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나는 말꽃이다 106 사랑



  마음이 끌리는 일은 ‘눈먼 좋아함’이 되기 일쑤입니다. 이와 달리, 사랑은 어디에도 끌리지 않고 눈이 멀지도 않습니다. 누구를 무척 좋아하는 사람들은 ‘바라기(팬클럽)’로 나아갑니다. ‘바라기(팬클럽)’는 ‘바라보고 바라는 마음’일 뿐, 이때에는 ‘사랑’이 아니에요. ‘좋아함·마음끌림’입니다. ‘바라기(팬클럽)’는 저희 마음이 끌린 누구만 좋아하느라 다른 쪽은 잘라내거나 끊으면서 다투거나 미운 마음이 불거지곤 하지요. 이 바라기랑 저 바라기가 다퉈요. 바라기인 터라 한쪽만 높거나 커야 한다고 여기거든요. ‘바라기·좋아함·마음끌림 = 울타리·끼리끼리 = 금긋기’예요. 딱 금을 그어서 이쪽이어야 좋다고 여겨, 저쪽이라면 싫거나 꺼립니다. ‘사랑 = 사랑’입니다. ‘사랑 = 아우름·어우름 = 온빛’이에요. 사랑은 금긋기를 안 합니다. 사랑은 서로 다르게 빛인 줄 알면서 새롭게 얼크러지는 숨결입니다. 이처럼 금긋기를 안 하는 길이 사랑인데 오늘날 사람들은 사랑을 잊고서 ‘좋아함’에만 파묻히느라 스스로 눈이 멀어 가는데, 스스로 ‘눈먼 좋아함’인 줄 모르면서 온누리를 쩍쩍 갈라치기를 하면서 싸웁니다. 사랑이 없으니까, 사랑을 스스로 배울 마음이 없으니까, 마음이 끌리는 대로 쉽게 휘둘리고 말아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9.25.

나는 말꽃이다 105 ‘참·거짓’하고 ‘진실·사실’



  낱말을 고르고 가려 올림말로 삼고서 뜻풀이를 붙이고 보기글을 살피고 달 적에는 늘 한 가지 마음입니다. ‘참말’은 올리고 ‘거짓말’은 안 올립니다. ‘참빛’을 품도록 북돋울 말을 곁에 두고 ‘거짓빛’으로 물들이려는 말은 손사래칩니다. 우리말 ‘참 = 차다 + 앎’이요, ‘거짓 = 겉 + 짓’인 얼개입니다. 비지도 모자라지도 않고, 기울지도 치우치지도 않고, 넉넉히 새롭게 솟고, 아름다이 나눌 줄 알며, 네 철을 고루 품는 숨결이기에 ‘참’입니다. 스스로 텅 비어서 아무것도 없거나 모자라다고 여기는 마음이기에, 마치 있는 척하려고 꾸미는 죽음길이기에 ‘거짓’입니다. ‘참 = 참다움·착함·고움·사랑’이라면 ‘거짓 = 겉·겉치레·허울·눈속임’입니다. 한자말로 보자면 ‘참 ← 진실’이요, ‘거짓 ← 사실’인 얼개예요. 속으로 아름다이 빛나며 어디로나 피어나는 사랑이기에 ‘참·진실’이라면, 속이 비었기에 꾸미는 눈가림이기에 ‘거짓·사실’이에요. 한자말 ‘사실 = 겉으로 보이는 그대로’입니다. 속이나 마음이나 씨앗(알맹이)이 아닌 겉모습이나 옷차림만 보려는 ‘거짓·사실’이에요. 낱말풀이하고 올림말하고 보기글은 늘 참빛으로 흐르는 아름말·사랑말일 노릇입니다. 뜬말·거짓말·속임말을 거르고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빛/숲노래 우리말 2022.9.22.

