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5.1.


《선생님, 방정환이 누구예요?》

 배성호 글, 철수와영희, 2024.5.5.



돌담 너머로 가지를 뻗은 뽕나무하고 무화과나무를 조금 쳐내서 마당에 놓았다. 천천히 말라가다가, 비가 오니 빗물을 머금고서 잎이 새삼스레 푸르다. 바람이 잔잔하고 날은 시원하다. 조그마한 후박꽃을 한 송이 따서 혀에 얹는데 온몸으로 달콤한 맛이 훅 번진다. 꽃을 더 훑고 싶지만 무럭무럭 익은 뒤에 열매를 누리자고 생각한다. 밤에 이르자 구름이 모두 걷히고서 별이 나온다. 멀거니 고개를 들고서 빙그르르 살핀다. 반짝이는 별을 늘 바라보는 하루라면, 별빛을 마음에 담고서 살림을 짓겠지. 별이 반짝이지 않는 밤을 맞이하는 터전이라면, 모든 사람이 밤하늘 별처럼 다 다른 숨빛인 줄 잊으리라 본다. 《선생님, 방정환이 누구예요?》를 읽었다. ‘어린이날’을 세운 뜻이 훌륭하다고 여기는데, 좀 다르게 볼 수 있다. “낙엽을 태우며”를 쓴 이효석 못지않달까. 서슬퍼런 지난날 숱한 사람들은 징용·징병·위안부로 끌려갔고, 배를 곪다가 죽었다. 이런 때에 기름진 고기밥과 얼음(빙수)과 달달이(설탕)를 그토록 먹을 수 있던 집안이라면, “어떤 어린이한테 어떤 빛과 이야기”를 들려줄 만했을까? ‘어린이’란 이름을 높인 마음은 훌륭하되, ‘어린이·젊은이·늙은이’는 나이로 가른다. ‘아이·어른’이란 이름은, 나이가 어린 사람이 ‘철’이 들면서 스스로 피어나는 길을 짚는다. ‘어린이·아이’는 비슷하되 다른 낱말이다. 옆나라 글을 너무 많이 뒤바꾼(번안) 채 퍼뜨렸고, 《어린이》란 책을 곰곰이 보면 거의 ‘일본것(일본문화)’을 고스란히 따왔다. 우리 아버지가 《어린이》 글뜸(영인본)을 갖추셨기에 1982∼87년에 이 글뜸을 틈틈이 읽었다. 어릴 적에는 몰랐으나, 나중에 여러 책을 읽다 보니 《어린이》에 담긴 글과 그림이 여러모로 창피한 우리 민낯을 드러낸다고 느꼈다. 《선생님, 방정환이 누구예요?》가 이 모두를 담기 어려울는지 모르나, 너무 치켜세우기보다는 ‘우리 옛자취에서 배울 대목’을 헤아리면서, 좀더 넓고 깊게 다루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