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78 누구



  바깥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때 우리는 묻습니다. “거기 누구셔요?” 우리는 바깥에서 나는 소리에 대고 ‘무엇’이느냐 하고 안 묻습니다. ‘누구’이느냐 하고 묻습니다. 바람이 부는 소리였든, 짐승이 지나가는 소리였든, 나뭇잎이 떨어지는 소리였던, 우리는 늘 ‘누구’인지 궁금해 하면서 묻습니다.


  바깥을 내다보니 아무것도 없습니다. 바람도 없습니다. 그러면 누가 소리를 냈을까요? 도깨비일까요? 떠도는 넋일까요? 누구인지 모르지만 누구인지 알 수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아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안다면, 바깥에서 누가 소리를 내는지 알 수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면, 바깥에서 누가 소리를 내는지 알 수 없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아는 사람은, 나를 가만히 바라보면서 나를 찬찬히 느끼고 나를 제대로 생각하면서 나를 오롯이 받아들이는 사람입니다. 이리하여, 내가 나를 참답게 알아서 ‘참나’가 되니, 내 둘레에서 흐르는 바람을 가만히 바라보면서 찬찬히 느낄 수 있고, 이 기운을 제대로 살피면서 모두 오롯이 헤아릴 수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내가 나조차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찬찬히 느끼지 못합니다. 내가 선 이곳을 제대로 살피지 못하고, 내가 있는 이때를 하나도 헤아리지 못하니, 내 둘레에서 어떤 소리가 나든 누가 움직이든, 어느 한 가지조차 알거나 느끼지 못합니다. 어느 때에는 아무것도 알아채지 못하고, 어느 곳에서는 누가 내 앞을 지나가더라도 느끼지 못합니다.


  내 몸에 깃든 넋을 느낄 때에 나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내 마음에 흐르는 숨결을 만날 때에 나를 헤아릴 수 있습니다. 내가 여기에 나로서 있기에, 너는 저기에 너로서 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요? 여기에 있는 넋입니다. 너는 누구인가요? 저기에 있는 넋입니다. 나는 무엇을 하는 어떤 넋인가요? 나는 여기에서 내 꿈을 짓는 숨결입니다. 너는 무엇을 하는 어떤 넋인가요? 너는 저기에서 네 꿈을 짓는 숨결입니다.


  나한테서 네가 나옵니다. 너한테서 내가 나옵니다. 모두 한꺼번에 한자리에서 함께 나옵니다. 닭과 달걀은 따로 있지 않고, 늘 함께 있습니다. 함께 태어나기에 함께 살 수 있고, 함께 살 수 있기에 함께 사랑할 수 있습니다.


  바깥에서 소리가 납니다. 이때 나는 빙그레 웃습니다. “거기 네가 있구나?” 바깥에서 나는 소리를 들으면서 네가 나를 찾아온 줄 깨닫습니다. 이제 나는 너를 찾아서 바람을 타고 가려 합니다. 누구나 사랑하고, 모두 다 노래합니다. 누구나 꿈을 꾸고, 모두 다 웃습니다. 누구나 생각하고, 모두 다 이야기합니다. 누구나 여기에 있고, 모두 다 저기로 갑니다. 누구나 오늘에서 모레로 갑니다. 누구이든 타오르는 눈빛이요 사랑이면서 바람결입니다. 4348.3.11.물.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65) 나름대로의


 내 나름대로의 사랑이니까 → 내 사랑이니까 / 내 나름대로 하는 사랑이니까

 내 나름대로의 방법이 있다 → 내 나름대로 방법이 있다

 제각기 나름대로의 묘미가 있다 → 저마다 나름대로 재미가 있다


  ‘나름’이라는 매인이름씨(의존명사)에는 ‘-대로’라는 토씨를 붙일 수는 있으나 ‘-의’ 같은 토씨는 붙일 수 없습니다. “내 나름대로의 길을 간다”처럼 쓰지 않습니다. “내 나름대로 길을 간다”처럼 쓰거나 “내 나름대로 닦은 길을 간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나름대로의 조언을 하다”처럼 쓰지 않아요. “내 나름대로 도움말을 하다”나 “내 나름대로 생각한 도움말을 하다”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나름대로의 음악”이나 “나름대로의 노하우”나 “나름대로의 분석”처럼 쓰는 분도 있으나, 이런 자리에서는 “내 음악”이나 “내 노하우”나 “내 분석”처럼 ‘내’를 넣어야 올바릅니다. 또는 “내 나름대로 즐기는 노래”나 “내 나름대로 세운 솜씨”나 “내 나름대로 한 분석”처럼 써야겠지요. “함부로 침범할 수 없는 나름대로의 구역이다”는 “함부로 쳐들어올 수 없는 내 자리이다”처럼 손질할 만합니다. 4348.9.28.불.ㅅㄴㄹ



