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2.


《내 친구 김정은》

 김금숙 글·그림, 이숲, 2024.7.24.



물어보는 사람은 스스로 열쇠를 쥔다. 안 물어보는 사람은 스스로 마음을 닫는다. 물어볼 줄 알기에 모든 걸음마다 새길을 연다. 안 물어보기에 언제나 스스로 갇힌 채 맴돈다. 저잣마실을 가볍게 마치고서 15:30 시골버스를 탄다. 우리 마을로 돌아오는 시골버스는 뜸하기에, 옆마을에 서는 길로 간다. 황산마을에서 내린 뒤에 들길을 걷는다. 참새떼를 모처럼 만난다. 쉰 마리쯤이다. 늦여름 뙤약볕을 받으며 걷는데 땀방울이 논두렁으로 뚝뚝 떨어진다. 올해 들어 이렇게 땀을 길바닥에 흘리며 걷기는 처음 같다. 낮은 아주 후덥지근하다. 《내 친구 김정은》을 흘깃 보았다. 마치 “박정희는 우리 동무”라고 여기는 얼거리 같아서 소름이 돋았다. 총칼로 사람들을 짓밟고 우쭐대는 우두머리는 ‘동무’가 아니다. 이들 우두머리는 ‘얼간이’일 뿐이다. “동글동글하여 모나지 않기에 도란도란 돌아보면서 두레를 맺는 사이인 ‘동무’”라면 숱한 사람들이 굶어죽고 달아나는데 끝없이 펑펑 쏘아대면서 콧대를 높이지 않는다. ‘두나라 한겨레’가 어울릴 길을 찾고 싶다면 작은이를 찾아보기를 빈다. 북녘에서 달아날 수 있던 사람이 있고, 도무지 달아날 구멍을 못 찾는 사람이 있다. 박정희·김정은 따위가 아니라 ‘옆집 사람’을 만나길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8.1.


《전태일 평전》

 조영래 글, 돌베개, 1983.6.20.첫/1991.1.10.개정판



저잣마실을 다녀오면서 햇볕을 듬뿍 쬔다. 집에서도 밖에서도 볕길을 골라서 다닌다. 여름에 볕길을 골라서 가면 한갓지다. 매미와 잠자리를 바라본다. 구름이 너울거리는 길을 살핀다. 늦여름이라는 이름을 곱씹는다. 《전태일 평전》을 모처럼 되읽었다. 어제오늘 되읽을 적에는 ‘서울’ 이야기가 유난하게 보인다. 지난날에는 가난을 견디지 못하고 서울로 떠난 사람이 많다. “굳이 서울로 안 가”더라도 마을과 고을에서 품을 수 있었을 테지만, 예나 이제나 마을살림(지방자치)은 “마을을 살리는 스스로길”이 아니라 “마을에 떨어지는 돈을 뒤에서 나눠먹기” 같은 얼개라고 느낀다. 그래서 더더욱 서울로 가려고 하겠지. 이런 서울을 견딜 수 없는 작은이가 시골로 가려고 하지만, “그저 서울로 보내는 굴레”인 ‘오늘날 시골’에서는 더 버거울 만하다. 그나저나 2009년부터 《전태일 평전》은 ‘아름다운전태일’이라는 곳에서 나온다. 바람처럼 불처럼 떠난 전태일 님은 ‘아름다운-’을 앞에 붙인 이 이름이 멋쩍을 텐데? 왜 ‘바보전태일’ 같은 이름을 안 쓸까? ‘일하는전태일’이나 ‘어깨동무전태일’이나 ‘누구나전태일’처럼, 떠난넋이 나누려던 씨앗을 헤아리는 이름을 붙일 줄 모른다면, 전태일을 어떻게 읽힐 수 있을까?



지금까지도 먹여살려야 할 처자식들과 팔다리밖에는 아무것도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이 날마다 몰려드는 곳이 서울이다. 땅 잃은 농민들, 흙에 묻혀 아버지 어머니가 겪었던 괴로운 무지랭이의 삶을 이어받기를 거부하는 젊은이들, 일자리가 없어서 멀쩡한 팔다리를 갖고도 입에 풀칠을 할 수가 없는 실업자들, 그밖에도 살 길을 잃은 가지가지 사연의 사람들이 특권과 부귀의 식탁에서 떨어지는 빵부스러기를 주워먹기 위하여 그들의 지친 발길을 최후의 종착지인 서울로 돌린다. 수만 수십만 수백만의 발걸음은 이렇게 해마다 서울로 향하였고, 그리하여 서울의 판자촌, 뒷골목, 이른바 우범지대는 때려부숴도 때려부숴도 더욱 늘어만 갔다. (37쪽)


(아름다운전태일, 2020.9.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7.31.


《길모퉁이의 짐 할아버지》

 엘리너 파전 글/장숙자 옮김, 유진, 2001.5.1.



