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정복 : ‘내 것’이 아직 아니니, 나로서는 어느 것도 쓸 수 없다. ‘네 것’이라면 네가 쓰겠지. 너한테서 빼앗는대서 내가 쓸 수는 없다. 내가 너한테서 빼앗으면 ‘내 소유’라는 이름으로 둘 수 있더라도, 껍데기(허울·겉)를 곁에 둘 뿐이니, 이 껍데기로는 제값·속값을 못한다. 제값도 속값도 못하는 껍데기는 내 것이 되지 않는다. 거꾸로 ‘내 소유’가 아닌 ‘네 소유’가 되도록 내 것을 너한테 빼앗겼다고 하더라도, 이 또한 ‘정복’이 아닌 ‘강탈·강압’일 뿐이니, 너는 나한테서 빼앗은 그 껍데기(허울·겉)만 붙잡고서 나대는 셈이다. 우리가 저마다 ‘내 것’으로 삼는다고 할 적에는, 우리 손아귀에 거머쥐도록 한다는 뜻이 아니다. 우리 스스로 온마음을 다해서 지켜보고 가꾸어서 늘 새롭게 빛나도록 돌보는 길을 간다는 뜻이다. 거머쥐거나 빼앗으면서 무릎을 꿇려 보았자 껍데기일 뿐이다.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하고, 살림을 다룰 줄 알아야 하고, 사랑을 돌볼 줄 알아야 한다. 이렇게 할 적에는 ‘우리 것(내 것)’을 오롯이 누리고 편다. 1997.8.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1997년 한여름.

군대에서 이런 쪽글을 남겼구나.

