니까, 한자말 ‘무리 = 어려움’인 셈입니다.


  글흐름에 따라 ‘억지’나 ‘어거지’ 같은 낱말로 손볼 수 있어요. “너무 무리하지 마세요”는 “너무 힘쓰지 마세요”로 손볼 만하면서 “억지로 하지 마세요”처럼 손볼 수 있습니다. “무리하게 일을 하다”는 “억지로 힘을 하다”나 “억척스레 일을 하다”로 손볼 수 있어요. “무리한 계획”은 “힘든 계획”이나 “억지스러운 계획”이나 “터무니없는 계획”이나 “말도 안 되는 계획”으로 손볼 만하고, “무리한 체중 감량”은 “억지스러운 몸무게 줄이기”쯤으로 손봅니다. 4348.8.25.불.ㅅㄴㄹ



문제는 공장 안에서 일어났는데 공장 밖에서의 해결책이란 무리이기 때문이다

→ 이 일은 공장에서 일어났는데 공장 밖에서 실마리를 찾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 일은 공장에서 일어났는데 공장 밖에서 풀이법을 찾기란 힘들기 때문이다

《청춘 1집》(공동체,1985) 15쪽


아빠는 젊은 선생님과 테니스를 치는 건 무리라고 했어요

→ 아빠는 젊은 선생님과 테니스를 하기는 힘들다고 했어요

→ 아빠는 젊은 선생님과 테니스를 하기는 어렵다고 했어요

《키시카와 에츠코/노래하는 나무 옮김-힘내라! 내 동생》(꿈터,2005) 22쪽


사실 아직 변신도 못해서 사람 사는 곳에 가기는 무리예요

→ 그런데 아직 몸을 바꿀 줄 몰라서 사람 사는 곳에는 못 가요

→ 그런데 아직 몸을 바꿀 줄 몰라서 사람 사는 곳에 가기는 힘들어요

→ 그런데 아직 몸을 바꿀 줄 몰라서 사람 사는 곳에는 갈 수 없어요

《배유안-분황사 우물에는 용이 산다》(파란자전거,2010) 18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 좀 생각합시다 5


 SKY 대학


  저는 국민학교 여섯 해를 다니면서 늘 놀았습니다. 다달이 치르고, 학기마다 두 차례씩 치르고, 틈틈이 치르고, 시에서 치르는 온갖 시험이 그치지 않았지만, 또 시험을 치를 적마다 담임교사는 몽둥이를 들었지만, 언제나 신나게 뛰놀았습니다. 중학교에 들어가서 새벽부터 밤까지 학교에 붙들리며 입시공부를 해야 하는 때부터 비로소 대학교라는 곳을 그렸습니다. 이때에 둘레에서는 ‘SKY 대학’을 으뜸으로 쳤습니다. 제가 살던 고장에 있는 대학교는 아주 밑바닥으로 쳤습니다.


  왜 같은 고장 사람들이 같은 고장에 있는 대학교를 밑바닥처럼 여겼을까요? 아무래도 서울이라는 고장이 으뜸이라고 여기기 때문일 테지요. 한국에서는 대학교에 등급이나 계급이 있는 터라, 어떻게든 서울에 있는 대학교에 가야 한다고 여깁니다. 이러면서 서울에서도 ‘서울대·고려대·연세대’를 세 손가락으로 꼽고, 이 세 대학교를 아우르는 이름으로 ‘SKY’라는 영어를 짓습니다.


  세 군데 대학교에 다니는 사람도 스스로 ‘SKY’라는 이름을 자랑으로 삼는지 모를 노릇입니다. 연세대에 다니는 학생은 왜 ‘SYK’가 아니냐고 낯을 찡그릴 만합니다. 그런데, ‘SYK’가 아닌 ‘SKY’는 영어로 “하늘”을 뜻합니다. 알파벳으로 이렇게 벌이면서 세 군데 대학교는 스스로 “하늘에 올라선다”는 느낌이고, 다른 대학교를 밑에 둔다는 느낌입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대학교가 오직 학문으로 아름다운 곳이라기보다 시험성적으로 붙거나 떨어지는 계급장이나 신분증과 같습니다. 그러니, 이런 모습을 “하늘에 올라선 대학교”처럼 빗대어 ‘SKY’로 쓸 만하겠지요. 다만, 아무리 사회 모습이 이와 같더라도 이들한테 수수한 이름을 주어야지 싶어요. 하늘로 오르지 말고, 수수하게 ‘ㅅㄱㅇ 대학’이 되거나 ‘서고연 대학’이 되기를 빕니다. 4348.8.25.불.ㅅㄴㄹ



SKY 대 중심 또는 서울 중심의 서열화 구조

→ ㅅㄱㅇ 대 중심 또는 서울 중심 줄세우기

《강수돌-더불어 교육혁명》(삼인,2015) 36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92) 촌村-


 궁벽한 촌에서 살고 있던 → 가난한 시골에서 살던

 촌에 할아버지가 계시다 → 시골에 할아버지가 계시다

 우리 촌에 찾아온 사람 → 우리 마을에 찾아온 사람


  한국말사전에서 ‘촌(村)’을 찾아보면 “= 시골”이나 “= 마을”로 풀이합니다. 한국말은 먼 옛날부터 ‘시골’이나 ‘마을’일 뿐이지만, ‘村’이라고 하는 한자가 불쑥 끼어들었다는 뜻입니다.


  한국말은 오직 ‘시골사람’이나 ‘마을사람’입니다. ‘촌사람’이 아닙니다. 한국말은 ‘시골구석’이나 ‘시골닭’일 뿐, ‘촌구석’이나 ‘촌닭’이 아닙니다. 4348.8.24.달.ㅅㄴㄹ



촌뜨기! 이런 건 너나 먹어!” 나는 망개를 마당에 확 뿌렸어요. 상구 얼굴이 벌게졌어요. “씨! 한 번만 더 촌뜨기라 해 봐라!”

→ “시골뜨기! 이런 건 너나 먹어!” 나는 망개를 마당에 확 뿌렸어요. 상구 얼굴이 벌게졌어요. “씨! 한 번만 더 시골뜨기라 해 봐라!”

《이영득-할머니 집에서》(보림,2006) 23쪽


이런 무지한 촌옹

→ 이런 어리석은 시골 늙은이

→ 이런 바보스런 시골 늙다리

→ 이런 미련스런 시골 할아버지

《폴 베델/김영신 옮김-농부로 사는 즐거움》(갈라파고스,2014) 30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