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에 그스르느라



연기에 그스르느라고

→ 연기로 익히느라고

→ 그으느라고 (‘그을다’를 쓰면)

→ 그을리느라고 (‘그을리다’를 쓰면)


훈제(燻製) : 소금에 절인 고기를 연기에 그슬려 말리면서 그 연기의 성분이 흡수되게 함

그슬다 : 불에 겉만 약간 타게 하다

그을다 : 햇볕이나 연기 따위를 오래 쬐어 검게 되다



  ‘그슬다’하고 ‘그을다’는 다릅니다. ‘그슬다’는 불에 겉을 살짝 익힐 때를 가리키고, ‘그을다’는 연기로 익힐 때를 가리켜요. 불 기운으로 익히기에 ‘그슬다·그슬리다’요, 연기 기운으로 익히기에 ‘그을다·그을리다’입니다. 이 두 가지 가운데 연기로 익히는 일을 한자말로 ‘훈제’라고도 해요.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찾아보면 “연기에 그슬려 말리면서”로 풀이합니다. ‘그슬다’는 불 기운으로 익히는 일을 가리키니, 이 말풀이는 틀립니다. “연기에 그스느라고”는 겹말은 아니지요. ‘그슬다·그을다’ 두 낱말을 헷갈려서 잘못 쓴 셈입니다. “연기에 그을어 먹는다”처럼 쓸 적에 겹말이에요.


  더 헤아려 본다면, 한국말사전 뜻풀이를 새롭게 손질해야지 싶습니다. 다음처럼 뜻풀이를 두 가지로 갈라야지 싶습니다.


그슬다

1. 불에 겉이 살짝 타다

  - 춥다고 모닥불에 가까이 다가갔다가 머리카락이 그슬었다

2. 불을 써서 먹음직스럽게 만들다

  - 숯불에 고기를 그슬어 먹는 맛은 남다르다

  - 그슬린 돼지고기

그을다

1. 햇볕이나 연기를 쬐어 검게 되다

  - 여름내 자전거로 다녔더니 팔뚝과 허벅지가 잔뜩 그을었다

2. 연기를 써서 먹음직스럽게 만들다

  - 불에 그스는 고기와 연기에 그은 고기는 맛이 다르다

  - 그을린 연어



작은 사냥감을 연기에 그스르느라고 바빠서, 정확한 날짜를 확인해 보지 못했다

→ 작은 사냥감을 연기에 익히느라고 바빠서, 제 날짜를 살펴보지 못했다

→ 작은 사냥감을 그으느라고 바빠서, 제 날짜를 알아보지 못했다

《진 C.조지/김원구 옮김-나의 산에서》(비룡소,1995) 20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여성적


 여성적 관점 → 여성이라는 눈

 여성적 취향 → 여성이 좋아하는

 여성적 어조 → 여성 말씨 / 여성 같은 말씨 / 고운 말씨

 여성적인 목소리 → 가는 목소리 / 부드러운 목소리 / 얌전한 목소리


  ‘여성적(女性的)’은 “여성의 성질을 지닌”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러면 ‘여성다운’이나 “여성 같은”으로 손보면 돼요. 그러나 사회에서 ‘여성적’이라는 말마디를 쓰는 자리를 살피면 ‘곱다’라든지 ‘부드럽다’라든지 ‘따뜻하다’ 같은 느낌을 나타내려고 하지 싶습니다. 이는 남녀를 어느 한 가지 틀이나 굴레로 바라보는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내 가운데에도 곱거나 부드러운 사람이 있고, 가시내 가운데에도 투박하거나 거친 사람이 있어요. ‘여성적’뿐 아니라 ‘남성적’을 아무 자리에나 섣불리 쓰지 말아야 한다고 느낍니다. 2016.8.25.나무.ㅅㄴㄹ



여성적인 백제문화를 개화시켰으리라 생각들었다

→ 아름다운 백제문화를 꽃피웠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 포근한 백제문화를 피워냈다고 생각하였다

→ 부드러운 백제문화를 가꾸었다고 생각하였다

→ 따뜻한 백제문화를 일구었다고 생각하였다

《한길역사기행 1》(한길사,1986) 183쪽


참 여성적이구나

→ 참 따뜻하구나

→ 참 포근하구나

→ 참 마음이 넓구나

→ 참 너그럽구나

《김수정-오달자의 봄 1》(서울문화사,1990) 92쪽


남성들의 분야로 인식되었던 직업 세계에 대한 여성적 시각을 보여주고 싶었다

→ 남성 분야로 여겼던 직업 세계를 놓고 여성 눈길을 보여주고 싶었다

→ 남성만 있다고 여긴 직업 세계를 놓고 여성은 어떻게 보는지 밝히고 싶었다

→ 남성만 일한다고 여긴 곳에서 여성이 일하면 어찌 바뀌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 남성만 한다고 여긴 일을 여성이 볼 때에 어떠한지 말하고 싶었다