삶죽음 사이를 날마다 오가면서

안 미치고 제넋을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고 생각하던

어느 날

중대장과 행보관 꼬락서니를 보고서

남긴 글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슬기 : 어머니다움, 아버지다움, 어버이다움이 무엇일까를 헤아릴 수 있다면, 우리는 슬기롭고 즐겁게 하루를 맞이하겠지. 싱그러운 물살처럼, 이 가을날 가랑잎처럼. 다가올 겨울날 하늘빛처럼. 머잖아 새로 찾아들 봄꽃처럼. 그리고 후끈후끈 골고루 덮는 뙤약볕처럼. 빛나는 넋을 스스로 알아보며 노래하듯 말을 할 줄 알기에 슬기이다. 2023.10.1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노래칸 : 노래를 목청껏 외치면서 짜증을 훅훅 털어낸다고 하는 곳이 많다. 나는 이곳을 1990년 중학교 3학년 무렵에 처음 가 보았다. 동무가 같이 가 보자고 한 해 가까이 보챈 끝에 들어갔는데, 엄청난 소리에 귀가 멍멍했다. 고등학교 적에 몇 걸음을 더 해야 했지만 노래는 안 부르고 귀를 막으면서 ‘언제 이 녀석들이 다 놀고서 나가자고 하려나’ 하고 기다리기만 했다. 고등학교를 마친 1994년부터는 좋든 싫든 노래 몇 가락은 뽑을 줄 알아야 했기에, 노래칸에 있는 노래 가운데 내가 좋아할 만한 노래를 찾아내어 외우기도 했다. 그렇지만 막상 애써 부르고 싶은 노래가 노래칸에는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 두 아이를 낳으면서 노래칸에 갈 일은 없다시피 하고, 시골로 터전을 옮기면서 조용히 바람노래하고 풀노래하고 새노래를 듣는다. 밤에는 별노래를 듣는다. 우리는 누구나 저마다 다른 노래빛이다. 우리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노래를 들을 줄 알면 굳이 꽉 막히고 캄캄한 곳에 들어박혀서 소리를 지르지 않으리라. 노래는 놀이하는 사람한테서 스스럼없이 웃음눈물로 흘러나온다. 새가 어떻게 노래하는가? 벌레가 어떻게 노래하지? 바람하고 별은 어떻게 노래하나? 오늘날에는 ‘노래’가 아닌 ‘소리장사꾼’만 있다고 느낀다. 귀를 열고서 노래를 들어야 스스로 귀를 틔울 텐데. 2022.10.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경력단절 : 혼자 아이를 돌보느라 ‘경력단절’이라 여기는 분이 무척 많은 줄 아는데, 아이를 돌보았대서 ‘경력단절’은 터럭만큼도 안 된다. 오롯이 아이하고 열 해나 스무 해를 살아낸 분을 보라. 미움이나 짜증이나 설움이 아닌, 오직 사랑이란 마음으로 아이하고 열 해에 스무 해에 서른 해에 마흔 해를 살아온 분을 보라. ‘아이돌봄’을 해온 분은, 아이 곁에서 살아온 나날이 늘면 늘수록 솜씨꾼(멀티플레이어·베테랑)으로 거듭난다. 한꺼번에 몇 가지 일쯤 우습지 않게 해내는 솜씨를 보라. 온갖 일을 도맡으면서 지치지 않는 어마어마한 기운을 보라. ‘독박육아·경력단절’이란 있을 수 없다. 아이 곁에서 살아가는 나날은 ‘어디에도 없는 새 경력을 놀랍게 이루어 빛나는 길’이다. 그동안 일구고 쌓아온 모든 살림살이를 아기한테 새롭게 맞추어서 어린이하고 함께 나아가는 어깨동무를 처음부터 다시 익힌 이분, 그러니까 ‘아줌마’는 어떤 일을 맡겨도 훌륭히 해낼 만하다. 그래서 대통령을 비롯하여 국회의원·시도지사군수·장관·부장·팀장·교육감 같은 일자리는 ‘선거 없이 아줌마한테 맡길 일’이라고 본다. 일을 잘하는 사람이 대통령을 맡아야 한다면, ‘여러 아이를 스무 해쯤 돌본 아줌마’가 어울린다. 여러 아이를 스무 해쯤 돌본 아줌마는 일을 어마어마하게 잘할 줄 아는데, 고르게 아름답게 깔끔하게 사랑스럽게 눈부시게 잘한다. 우리나라가 흔들리거나 망가지려 한다면, ‘아줌마 대통령’이나 ‘아줌마 국회의원’이나 ‘아줌마 시도지사’가 아닌 ‘얄딱구리한 정치모리배’가 돈과 이름과 힘을 거머쥔 탓이라고 여길 만하다. 그리고 ‘군대를 다녀온 돈·이름·힘이 없는 아저씨’는 집안일을 잘할 줄 안다. 집안일은 ‘군대를 다녀온 아저씨’한테 맡기자. 사납고 슬픈 사슬터(감옥)인 군대인데, 이 군대에서 스스로 살림하면서 살아남은 아저씨한테는 ‘오직 사랑으로 보금자리를 일구고 싶다’는 꿈이 싹트게 마련이다. 2010.10.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주례사는 비평인가 : 곰곰이 생각해 본다. ‘주례사 비평’이란 말은 아주 틀렸다. ‘주례사’는 ‘비평’일 수 없고, ‘비평’은 ‘주례사’일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 쏟아지는 책에 ‘비평’은 거의 안 실린다. 하나같이 ‘주례사’이다. 그런데 다들 ‘비평’이란 이름을 붙인다. 치켜세우거나 오냐오냐 하는 글이 비평일 수 없다. 주례사일 뿐이다. 꽃잔치(혼례식)이기에 꽃말(주례사)을 하겠지. 새로 나온 책이니 잘되라는 뜻으로 꽃말만 그득그득 담을 수 있겠지. 다만, 책이 나오고 난 뒤에 우리는 ‘이야기(비평)’를 들려주어야 한다. 꽃잔치를 마친 지 한참 지났는데에도 언제까지 오나오냐 할 셈인가? 우리 스스로 ‘좋아하는 글바치’라면 더더욱 따갑게 아프게 이야기를 들려줄 노릇이다. 생각해 보라. 그대가 좋아하는 사람이 벼랑길로 달려가는데 안 말리겠는가? 그대가 좋아하는 글바치가 곤두박질을 하는데 안 붙잡겠는가? 막장으로 치닫는 글바치가 스스로 눈을 번쩍 뜨도록 따갑고 아프게 이야기(비평)를 하는 이들이 사라진다. 사라질 뿐 아니라, 이야기(비평)를 하는 사람을 나무라거나 내치기까지 한다. 이제 온나라가 오냐오냐판이다. ‘서이초·주호민·왕의 DNA’에 ‘고은·신경숙·안희정·신학림·임옥상’ 따위가 어디에서 비롯하고 불거졌겠는가? 바로 이 오냐오냐판을 스스로 일으키고 세운 우리한테서 싹텄다. 2023.10.1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