자기 나름대로의 정확한 안목(眼目)으로 새롭게 체계화한 것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대해도 좋은 책이다

 제 나름대로 빈틈없는 눈매로 새롭게 틀을 짰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고 읽어도 좋은 책이다

 제 나름대로 날카롭게 바라본 눈길로 새롭게 엮었기 때문에 즐겁게 읽어도 좋은 책이다

→ 제 나름대로 똑똑히 살핀 눈으로 새롭게 얼거리를 세웠기 때문에 마음 놓고 읽어도 좋은 책이다

《와타나베 츠토무/육명심 옮김-사진의 표현과 기법》(사진과평론사,1980) 3쪽


그것은 우리 나름대로의 철학이 반영된 것이다

→ 그것은 우리 철학이 담긴 것이다

→ 거기에는 우리 나름대로 세운 철학이 담겼다

→ 거기에는 우리 나름대로 세운 뜻이 깃들었다

《오연호-대한민국 특산품 오마이뉴스》(휴머니스트,2004) 149쪽


놀다 보면 아이들 나름대로의 즐거움이 가득해져서

→ 놀다 보면 아이들 나름대로 즐거움이 가득해져서

→ 놀다 보면 아이들 나름대로 매우 즐거워서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눌민,2015) 2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406) 멸하다滅


 일족이 멸하여 → 겨레붙이가 다 죽어서

 삼족을 멸하다 → 삼족을 몽땅 죽이다 / 온 집안을 다 죽이다

 거란이 발해를 멸하였다 → 거란이 발해를 무너뜨렸다


  ‘멸하다(滅-)’는 “망하여 죄다 없어지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망(亡)하다’는 “끝장이 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滅하다’는 “끝장이 나서 죄다 없어지다”를 가리키는 셈입니다. ‘사라지지 않다’를 ‘불멸(不滅)’로 쓰곤 하며, ‘사라지다’를 ‘멸(滅)’로 쓰곤 하는데, 처음부터 말뜻 그대로 ‘없어지다’를 쓰면 되고, ‘사라지다·스러지다’를 쓸 수 있습니다. 이야기 흐름을 살펴서 “자취를 감추다”나 ‘무너지다·무너뜨리다’를 쓸 수 있고, “삼족을 멸하다” 같은 말마디라면 “모두 죽이다”나 “몽땅 죽이다”처럼 쓸 때에 뜻이 제대로 살아납니다. 4348.9.28.달.ㅅㄴㄹ



음악은 생명과 마찬가지로 ‘멸할 수 없는 것’이다. 마를레 오케스트라 또한 절대 영원히 멸하지 않아!

→ 음악은 목숨과 마찬가지로 ‘사라질 수 없는 것’이다. 마를레 오케스트라 또한 반드시 언제까지나 없어지지 않아!

→ 음악은 목숨과 마찬가지로 ‘스러질 수 없는 것’이다. 마를레 오케스트라 또한 앞으로도 꼭 무너지지 않아!

《니노미야 토모코/서수진 옮김-노다메 칸타빌레 17》(대원씨아이,2007) 8∼9쪽


죽어서 멸하고 다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고

 죽어서 사라지고 다시 새로운 목숨이 태어나고

→ 죽어서 스러지고 다시 새로운 숨결이 태어나고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눌민,2015) 235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1750) 세계사적