수그러드는 한여름 더위일 테지만, 여름은 여름이다. 다만 해가 조금씩 짧다. 오늘은 구름이 새삼스레 걷히면서 잠자리가 하늘을 덮는다. 매미노래가 그득그득 울린다. 빨래를 하고 씻고 또 빨래를 하고 씻는다. 함께 밥을 차리고 누리고 치운다. 줄줄이 흐르는 땀을 씻고 나도 땀이 줄줄이 흐른다. 이러면 또 씻고 빨래를 하고 새로 씻는다. 여름이면 “사람은 땀을 얼마나 흘릴 수 있는가” 하고 돌아본다. 14살 작은아이하고 〈그때 그 사람들〉을 함께 볼 수 있는지 돌아본다. 아직 멀었을 텐데, 혼자 조용히 다시보자니, 총질이 너무 잦다. 드러내려는 뜻보다 볼거리에 기울었다고도 느낀다. 나라도 살림도 사람도 꿈도 마구잡이로 밟던 무리를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어떻게 보여주어야 할까? 《길모퉁이의 짐 할아버지》를 되읽는다. 무척 잘 쓴 이야기인데 진작에 판이 끊겼다. 《작은 책방》은 새로 나왔는데, 엘리너 파전이라는 분이 어린이 곁에서 이야기꽃을 펼친 마음을 헤아리면서 이어읽기로 나아갈 분이 늘기를 빈다. 《말론 할머니》도 《클럼버 강아지》도 《줄넘기 요정》도 반짝반짝 아름답게 펼치는 이야기잔치이다. 어린이를 헤아리는 눈빛이기에 어른으로서 어진 길이란 무엇인지 새삼스레 돌아볼 수 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7.30.


《도깨비를 혼내버린 꼬마요정》

 후리야 나나 그림·토미야스 요우코 글/이영준 옮김, 한림출판사, 2000.4.3.



씻고 빨래를 한다. 또 씻고 또 빨래를 한다. 다시 씻고 다시 빨래를 한다. 저물어가는 더위를 느낀다. 한여름이 수그러든다. 수그러들어도 더위는 더위라서, 땀이 몽글몽글 솟는데, 7월 첫머리에 대면 아주 가볍다. 해질녘에 두바퀴를 달린다. 면소재지 가게에서 수박 한 통을 산다. 아주 크다. 곁님이 나무란다. 이렇게 커다란 수박을 어떻게 이고 오느냐고! 큰수박을 등짐으로 나르고서는 새삼스레 씻고서 빨래를 한 벌 더 한다. 여름손빨래를 하루 넉 벌 하는구나. 《도깨비를 혼내버린 꼬마요정》은 ‘오니를 나무란 멧아이’쯤으로 옮겨야 알맞은 그림책이고, “やまんばのむすめまゆのおはなし” 가운데 하나이다. 꾸러미로 나온 다른 그림책도 한글판이 나오기를 바라지만 까마득하다. 일본판을 장만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언젠가 일본판을 하나하나 그러모아서 아이들하고 읽고, 이웃한테도 들려주고 싶다. 멧숲을 품은 어버이가 멧숲살림을 어떻게 물려주고 알려주는지 포근하면서 즐겁게 속삭이는 줄거리가 아름답다. 사랑이라는 마음에는 싸움이 없고, 싸우려는 마음에는 사랑이 없다. 사랑이라는 몸짓은 맨손에 맨발로 스스로 노래하고 춤추는데, 싸우려는 몸짓은 총칼로 윽박지르면서 스스로 무너지고 죽는다.


#まゆとおに #やまんばのむすめまゆのおはなし #こどものとも傑作集 #富安陽子 #降矢なな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まゆとおおきなケーキ やまんばのむすめ まゆのおはなし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7.29.


《씁쓰름새가 사는 마을》

 송창우 글, 브로콜리숲, 2024.4.27.



빨래도 하고, 이불도 말리고, 집일도 하다가, 나래터를 다녀온다. 저잣마실까지 마치고서 ‘읍내 새 아파트’ 옆에 있는 나무쉼터로 간다. 몇날 앞서까지 들풀이 우거져서 풀벌레노래가 부드러이 흘렀으나, 오늘 보니 풀을 모조리 죽였구나. 풀을 칠 적에 지렁이는 시끌소리에 어지러웠을 테지. 길바닥에 말라죽은 지렁이가 100을 넘는다. 풀과 벌레와 새를 미워하면서 시골에서 어찌 사나? 울타리 너머 ‘새 아파트 놀이터’에서 말소리가 흘러든다. “엄마, 그네 좀 밀어 줘!” “미쳤어! 더워 죽겠는데 그네는 무슨 그네야! 너 맞을래!” 《씁쓰름새가 사는 마을》을 읽었다. 그런데 아이를 낳아 돌보는 두 어버이는 동화책이나 동시집을 얼마나 읽을까? 아이가 자란 뒤에도 동화책이며 동시집을 읽는 어버이는 몇이나 될까? 아이를 낳기 앞서 풋풋한 젊은이일 무렵에 동화책하고 동시집을 읽기나 할까? 다른 고장에서도 전남 고흥처럼 아이들한테 “너 맞을래!” 하고 빽빽거리는 어버이가 많을까? 길이나 마을에서뿐 아니라 배움터에서도 이런 소리를 어렵잖이 듣는다. 이 아이들은 어떤 어른으로 자랄까? ‘동화·동시’는 모두 일본말이기도 하지만, 이제 이 틀로는 어린이 곁에 서기 어렵다고 느낀다. ‘이야기·노래’로 거듭나야지 싶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