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없애야 말 된다

 생리적生理的



 단체 생활이 생리적으로 맞지 않는다

→ 단체 생활이 몸에 맞지 않는다

→ 여럿이 함께 지내기가 몸에 맞지 않는다

 그리 하는 것이 사람들의 생리적 본능 아니겠습니까

→ 그리 하는 것이 사람들한테 본능이 아니겠습니까

→ 그리 하는 몸짓이 사람들 삶 아니겠습니까

 아버지는 생리적 욕구를 참지 못하고 전봇대에 오줌을 누었다

→ 아버지는 오줌이 몹시 마려워 참지 못하고 전봇대에 누었다

→ 아버지는 몹시 마려운 오줌을 참지 못하고 전봇대에 누었다


  ‘생리적(生理的)’은 “1. 신체의 조직이나 기능에 관련되는 2. 합리적인 판단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생긴 대로의 본능적인”을 뜻한다고 합니다. 첫째 뜻이라면 ‘몸’으로 손질하면 되리라 느낍니다. “생리적 반응”이라든지 “생리적 변화”는 “몸 반응”이나 “몸 변화”로 손질할 만해요. “사람들의 생리적 본능” 같은 글월은 “사람들 본능”으로 손질하거나 “본능”이라고만 손질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 욕구를 참지 못하고 오줌을 누었다” 같은 글월이라면 “오줌이 마려워 참지 못하고 누었다”처럼 손질해 줍니다.


  그런데, “생리적 욕구”라든지 “생리적 현상”이라든지 “생리적 특성”이라든지 “생리적 차별” 같은 말이 자꾸 불거집니다. 꾸밈없이 쓰지 못하고 자꾸 껍데기를 씌운다고 할 만합니다. 이를테면, “생리적인 욕구를 풀다”라고 하면 “몸에서 무엇을 바라는가”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합니다. 담배를 피우고 싶은지 잠을 자고 싶은지 밥을 먹고 싶은지 두루뭉술하지요. 몸에서 바라는 것을 제대로 나타낼 노릇입니다. “생리적 현상”이나 “생리적 특성” 같은 말마디도 “몸하고 얽혀 어떤 모습”을 이야기하려 하는가를 제대로 밝힐 노릇입니다. 몸하고 얽힌 어떤 이야기를 하려는 자리에서 ‘몸’이라는 말을 안 쓰려 하니 말이 자꾸 어렵기만 합니다. 4348.10.22.나무.ㅅㄴㄹ



생리적 노화에 따라 점차 기억력이 쇠퇴하고

 몸이 늙으면서 조금씩 기억력이 떨어지고

 몸이 늙으니 차츰 머리가 나빠지고

→ 몸이 늙는 동안 머리는 자꾸 나빠지고

《송건호-현실과 이상》(정우사,1979) 222쪽


머리로는 알고 있으면서 생리적으로는 거부반응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 머리로는 알면서 몸으로는 거부반응을 나타냈다

→ 머리로는 알면서 몸으로는 싫어했다

《E.브조스토프스키/홍윤숙 옮김-작은 자의 외침》(성바오로출판사,1987) 11쪽


생리적으로 마려워도 참아야죠

 오줌이 마려워도 참아야죠

→ 쉬가 마려워도 참아야죠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문학분과위원회 엮음-여성운동과 문학 (1)》(실천문학사,1988) 13쪽


말들은 생리적으로 똥을 싼다

→ 말들은 똥이 마려워서 똥을 싼다

→ 말들은 똥을 누고 싶어 똥을 싼다

→ 말들은 배가 아파 똥을 싼다

→ 말들은 배가 간질간질할 때 똥을 싼다

→ 말들은 싸고 싶을 때 똥을 싼다

《다케타즈 미노루/김창원 옮김-숲속 수의사의 자연일기》(진선북스,2008) 22쪽


이 계산법으로 계산된 아이의 생리적인 나이는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이 계산법으로 따진 아이 나이는 다음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 이 계산법으로 아이 몸이 몇 살인가를 헤아려서 다음 기준으로 살핍니다

《김수연-0∼5세 말걸기 육아의 힘》(예담프렌즈,2015) 1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부터 '우리 말 살려쓰기' 얼거리를 모두 새로 짜기로 한다.

벌써 넉 달쯤 앞서부터 이렇게 새 얼거리를 마련해 보았고,

오늘부터 이 얼거리를 제대로 다스리자고 생각한다.


지난 2001년에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 노릇을 할 적부터

보리 국어사전을 세상에 내놓은 뒤에는

차근차근 여러 가지 '바로쓰기 사전'이라든지 '살려쓰기 사전'을

엮을 생각을 했다.


그러다가 보리 국어사전 엮는 일을 그만두고

이오덕 선생님 유고를 갈무리하는 곳으로 일터를 옮기면서

글쓰기는 그대로 했으되

이 '바로쓰기 사전'이나 '살려쓰기 사전'을

언제 낼 수 있는지 그저 까마득하기만 했다.


