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문학상 : ‘이상문학상’이 ‘노예계약’이라고 하는 이야기를 오늘 처음 들었다. ‘저작권 3년 양도 조항’이 있다니, 참 대단한 이들이로구나 싶다만, 문학사상사란 출판사만 이렇게 하지 않는다. 다른 문학상은 이처럼 ‘저작권 3년 양도 조항’은 없으나 ‘상금’이 막상 ‘상금 아닌 상금’이기 일쑤이다. 왜 그런가 하면, 출판사에서 준다고 하는 여러 문학상을 가만히 뜯어보면 ‘상금(또는 고료)’을 한몫에 1000만 원이나 2000만 원을 준다고 밝히지만, 막상 이 상금은 ‘글삯(인세)’을 미리 주는 셈이기 일쑤이다. 다시 말하자면, 출판사에서 주는 상을 받아서 그 출판사에서 책을 낼 적에 ‘책이 나온 뒤에 상금을 넘는 돈을 글삯으로 벌어들여 주지’ 않으면 글삯이 한 푼도 없다. ‘상금’은 모두 겉발림·이름팔이일 뿐, 선인세를 줄 뿐이다. 생각해 보라. 이게 무슨 상금인가? 상을 주려면 상금은 상금이고 글삯은 글삯대로 따로 챙겨 주어야 맞다. 상금 많이 주는 척하지만, 참말로 상금을 주는 출판사는 없는 셈이랄까? 상금을 주겠다면 몇 천만 원을 준다며 내세우지 말고, 다문 100만 원이든 300만 원이든, 글삯하고 따로 셈해서 그냥 주어야 옳으리라. 저작권을 엉터리로 알거나 마구잡이로 굴리는 이는 문학사상사뿐이 아니다. 창비나 문학동네나 비룡소나 이곳저곳에서 여태 내놓은 ‘문학상 공모 요강’을 들여다보라. ‘상금하고 인세는 별도’로 여기는 곳이 있을까? 그들은 여태껏 겉발림에 이름팔이로 사람들을 속여 왔다. 다들 눈가림을 했지. 그리고 여태 숱한 글꾼은 출판사가 이러한 짓을 눈가림으로 일삼았어도 슬그머니 넘어갔다. 상을 받았으니 그 상을 그들 글꾼도 똑같이 내세우면서 어깨동무를 한 꼬락서니이다. 2020년에 이르도록 이런 겉발림·이름팔이 문학상일 뿐이라는 대목을 따지거나 그런 출판사에서 책을 안 내거나 그런 잡지사에 글을 안 실은 글꾼이 몇이나 될까? 아니, 있기나 할까? 그나마 2020년 이상문학상을 놓고는 이제서야 겨우 말 몇 마디를 하는 글꾼이 보이기는 하네. 문학상이 왜 그 나물에 그 밥인가를 사람들이 너무 모른다. 게다가 문학상을 주거니 받거니 하는 선배작가(원로작가)하고 후배작가(신진작가)가 더없이 끼리끼리 노는 모습을 여태 쉬쉬해 왔다. 제발 이제부터라도 바보짓을 멈추자. 글다운 글을 쓰고, 삶다운 삶을 짓고, 사랑다운 사랑으로 오늘 하루를 가꾸기를 빌 뿐이다. 2020.2.4.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아스팔트 : 나라에서 앞으로 어마어마한 돈을 들여서 곳곳에 ‘스마트팜’을 때려짓는다고 한다. 고흥군은 스마트팜 사업에 뽑힌 곳 가운데 하나이다. 고흥군은 스마트팜 사업에 뽑힌 뒤 달포 즈음 마을마다 ‘국비 500억 유치 축하’ 걸개천이 이백 곳쯤 나붙었지 싶다. 시큰둥하게 지나치려다가 어느 분이 ‘스마트팜 공사 예정지’를 보여준다면서 차를 태워 주었고, 그곳에 가 보았으며, 경상도 어느 화력발전소에서 버리는 잿더미(석탄재)를 벌써 몇 달째 들이부어서 어마어마하게 냄새와 먼지가 날리고 죽음밭이 된 모습을 코앞에서 보았고, 들어가서 그 죽음터를 밟아 보기도 했다. 무슨 뜻인가 하면, 나라에서 스마트팜 ‘사업 선정 결과 발표’를 하기 앞서 그 터에 잿더미를 들이부었으며, 갯벌을 메운 땅에 드넓게 들이부은 잿더미에 더 엄청나게 시멘트를 발라서 터를 다지고는 유리온실을 크게 지어서 수경재배를 해서 도시 대형마트에 남새를 납품한다더라. 그리고 이런 유리온실 수경재배 시설은 와이파이로 움직이고. 덧붙이자면, ‘스마트팜’은 시골살림을 북돋우지 않고, 도시 이웃한테 좋은 먹을거리를 베풀지도 않는다. 게다가 ‘일자리 늘리기’는 하나도 보탬이 안 된다. 갯벌을 메운 땅을 사들인 땅임자 한 사람한테 이바지를 하고, 이를 꾀하는 군청 벼슬아치하고 군수하고 국회의원한테 이바지를 한다. 그리고 화력발전소 잿더미를 버릴 데가 없어서 갈팡질팡하던 한국전력한테 이바지할 테고, 시멘트를 엄청나게 들이부을 테니 시멘트업자, 시멘트업자를 부리는 ‘군수와 군청 벼슬아치하고 가까운 토목건설업체’한테 이바지하겠지. 스마트팜을 때려지으면 시골로 사람이 들어올 만할까? 아니다, 스마트팜 따위를 나라에서 목돈을 들여서 자꾸 늘릴수록 시골은 아주 망가질 뿐 아니라, 숲이 그리워 시골로 가고 싶은 사람은 진저리를 치겠지. 이뿐인가? 스마트팜 건설 예정지를 둘러싼 마을은 냄새와 먼지와 쓰레기물 때문에 고달프다. 마을도 죽이고 시골도 죽일 뿐 아니라, 그런 죽음터에서 햇볕도 흙도 빗물도 없이 수돗물로 키우는 남새를 대형마트에서 값싸게 사다 먹을 도시사람도 죽인다. 그나저나, 내가 이런 이야기를 갈무리했더니 나더러 ‘자동차 타지 말고 고속도로 아스팔트 달리지 말라’고 핀잔하는 사람이 있더라. 난 운전면허를 안 땄는데? 난 으레 걸어다니고, 자전거를 타는데? 가끔 시골버스하고 택시를 타는데? 고속도로도 아스팔트도 그대가 갖고 싶으면 다 가져가렴. 그런데 그대가 고속도로하고 아스팔트를 몽땅 가져가되, 그 고속도로하고 아스팔트로 ‘내가 마실 바람’하고 ‘내가 디딜 땅’하고 ‘내가 사랑하는 숲’을 터럭만큼이라도 더럽히거나 건드릴 생각은 하지 말아 주겠니? 2020.2.2.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라에서 엄청난 돈을 들이부어