 양국 정상 회담의 세계사적 성격을 밝히다

→ 양국 정상 회담이 세계사에 무엇을 남기는지를 밝히다

→ 두 나라 정상 회담이 세계사에 나타내는 바를 밝히다

→ 두 나라 정상 만남이 세계에 남긴 발자취를 밝히다

 세계사적으로 중대한 의의를 갖다

→ 세계사로 볼 때 큰뜻이 있다

→ 세계사로 보면 큰뜻이 있다

→ 세계사에서 큰뜻이 있다


  ‘세계사적(世界史的)’은 “세계 역사를 통하여 볼 때 그 지위나 의의가 확인되는”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사’를 쓰듯이 ‘세계사’를 쓸 수 있고, ‘남미사’나 ‘일본사’나 ‘유럽사’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사’나 ‘인천사’나 ‘부산사’처럼 쓰면 잘 안 어울립니다. 아무래도 ‘서울 역사’나 ‘인천 역사’나 ‘부산 역사’처럼 적을 때에 잘 어울리지 싶습니다. 그리고 ‘세계사 + 적’처럼 써서 “세계 역사를 통하여 볼 때”를 뜻하도록 하기보다는 처음부터 “세계 역사를 볼 때”처럼 쓸 때에 한결 알아보기 나으리라 느낍니다. 4348.9.27.해.ㅅㄴㄹ



세계사적으로 보더라도 기이한 일이라

→ 세계사로 보더라도 놀랄 만한 일이라

→ 세계 어느 나라를 보더라도 보기 드문 일이라

→ 세계 어느 나라 역사를 보더라도 엉뚱한

→ 세계 어디를 보더라도 매우 드문 일이라

→ 세계 발자취를 보더라도 아리송한 일이라

《시바 료타로/박이엽 옮김-탐라 기행》(학고재,1998) 14쪽


이 민족은 세계사적으로 조숙한 셈이다

→ 이 겨레는 세계사로 보면 일찍 철든 셈이다

→ 이 겨레는 세계 역사에 일찍 눈뜬 셈이다

→ 이 겨레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일찍 깨우친 셈이다

→ 이 겨레는 남다르게 일찍 깨달은 셈이다

《시바 료타로/박이엽 옮김-탐라 기행》(학고재,1998) 77쪽


가와구치 선생님의 자연농이 가지고 있는 세계사적 의미를 적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 가와구치 선생님이 하는 자연농이 세계사에서 어떤 뜻인지를 제대로 알았다

→ 가와구치 선생님이 짓는 자연농이 이 세계에 뜻하는 바를 똑바로 읽었다

→ 가와구치 선생님 자연농이 세계사에서 무엇을 뜻하는지를 똑똑히 헤아렸다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눌민,2015) 2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364) 만년의


 만년의 사랑 → 늘그막 사랑 / 늦깎이 사랑

 만년의 회고 → 늘그막에 돌아보기

 만년의 작품을 분석한다 → 늘그막에 들어선 작품을 살핀다


  한자말 ‘만년(晩年)’은 “나이가 들어 늙어 가는 시기”를 뜻합니다. 한국말로는 ‘늘그막’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두 낱말은 뜻이 같습니다. 한자말 ‘만년’을 쓴다면 ‘-의’가 으레 달라붙고, 한국말 ‘늘그막’을 쓰면 ‘-의’를 붙일 일이 없다고 할 만합니다.


  “늙어 가는 무렵”을 ‘늘그막’으로 나타내고, 퍽 늦다 싶은 나이는 ‘늦깎이’로 가리키기도 합니다. 이야기 흐름에 따라 ‘마지막’이나 ‘막바지’ 같은 낱말을 넣을 수 있고, ‘느지막하다’나 ‘늦다’ 같은 낱말을 알맞게 넣을 수 있습니다. “늦은 나이”나 “늙은 나이”나 “늙은 몸”처럼 수수하게 써도 잘 어울리는 자리가 있습니다. 4348.9.27.해.ㅅㄴㄹ



최백호의 만년의 히트작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가 늘그막에 사랑받은 노래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가 느지막이 인기를 얻은 노래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한테 막바지 인기 노래인 ‘낭만에 대하여’

→ 최백호가 뒤늦게 사랑받은 노래 ‘낭만에 대하여’

《정재환-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김영사,2005) 93쪽


역할, 직무, 천명을 다하는 만년의 인생을 살아야 합니다

→ 제 몫, 맡은 일, 하늘 뜻을 다하는 늘그막을 살아야 합니다

→ 제 노릇, 맡은 일, 하늘 뜻을 다하는 마지막을 살아야 합니다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눌민,2015) 182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