그동안 꿋꿋하게 자료를 모았기에

이제는 이 자료를 제대로 갈무리하고 꼴을 갖추는 일을

앞으로 하면 되리라 느낀다.


여태 글마다 글 번호를 붙였는데

오늘부터는 글 번호를 모두 지우기로 한다.


이를테면, '-적'을 손질하는 글은 1700번이 넘고

'-의'를 다듬는 글은 2300번을 넘어 2400번 가까이 되었는데,

이런 숫자를 0으로 맞춘다.


앞으로는 글 번호 없이 '고칠 말'만 바라보기로 한다.

나도 참 스스로 잘 했다고... 이렇게 생각하기로 하면서...

어제까지 한 일은 기쁘게 마무리를 짓고

오늘부터 새로운 길을 걸어 보려 한다.


큰아이가 열 살이 되기 앞서

'우리 말 바로쓰기 사전'을 한 권 내놓아 보자고 꿈을 꾸어 본다.

아마 '-적' 이야기를 맨 먼저 엮을 만하지 않을까 싶은데,

모르겠다.

'-의' 이야기를 먼저 다룰는지 한자말 이야기를 먼저 다룰는지...

가 보아야 알 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넋·삶 84 보고, 하면, 돼



  “해 보면 돼.”라는 말은 아이나 어른이나 두루 씁니다. 그런데, 이 말을 쓰는 사람 스스로 이 말에 어떠한 힘이 깃들었는지 잘 모릅니다. 그냥 쓰지요. 다만, 이 말을 그냥 쓰더라도 이 말에는 어마어마한 힘이 깃들었기 때문에 이 말대로 됩니다. “해, 보면, 됩니다.” 그리고, 이 말처럼 어마어마한 힘이 깃든 다른 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 하면, “해 봤자.”입니다. 흔히 “해 봤자 안 돼.”나 “해도 안 돼.”나 “해 보니 안 되던걸.”이나 “해도 해도 안 되는데 어떻게 해?”처럼 말합니다.


  자, 우리는 이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해 보면 돼(해 봐 돼).” 하고 노래하면서 스스로 제 마음에 말씨(말로 된 생각씨앗)를 심는 사람과, “해 봤자(해도 해도 안 돼).” 하고 울면서 스스로 제 마음에 말씨(이때에도 말로 된 생각씨앗)를 심는 사람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둘은 앞으로 어떤 길을 걸을까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꾸 ‘안 되는 길’만 생각해서 끝끝내 도무지 안 되고야 마는 자리에서 삶을 마치고 죽음으로 갑니다.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꾸준하게 ‘되는 길’을 생각해서 언제나 새롭게 되고 다시 되면서 스스로 거듭나는 자리에서 삶을 마무리하고 고요한 누리로 갑니다.


  아이들이 놀면서 서로 얘기합니다. “난 잘 안 돼.” “아니야, 자 봐 봐. 잘 보라구. 잘 보니?” “응.” “그래, 잘 보면, 너도 할 수 있어.” “나도 할 수 있을까?” “그럼, 나도 하는걸. 자, 다시 해 봐. 너도 돼.”


  하려면 보아야 하고, 보았으면 해야 합니다. 어느 쪽이 먼저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하기’와 ‘보기’는 늘 같이 움직입니다. 그리고, ‘하기’와 ‘보기’가 같이 움직이듯이 ‘되기’도 같이 움직입니다. 하면서 보고, 보면서 바로 됩니다. 보면서 하고, 하면서 곧장 됩니다.


  오늘날 사회 얼거리를 보면, 학교에서 아이들을 늘 다그치면서 시험공부를 시킵니다. 시험공부를 시키는 어른(교사와 어버이)은 아이들을 둘로 가릅니다. 한 갈래는 ‘시키면 잘 하는 아이’이고, 다른 한 갈래는 ‘시켜도 못 하는 아이’입니다. 대학입시를 바라보는 제도권학교에서는 으레 ‘우열반’을 가릅니다. 우열반을 갈라서 한쪽은 ‘해 보면 되’도록 이끌고, 다른 한쪽은 ‘해도 해도 안 되’도록 이끕니다. 이러한 제도권학교를 오래 다니면 다닐수록 사람들은 길듭니다. 내가 나한테 말을 거는 길을 잊거나 잃습니다.