나는 말꽃이다 104 사투리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한자말 ‘육아(育兒)’를 “어린아이를 기름”으로 풀이합니다. ‘기르다’는 “2. 아이를 보살펴 키우다”로, ‘키우다’는 “2. 사람을 돌보아 몸과 마음을 자라게 하다”로, ‘돌보다’는 “관심을 가지고 보살피다”로, ‘보살피다’는 “1. 정성을 기울여 보호하며 돕다”로 풀이합니다. 끝없는 돌림·겹말풀이인데, 막상 아이한테 무엇을 어떻게 할 적에 ‘육아’이거나 ‘기르다·키우다·돌보다·보살피다’인지를 제대로 알기 어렵습니다. 우리말꽃(국어사전) 뜻풀이는 왜 이다지 엉터리일까 하고 돌아보면, 말글지기(국어학자) 스스로 아이 곁에 있지 않은 탓이라고 느껴요. 아이를 사랑으로 낳아 함께 살림을 짓는 하루를 보내었다면 ‘육아’란 한자말이건 ‘기르다·키우다·돌보다·보살피다’란 우리말이건 알맞고 아름다우며 사랑스레 풀이할 테지요. 사투리는 “스스로 삶·살림·사랑을 숲빛으로 지으며 살아가는 수수한 사람들 입에서 저절로 샘솟는 말”이라고 느낍니다. 먼 옛날부터 누구나 스스로 삶·살림·사랑을 숲빛으로 지으며 말도 이런 숨결로 지어서 썼듯, 오늘날에도 우리 나름대로 저마다 삶·살림·사랑을 숲빛으로 지으며 말 한 마디하고 글 한 줄을 여미는 새길로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103 굳이



  어릴 적부터 둘레에서 흔히 묻는 말 가운데 하나는 ‘굳이’입니다. “굳이 그쪽을 골라야 해?”부터 “굳이 안 먹어야 해?”라든지 “굳이 그 길을 가야 해?”라든지 “굳이 그 책을 읽어야 해?”라든지 “굳이 그 말을 알거나 써야 해?”처럼 묻는 말이 끝없습니다. 짝을 맺을 적에는 “굳이 잔치(혼례식)를 안 해야 해?”처럼 묻고, 아이가 집에서 놀도록 품으면 “굳이 배움터(학교)를 안 보내야 해?”처럼 묻고, 쉰 살이 가깝도록 걸어다니니 “굳이 부릉이(자가용)를 안 몰아야 해?”처럼 묻고, 서울·큰고장을 떠나니 “굳이 시골로 가야 해?”처럼 묻고, 여태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일을 한다니 “굳이 네이버 찾아보기 아닌 종이꾸러미(종이사전)를 엮어야 해?”처럼 묻습니다. ‘굳이’를 앞세우는 모든 분한테 “저는 굳이 하지 않아요. 할 일이고 갈 길이니 즐거이 맞이합니다. 이웃이 짓는 살림을 안 바라보며 굳이 이렇게 따지면 즐겁나요?” 하고 되물어요. 남들이 보면 ‘굳이 뜻풀이를 새로 붙이’고 ‘굳이 말밑(어원)을 캐내려 용쓰’고 ‘굳이 새말을 지어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려 하’는 길입니다. 그러나 우리말꽃은 굳이 여미는 꾸러미일 수 없어요. 낱말 하나하고 얽힌 살림을 즐겁게 헤아려 사랑으로 엮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말꽃/숲노래 말빛

나는 말꽃이다 102 날개랑 사슬



  어린이는 높낮이를 안 가립니다. 누구한테나 말을 놓습니다. “말을 놓는다”고 했는데, “마음을 놓고서 생각을 놓으려고 다가서고 마주한다”는 뜻입니다. 어린이는 어른이 길들인 뒤부터 나이가 많거나 몸집이 큰 이들 앞에서 ‘높임말’을 쓰도록 짓눌리지요. 어린이가 오직 기쁨과 보람과 사랑으로 자라난다면 겉모습(나이·힘·돈/지위·권력·재산)을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마음으로 말을 놓아 생각을 잇는 길”에 서서 놀려고 합니다. 어린이 살림길은 늘 놀이하는 노래가 바탕입니다. 이 숨결을 고이 이어 어른이 될 적에 비로소 사랑이에요. 놀이하는 노래가 없으면 사랑이 아니에요. 살을 부비거나 섞는 일은 사랑이 아닙니다. 살부빔과 살섞기일 뿐이지요. ‘아이말’은 “품위 없애는 말 = 굴레·사슬·높낮이가 없이 어깨동무하면서 놀고 노래하고 춤추는 기쁘며 보람차고 사랑스러운 말”입니다. ‘아이말 = 날개말’이에요. ‘어른말 = 사랑말’이지만, ‘늙은말(권력 언어) = 사슬말, 스스로 굴레에 갇히며 이웃을 사슬에 가두는 말”입니다. 우리 어른은 아이들이 배울 만하고 물려받을 만한 말을 쓸 노릇입니다. 우리 아이들은 참어른답게 사랑이 빛나는 말을 배우면서 물려받을 노릇이에요. 주고받을 말이란 ‘날개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