유리온실 수경재배를 스마트폰으로 관리한다는

스마트팜을

이런 곳에다가 시멘트로 터를 다진 뒤에 짓는단다.

이 까만 땅이란,

화력발전소에서 나온 쓰레기(잿더미)이다.


도시 사는 이웃님이여,

스마트팜 민낯을 아는가?

화력발전소 폐기물을 바닥에 두고

시멘트로 터를 닦아서 유리온실 수경재배를 하는

그 스마트팜에서 거둔 남새나 열매나 곡식을

참말로 '값싸게' 사서 먹고 싶은가?


이런 짓을 일삼는다면서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붓는

중앙정부 공무원과 지자체 공무원,

또 장관, 군수, 국회의원, 대통령, 군의원, 도의원,

여기에 시골 땅임자들까지 ...

이들을 이제 박살내야 하지 않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먹이 : 몸에는 먹이를 주어 힘이 나도록 한다. 마음에는 빛을 주어 기운이 나도록 한다. 목숨이 살아가는 길에 먹이하고 빛 가운데 무엇을 어떻게 얼마나 주는가를 생각해 본다면, 스스로 즐겁거나 아름답거나 사랑스러운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버이나 어른으로서 아이하고 어떻게 살아가는가를 알 수 있으며, 우리가 무엇을 배우거나 가르치거나 나누는가도 스스로 알아차리겠지. 2008.7.17. ㅅㄴㄹ


えさ : 體には餌をくれて元氣が出るようにする。 心には光をあたえて生氣を出すようにする。 生命が生活する道へ, 餌と光の眞ん中, 何をいかにしてあたえるかを考えてみれば, 自分で樂しくても美しくも愛しいかをわかる。 そして, 親や大人として子供とどのように生きていくかがわかり, 私たちが何を習ったり敎えたりするかにも自分で氣づくだろう。 (作 : 森の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글손질 : 글손질을 하고 싶다면 몇 가지 길을 들 수 있다. ㉠ 10살 어린이 마음이나 눈길로. ㉡ 숲사람 눈빛으로. ㉢ 시골에서 흙짓는 할머니 할아버지 손짓이나 몸짓으로. ㉣ 아기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어버이 숨결로. 1994.5.8.


文手入れ : 文手入れをしたいなら, いくつかの道をいえる。 ① 10歲兒の心や目に ② 森の人の目つきで ③ 田舍で農作業するお婆さんと お爺さんの身振り手振りで ④ 赤ちゃんを愛で産んで世話する親の息づかいで (作 : 森の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