  정부에서는 왜 모든 아이를 학교에 집어넣는 의무교육을 시키려고 할까요? 아이들이 저마다 스스로 ‘나는 보겠어. 나는 보았으니 하겠어. 나는 했으니 되겠어.’와 같은 생각을 못 하게끔 막으려고 의무교육을 억지로 시킵니다. 아예 법으로 못박아서 모든 아이가 반드시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도록 내몰 뿐 아니라, 한번 학교에 발을 들여놓으면 대학교까지 꼭 다녀야 하는듯이 몰아세웁니다. 대학교를 다니면 이제는 ‘도시에서 회사원이 되어, 웃사람이 시키는 일만 죽어라 하다가, 정년퇴직을 하고, 정년퇴직 뒤에는 연금을 받으면서, 정부가 마련한 놀이시설과 휴양시설에서 관광이나 하다가 죽는 길’로 가도록 집어넣어요.


  보험을 드는 사람은 보험을 들 수밖에 없습니다. 스스로 보험을 바라보고 지었으며, 보험에 맞추어 제 삶이 흐르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몸이 안 아프면서 제 삶을 짓는 사람은 몸이 안 아프면서 제 삶을 지을밖에 없습니다. 스스로 눈부시게 튼튼한 몸을 늘 생각하면서 노래하고 웃거든요.


  모든 말은 씨앗입니다. 그래서 ‘말씨’라고 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이 사회에서 한국말 ‘말씨’는 거의 죽은 말이 됩니다. ‘글씨’는 글로 심는 씨앗입니다. 글 매무새가 글씨가 아니라, 글로 심는 씨앗이 글씨입니다. 그러나, 이 또한 컴퓨터와 온갖 기계로 글을 쓰도록 사회의식이 우리를 내모니 ‘손으로 짓는 글씨’를 거의 모든 사람이 잃거나 잊습니다. ‘내 그림(카드)’과 ‘내 글(말)’과 ‘내 삶(길)’은 늘 손수 지어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삶을 제대로 보아야 합니다. “말이 씨가 된다”를 슬기롭게 바라보아야 하고, ‘말씨’랑 ‘글씨’라는 낱말을 사랑스레 되찾으면서, ‘내 말을 내가 스스로 내 마음에 심는 아름다운 하루’를 열 수 있어야 합니다. 복지정책과 보험제도에 내 몸을 길들이거나 맞추지 말고, 내 삶은 내 넋으로 즐겁게 지어서 기쁘게 누려야 합니다. 4348.4.10.쇠.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413) 급하다急


 급한 일 → 바쁜 일

 돈이 급하다 → 돈이 빨리 있어야 한다

 급하게 먹다 → 바삐 먹다 / 헐레벌떡 먹다

 급하게 서두르다 → 허둥지둥 서두르다 / 허겁지겁 서두르다

 마음만 급하지 → 마음만 바쁘지

 병세가 급하다 → 병세가 깊다 / 병세가 안 좋다

 급하게 경사지다 → 매우 비탈지다

 경사가 급한 곳에서는 → 비탈이 가파른 곳에서는

 개울은 물살이 급해서 → 개울은 물살이 빨라서


  외마디 한자말 ‘급하다(急-)’는 “1. 사정이나 형편이 조금도 지체할 겨를이 없이 빨리 처리하여야 할 상태에 있다 2. 시간의 여유가 없어 일을 서두르거나 다그쳐 매우 빠르다 3. 마음이 참고 기다릴 수 없을 만큼 조바심을 내는 상태에 있다 4. 병이 위독하다 5. 성격이 팔팔하여 참을성이 없다 6. 기울기나 경사가 가파르다 7. 물결 따위의 흐름이나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처럼 일곱 가지로 쓰인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말뜻을 살피면 처음부터 ‘바쁘다’나 ‘서두르다’나 ‘조바심을 내다’나 ‘병이 깊다’나 ‘참지 못하다’나 ‘가파르다’나 ‘(물살이) 빠르다’로 쓰면 될 노릇입니다. 한국말로 알맞게 쓰면 되는데, 한국말로 슬기롭게 쓰지 못한 탓에 자꾸 ‘急하다’ 같은 외마디 한자말을 끌어들이고 맙니다. 4348.10.21.물.ㅅㄴㄹ



선물이란 언제나 받는 사람의 마음을 급하게 만드는 법이다

→ 선물이란 언제나 받는 사람 마음을 바쁘게 하는 법이다

→ 선물이란 언제나 받는 사람 마음을 서두르게 하는 법이다

《준비에브 브리작/김경온 옮김-올가는 학교가 싫다》(비룡소,1997) 20쪽


급하게 지나쳐 갈 수 있다

→ 얼렁뚱땅 지나쳐 갈 수 있다

→ 설렁설렁 지나쳐 갈 수 있다

→ 후다닥 지나쳐 갈 수 있다

→ 빨리 지나쳐 갈 수 있다

《가와이 에이지로/이은미 옮김-대학인, 그들은 대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유원,2003) 14쪽


