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3.28.


《보노보노 24》

 이가라시 미키오 글·그림/서미경 옮김, 서울문화사, 2005.3.24.



부천으로 가는 새벽길이다. 벌써 첫봄이 저물고 한봄이 코앞인데, 둘레에서는 “춥다!”는 타령이 물결친다. 이 아름다운 봄날에 해바라기를 안 하니 추울밖에 없다. 이 싱그러운 봄날에 봄비를 맞이하고 봄풀을 쓰다듬으면 따뜻하다. 서울뿐 아니라 시골에서도 봄볕을 거스른 채 “안 추워요?” 하고 묻는 분이 넘친다. 난 거꾸로 묻는다. “왜 추워요? 왜 스스로 추우려고 하나요?” 고흥을 떠난 시외버스는 서울에 닿고, 긴긴 길을 돌아서 〈대성서적〉에 닿는다. 가만히 깃들어 책꾸러미를 품은 뒤에 〈빛나는 친구들〉로 옮긴다. 《우리말꽃》이 태어난 씨앗과 밑길을 이야기로 들려준다. 누구나 마음씨가 있기에, 스스로 말씨를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서 오늘 하루가 달라지게 마련이라고 속삭인다. 《보노보노 24》을 되읽었다. 이 그림꽃은 1999년에 처음 보았다. 그때에는 일본글로 읽으면서 일본말을 배웠다. 수수하게 재미있다고 여길 수 있지만, 가벼운 우스개로 볼 수 있지만, 주먹질이나 발길질이나 ‘모난 말씨’가 끝없이 나온다. 이 그림꽃으로 일본말을 배울 적에 꽤 버거웠다. 되읽어 보아도 새삼스레 저린다. 굳이 제살깎기 같은 줄거리를 엮어야 했는지 알쏭하다. 그러나 1999년에는 아직 배움터나 일터에서도 주먹질이 판쳤다.


#ぼのぼの #五十嵐三喜夫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