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31.


《스티나의 허풍쟁이 할아버지를 찾아서》

 레나 안데르손 글·그림/김동재 옮김, 청어람아이, 2015.8.31.



해가 나오다가 구름이 덮는 하루이다. 해가 지고 나서는 구름이 걷히고 별이 나온다. 별이 제법 많지만 쏟아지지는 않는다. 낮하늘과 밤하늘이 어디로 갔을까. 볕바른 곳은 딸기꽃이 하얗고, 그늘진 곳은 딸기꽃망울이 여문다. 제비꽃은 그늘이 지건 볕이 바르건 아랑곳하지 않으면서 보랏빛을 밝힌다. 비릿나물도 떡잎이 나오고 조금씩 벌어진다. 《스티나의 허풍쟁이 할아버지를 찾아서》는 아이가 두 할아버지 사이에서 어떻게 사랑받는지를 부드럽게 들려준다. 아이는 두 할아버지 사이에서뿐 아니라 바다하고 숲 사이에서 온하루를 노래하고 놀면서 사랑받는다. 할아버지도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도 할아버지를 사랑한다. 바다하고 숲도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도 바다하고 숲을 사랑한다. 아름답게 하루살림을 담아낸 그림책을 덮고서 돌아본다. 우리는 ‘사랑’이 무엇인지 어느 만큼 짚거나 알거나 살필까? 허울로는 ‘사랑’이라는 낱말을 내세우지만, 정작 ‘사랑 척’이나 ‘사랑 시늉’이지는 않을까? 해와 바람과 비와 별이 우리를 사랑하는 줄 알아보는 이웃을 그린다. 해와 바람과 비와 별을 사랑하면서 온누리에 사랑씨앗을 심는 이웃을 그린다. 서울(도시)에서 살더라도 해사랑과 별사랑을 하는 이웃은 틀림없이 있으리라.


#Stinaochstortruten #LenaAnderso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1.


《백조 액추얼리》

 코다마 유키 글·그림/천강원 옮김, 애니북스, 2008.12.20.



해날이다. 해가 가득해서 ‘해날’이라고 적다가, 일본말 ‘일요일’을 ‘해날’로 풀어낼 적에 겹칠 텐데 하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레 가운데 하루를 가리킬 적에도, 해가 넘실거릴 적에도, 소리가 같은 ‘해날’을 쓰면서 해사하게 웃어도 어울리겠다고 느낀다. 뜨끈뜨끈 즐거운 하루이다. 딸기꽃은 늘어나고, 앵두꽃은 지고, 모과꽃이 벌어지고, 흰민들레도 하나둘 늘고, 텃노랑민들레도 죽죽 오르고, 쑥도 곧 뜯을 만하다. 〈책숲 1009〉를 글자루에 넣어서 읍내 나래터로 짊어지고 가서 부친다. 날이 확 풀리고 맑은데다가 바람까지 잔잔하니, 읍내로 마실을 나온 할매할배가 많다. 《백조 액추얼리》를 되읽었다. 꽤 잘 나온 그림꽃이다. ‘날개옷’ 이야기를 마음으로 읽고 느껴서 담아냈다. 그림꽃님이 선보인 다른 그림꽃을 뒤늦게 알아보면서 예전 그림꽃도 추슬러서 새로 읽는다. 우리가 오늘 짓는 말과 살림은 몇 해를 이을 만한 손길을 담을는지 어림해 본다. 두고두고 이을 사랑이 흐르는 말과 살림인가? 조금 반짝하다가 버려도 될 말과 살림인가? 나는 뜬말(유행어)을 아예 안 쓴다. 막말(욕)도 할 까닭이 없다고 본다. 모든 말은 누구나 스스로 마음에 대고서 심는 말이니, 늘 살림말과 사랑말과 숲말을 가려서 쓸 뿐이다.


#羽衣ミシン #小玉ユキ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30.


《무한한 하나》

 김대성 글, 산지니, 2016.10.28.



