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아름책 2022.6.3.
[내 사랑 1000권] 풀꽃나무하고 속삭이며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
이오덕 엮음, 청년사, 1979.1.22. (양철북, 2018.2.2.)
이오덕 님을 큰스승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분이 큰일을 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늘 스스로 새롭게 배우고 아이한테 고개숙일 줄 아는 마음으로 작은 풀꽃하고 마음을 나누면서 나무가 들려주는 노래를 들으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아이한테서 흐르는 하늘빛을 읽으면서 보살피는 사람이기에 어른입니다. 아이를 가르치기만 하려고 나선다든지, 아이를 다그치거나 나무란다든지, 아이를 때리거나 괴롭힌다든지, 아이한테 막말·낮춤말·거친말을 쓰는 사람이라면 어른이 아닙니다. 아니, 이런 짓을 일삼는다면 그이는 어른은커녕 ‘사람조차’ 아닙니다.
큰스승으로 일컫는 이오덕 님은 언제나 별바라기처럼 아이를 마주하려 했고, 풀꽃바라기처럼 아이 말을 귀여겨들으려 했습니다. 이런 손길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고단하고 외로우면서 아픈 멧골마을 아이들 곁에서 마음벗인 어른으로 살아가려고 했습니다.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는 바로 아이들 입에서 터져나오는 목소리를 한 올씩 달래면서 “너희는 크면 사람이 된단다”, “너희는 크면 사랑이 된단다.”, “너희는 크면 숲이 된단다.” 하고 노래하는 책입니다.
그런데 이 애틋한 책은 1979년에 어렵사리 태어났으나 안타까이 사라져야 했습니다. 처음 펴낸 곳에서 먼저 낸 다른 책 글삯(인세)를 떼어먹을 뿐 아니라 속이고 거짓말을 일삼았거든요. 이오덕 님은 펴냄터 지기한테 “가난해서 돈이 모자라다면 글삯을 안 받을 수 있지만, 속이고 거짓말을 하는 짓은 안 된다.”고 하면서 《일하는 아이들》도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도 《우리도 크면 농부가 되겠지》도 책집에서 거두어들이기로 했습니다.
아름다운 책이라면 아름다운 손길로 책집에 펼쳐서 사람들이 아름답게 읽도록 북돋울 적에 빛나는 사랑으로 피어날 테지요. 2018년에 드디어 마흔 해 만에 다시 나오는데, 이오덕 님은 책이름을 ‘농부’ 아닌 ‘농사꾼’으로 고쳐야 한다고 진작에 밝혔습니다. 그런데 새 펴냄터는 이 뜻을 저버려요. 왜 그럴까요.
멧골아이 마음으로 오늘을 바라보기를 바라요. 멧골아이하고 동무하면서 앉은풀이랑 앉은꽃하고 소꿉을 놀고 속삭이기를 바라요. 멧골아이가 맨발로 뛰노는 숲에 나란히 깃들면서 숲바람을 마시고 숲빛을 품는 숲어른으로 살아가기를 바라요. 아이들을 억지로 가르치거나 배움터(학교)에 보내야 하지 않습니다. 멧숲이 없는 곳에 높은집만 잿더미(시멘트)로 올려세운들 아이들은 안 웃어요. 멧새랑 놀기에 밝게 웃는 아이입니다. 우리는 이제부터 숲을 되찾는 숲길을 걸을 노릇이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