《마거릿 D.로우먼/유시주 옮김-나무 위 나의 인생》(눌와,2002) 17쪽


우정은 갈수록 남성적인 것만이 아니라 여성적이기도 한 일로 받아들여졌다

→ 우정은 갈수록 남성한테만 있지 않고 여성한테도 있는 일로 받아들여졌다

→ 우정은 갈수록 남자답지만 않고 여자답기도 한 일로 받아들여졌다

《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여성의 우정에 관하여》(책과함께,2016) 21쪽


대부분은 여성적 인격을 지닌 여신들이다

→ 거의 모두 여성 인격이 있는 여신들이다

→ 거의 다 여성 같은 마음결인 여신들이다

→ 거의 다 따뜻한 마음결인 여신들이다

《도현신-지도에서 사라진 종교들》(서해문집,2016) 27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438 : 가사일·가사 노동



가사일의 부담을

→ 집안일 짐을

→ 집안일을

→ 집일을

→ 집에서 할 일을


가사일(家事-) : → 가사(家事)

가사(家事) : 1. 살림살이에 관한 일 2. 한 집안의 사사로운 일

집안일 : 살림을 꾸려 나가면서 하여야 하는 여러 가지 일



  한자말 ‘가사’는 “집(家) + 일(事)” 얼거리입니다. ‘집일’을 가리켜 한자말로 ‘가사’로 적어요. 그러니 ‘가사일’처럼 쓰면 ‘집일 + 일’ 꼴이 되어 겹말입니다. ‘가사 노동’처럼 쓰려 한다면 ‘가사’를 쓸 만할 텐데, ‘가사 노동’이라 하더라도 ‘노동(勞動)’이라는 한자말도 ‘일’을 가리켜요. ‘집일’이나 ‘집안일’로 손질해 줍니다. 2016.8.25.나무.ㅅㄴㄹ



남편이 가사일의 부담을 공평하게 나누려고 진지하게 노력하는 경우라고 해도

→ 남편이 집안일 짐을 고루 나누려고 찬찬히 애쓴다고 해도

→ 남편이 집안일을 고르게 나누려고 찬찬히 힘쓴다고 해도

《메릴린 옐롬·테리사 도너번 브라운/정지인 옮김-여성의 우정에 관하여》(책과함께,2016) 332쪽


모든 무급 활동은 가사 노동과 비슷한 구조를 띠게 된다

→ 모든 무급 활동은 집안일과 비슷한 얼개이다

→ 모든 무급 활동은 집일과 비슷한 얼거리이다

《이반 일리치/노승영 옮김-그림자 노동》(사월의책,2015)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 알맞은 적기



알맞은 適期이다

→ 알맞은 때이다

→ 알맞다


적기(適期) : 알맞은 시기



  한자말 ‘적기’는 “알맞은 때”를 가리켜요. “알맞은 적기”처럼 쓰면 겹말입니다. ‘적기’라는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적기이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만, 굳이 ‘적기’처럼 적기보다는 “알맞은 때”라 적을 때에 한결 낫고, “알맞다”처럼 단출하게 쓸 수도 있어요.



여러 가지의 몸의 변화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학습하기에 알맞은 適期이다

→ 여러 가지로 몸이 바뀌는 까닭을 찬찬히 배우기에 알맞은 때이다

→ 여러 가지로 몸이 달라지는 모습을 깊이 배우기에 알맞다

《E.레멘-어머니가 들려주는 성교육》(중앙일보사,1978) 21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 가을추수



봄부터 가을추수까지

→ 봄부터 가을걷이까지

→ 봄부터 가을까지


가을 2 : 벼나 보리 따위의 농작물을 거두어들임

가을걷이 : = 추수(秋收)

추수(秋收) : 가을에 익은 곡식을 거두어들임



  ‘가을추수’는 겹말입니다. 더욱이 ‘가을’이라는 낱말은 두 가지로 써요. 첫째 ‘가을 1’는 네 철 가운데 하나를 가리켜요. ‘가을 2’은 ‘가을걷이’를 가리키지요. 시골에서는 ‘가실’이라고도 합니다. ‘가을 1’를 가리키면서 ‘가을추수’라 했어도 겹말이요, ‘가을 2’을 나타내면서 ‘가을추수’라 해도 겹말이에요.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살피니 ‘가을걷이 = 추수’로 풀이합니다. 이 같은 말풀이는 알맞지 않습니다. ‘추수 = 가을걷이’처럼 다루어야 올바르지요.



봄부터 가을추수까지 밭일을 하고

→ 봄부터 가을까지 밭일을 하고

→ 봄부터 가을걷이까지 밭일을 하고

《이응노·박인경·도미야마/이원혜 옮김-이응노―서울·파리·도쿄》(삼성미술문화재단,1994) 5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