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27.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

 정해구 글, 역사비평사, 2011.5.16.



등허리를 펴고 나서 낮나절에 두바퀴를 달려서 면소재지에 간다. 철물점에 들러서 고맙다고 여쭌다. 호미 한 자루를 산다. 풀벌레노래도 개구리노래도 새노래도 새록새록 깊어가는 나날이다. 밤에 보는 별은 자꾸 흐리다. 이 시골조차 쇳덩이가 늘어나고, 곳곳을 잿더미로 들이붓는 삽질이 수두룩하다. 나무를 더 심거나 풀밭을 늘리는 손길은 안 보인다. 자꾸 파헤치면서 잿빛으로 물들이려고 한다. 이 나라는 참말로 들빛(민주)이 자리잡거나 퍼지는 얼거리인가? 뽑기(선거)를 할 수만 있되, 막상 아무런 들빛이 없는 얼음나라 같다. 《전두환과 80년대 민주화운동》을 읽었으나, 어린이나 푸름이한테는 도무지 못 읽히겠다. 책겉에 ‘20世紀 韓國史’처럼 한자를 큼직하게 적는데, 참 딱하다. 저놈들뿐 아니라 이놈들도 똑같이 섬김질(사대주의)에 썩어빠졌다. 들물결이 어떤 발자취였는지 살피려는 뜻은 훌륭하다. 그런데 “들물결을 적는 붓(민주화운동을 기록하는 지식인)”은 들물결하고 등졌다. ‘대형마트 계산원’도 쉽게 읽을 만하게 글결을 가다듬어야 한다. ‘시내버스 운전사’도 일을 쉴 짬에 펼 만하게 글결을 쉽게 고쳐야 한다. ‘민주화’가 무슨 뜻인가? 일본말인 ‘민주화’를 우리말로 풀어낼 때부터 ‘참빛’이 퍼지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