다른 아이들이 급하게 자라는 것뿐

→ 다른 아이들이 일찍 자랄 뿐

→ 다른 아이들이 빨리 자랄 뿐

→ 다른 아이들이 바삐 자랄 뿐

→ 다른 아이들이 서둘러 자랄 뿐

《추둘란-콩깍지 사랑》(소나무,2003) 52쪽


급한 경사를 이루며

→ 가파르게 기울어지며

→ 가파른 비탈을 이루며

 가파르며

《셀마 라게를뢰프/배인섭 옮김-닐스의 신기한 여행 1》(오즈북스,2006) 125쪽


나는 급하게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바로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서둘러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망설이지 않고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머뭇거리지 않고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바쁜 나머지 재빨리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바빠서 얼른 고개를 끄덕였다

→ 나는 허둥지둥 고개를 끄덕였다

《이준호-할아버지의 뒤주》(사계절,2007) 147쪽


급해!

→ 바빠!

→ 서둘러!

→ 어서!

→ 빨리!

《배유안-분황사 우물에는 용이 산다》(파란자전거,2010) 85쪽


나는 마음이 급해

→ 나는 마음이 바빠

→ 나는 서두르고 싶어

《박금선-내가 제일 잘한 일》(샨티,2015) 176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1761) 모범적


 모범적 사례 → 모범 사례 / 좋은 보기

 모범적 운영 → 모범 운영 / 훌륭한 운영

 모범적인 학생 → 모범 학생 / 훌륭한 학생

 일을 모범적으로 하다 → 일을 훌륭히 하다 / 일을 잘 하다

 먼저 모범적인 태도를 보이면 → 먼저 모범을 보이면


  ‘모범적(模範的)’은 “본받아 배울 만한”을 뜻한다고 합니다. ‘본(本)받다’는 “본보기로 하여 그대로 따라 하다”를 뜻하고, ‘본(本)보기’는 “본을 받을 만한 대상”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까, 말뜻이 빙글빙글 돕니다. 마지막으로 ‘본(本)’을 찾아보기 “= 본보기”로 풀이합니다. 그야말로 뒤죽박죽인 한국말사전입니다.


 모범적인 교사 → 모범 교사

 모범적인 사람 → 훌륭한 사람 / 좋은 사람

 모범적인 모습 → 모범이 되는 모습 / 배울 만한 모습 / 좋은 모습


  쉽게 헤아려 본다면, “보기로 삼아 배울 만한”을 가리키는 ‘모범’이라 할 만합니다. 그리고, 모든 ‘모범적’에서 ‘-적’을 덜어내면 됩니다. “모범적인 운영”이 아니라 “모범이 되는 운영”이거나 “배울 만한 운영”이나 “훌륭한 운영”이거나 “좋은 운영”입니다. “모범적으로 살다”가 아니라 “모범이 되어 살다”나 “배울 만하게 살다”나 “훌륭하게 살다”나 “아름답게 살다”이지요.


  한자말 ‘모범(模範)’까지 안 써야 한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이 한자말을 알맞게 쓸 수 있다면 알맞게 쓰면 됩니다. 다만, ‘-적’을 붙일 까닭이 없으며, 이야기 흐름에 맞추어 “배울 만한”이나 “훌륭한”이나 “좋은”이나 “아름다운”으로 손질할 수 있습니다. 법을 지키는 일을 ‘모범적으로’ 한다면 이때에는 ‘올바로’ 지킨다고 손질할 만합니다. 지나치게 ‘모범적으로’ 보여서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이때에는 ‘틀에 박힌’ 모습으로 보인다고도 할 만합니다. 4348.10.21.물.ㅅㄴㄹ



법을 모범적으로 준수하며

→ 법을 누구보다 잘 지키며

→ 법을 앞장서서 지키며

→ 법을 훌륭히 지키며

→ 법을 올바로 지키며

《편집부 엮음-슬기로운 겨레녀성들·기업인편》(료녕민족출판사,1997) 2쪽


지나치게 모범적인 느낌이라 싫지만

→ 지나치게 모범생 같아서 싫지만

→ 지나치게 훌륭한 느낌이라 싫지만

→ 지나치게 잘 짜인 느낌이라 싫지만

→ 지나치게 틀에 박힌 느낌이라 싫지만

《니노미야 토모코/서수진 옮김-노다메 칸타빌레 12》(대원씨아이,2005) 155쪽


모범적인 직장 생활을 영위해 나가고 있는

→ 모범이 되는 직장 생활을 해 나가는

→ 보란 듯한 직장 생활을 하는

→ 훌륭하게 직장을 다니는

→ 훌륭하게 직장 일을 하는

《문흥미와 여덟 사람-이어달리기》(길찾기,2006) 5쪽


나는 그곳에서 지극히 모범적으로 평범했다

→ 나는 그곳에서 아주 모범이 되도록 수수했다

→ 나는 그곳에서 아주 보란 듯이 수수했다

《박금선-내가 제일 잘한 일》(샨티,2015) 76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