앵두나무는 오늘도 흐드러진다. 딸기꽃은 가만히 늘어난다. 며칠 앞서부터 듣는 봄제비 노랫가락을 따라서 하늘을 올려다본다. 해마다 봄이면 지난해 제비하고 올해 제비가 얼마나 다른지 눈여겨본다. 마을과 시골에 돌아오는 제비는 부쩍 줄지만, 늦여름과 첫가을에 마을들을 살피면 이럭저럭 제비떼가 모이기는 한다. 제비를 비롯한 뭇새한테 우리나라는 차츰차츰 살기 나쁜 곳으로 뒹군다. 새한테 살기에 나쁘다면, 사람한테는 얼마나 사납고 메마를까. 새를 잊는 사람은 이웃을 잊는다. 새노래를 등지는 사람은 동무를 모른다. 새를 품고 사랑할 줄 알기에 스스로 살림을 짓는 숨결을 노래한다. 《무한한 하나》를 진작 읽었고, 느낌글을 쓰려고 한참 묵힌다. 요즈음은 느낌글을 더 묵혀서 쓴다. 바로바로 쓸 수 있되, 하루를 묵히면 하루치 눈썰미를 더 담고, 달포를 묵히면 달포치 눈빛을 더 얹는다. 하루새뜸(일간신문)에 나오는 느낌글뿐 아니라, 여느 새뜸글도 안 읽은 지 한참 된다. 삭이거나 묵히거나 재우지 않은 채 날마다 쏟아내는 글에는 무엇이 있을까? 나도 날마다 글을 쓰지만, 웬만한 글은 몇 이레나 몇 달쯤 가볍게 묵히고, 몇 해나 열댓 해도 거뜬히 묵힌다. “끝없는 하나”란, 어제하고 오늘을 잇는 길이 한결같다는 숨소리일 테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9.


《아나스타시아 1》

 블라지미르 메그레 글/한병석 옮김, 한글샘, 2007.10.20.



부천에서 새벽을 열다. 어제 산 책을 밤하고 새벽에 천천히 읽는다. 어제하고 새벽에는 밑글만 쓸 뿐, 낱글을 따로 누리집에 올리지는 않는다. 새소리도 풀노래도 개구리노래도 없는 부천에서 길을 나선다. 서울 광진 쪽에서 ‘바다빗질’ 보임꽃(사진전시)이 있다는 말을 어젯밤에 들었다. 혼펴냄터이자 마을책집인 〈씨도씨〉로 가는 동안에도 새나 풀벌레나 개구리를 볼 수는 없다. 불수렁(지옥철)이라 일컫는 길에 새바라기를 그리는 사람이 있기 어렵겠지만, “도시이니까.”라는 말로 너무 쉽게 넘어간다고 느낀다. 서울은 오히려 푸른길과 파란하늘을 그리는 이야기나 자리가 곳곳에 있지만, 시골은 도리어 삽질과 뒷돈이 판치는 나라이다. 쓸쓸하게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는 빈자리가 거의 없을 뿐 아니라, 길도 막힌다. 비는 멎었다. 《아나스타시아 1》를 곧잘 되읽는다. 새로 나오는 책이 많고, 새책도 이래저래 챙기지만, 오래오래 되읽으면서 아이들하고 이야기를 지피는 책이야말로 더 짚고 살필 일이라고 생각한다. 목소리(인문·지식)를 내는 책이 아닌, 스스로 살림을 짓는 사랑을 들려주는 책을 마음에 놓아야, 나부터 거듭나고 나라도 달라지겠지. 사랑을 등진 채 자리만 지키는 무리는 그들 스스로 삶을 갉는 줄 모르리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8.


《보노보노 24》

 이가라시 미키오 글·그림/서미경 옮김, 서울문화사, 2005.3.24.



부천으로 가는 새벽길이다. 벌써 첫봄이 저물고 한봄이 코앞인데, 둘레에서는 “춥다!”는 타령이 물결친다. 이 아름다운 봄날에 해바라기를 안 하니 추울밖에 없다. 이 싱그러운 봄날에 봄비를 맞이하고 봄풀을 쓰다듬으면 따뜻하다. 서울뿐 아니라 시골에서도 봄볕을 거스른 채 “안 추워요?” 하고 묻는 분이 넘친다. 난 거꾸로 묻는다. “왜 추워요? 왜 스스로 추우려고 하나요?” 고흥을 떠난 시외버스는 서울에 닿고, 긴긴 길을 돌아서 〈대성서적〉에 닿는다. 가만히 깃들어 책꾸러미를 품은 뒤에 〈빛나는 친구들〉로 옮긴다. 《우리말꽃》이 태어난 씨앗과 밑길을 이야기로 들려준다. 누구나 마음씨가 있기에, 스스로 말씨를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서 오늘 하루가 달라지게 마련이라고 속삭인다. 《보노보노 24》을 되읽었다. 이 그림꽃은 1999년에 처음 보았다. 그때에는 일본글로 읽으면서 일본말을 배웠다. 수수하게 재미있다고 여길 수 있지만, 가벼운 우스개로 볼 수 있지만, 주먹질이나 발길질이나 ‘모난 말씨’가 끝없이 나온다. 이 그림꽃으로 일본말을 배울 적에 꽤 버거웠다. 되읽어 보아도 새삼스레 저린다. 굳이 제살깎기 같은 줄거리를 엮어야 했는지 알쏭하다. 그러나 1999년에는 아직 배움터나 일터에서도 주먹질이 판쳤다.


#ぼのぼの #五十嵐三喜夫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