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을 심는 책



  온누리에 있는 책은 언제나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처럼 두 가지 책으로 가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못 알아볼 사람한테 읽힌들 부질없는 책이요, 다른 하나는, 못 알아볼 사람한테 읽혀도 씨앗을 살며시 심는 책입니다. 못 알아볼 사람한테 책을 건네거나 선물하거나 빌려주더라도 참말로 부질없을 수 있어요. 하나도 모르는 책일 수 있고, 조금도 알려 하지 않는 책일 수 있어요. 그러나 하나도 모르거나 조금도 알려 하지 않더라도, 언젠가 알 수 있거나 알아보려고 나서는 책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 이웃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이 두 가지 책으로 가를 만하지 싶습니다. 생각해 봐요. 우리는 저마다 다르기에 우리는 저마다 잘 할 줄 아는 일도 다르고, 잘 모르는 일도 다릅니다. 온누리에 태어나는 책은 그 책을 쓴 사람 나름대로 깊고 넓게 살핀 책이기 마련이라서, 이 책을 놓고 어느 책이웃도 글쓴이만큼 알거나 살피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말이지요, 글쓴이만큼 책을 읽어낼 수 없으니 책이웃은 책을 읽지 말아야 할까요? 아닙니다. 우리는 글쓴이가 뿌린 씨앗을 살펴서 우리 마음에 즐겁게 심습니다. 이러면서 우리 나름대로 새로 배우는 길에 글쓴이 책 하나를 기쁘게 곁에 두면서 함께 누려요. 우리 배움길에 이웃 글쓴이 책은 밑거름이 되어 줍니다. 저는 책을 내놓거나 글을 써내면서 늘 한 가지를 살펴요. 제 책이나 글은 언제나 씨앗이 된다고 말이지요. 어느 글이웃한테는 오늘 바로 싹이 트고 뿌리가 내리는 씨앗이 되고, 어느 책이웃한테는 한두 해나 열 해쯤 뒤에 비로소 싹이 트고 뿌리가 내리는 씨앗이 되리라 여깁니다. 오늘 제 책을 사서 읽으시더라도 열 해 뒤에 싹이 틀 수 있고, 열 해쯤 뒤에 제 책을 사서 읽으시는 그날 바로 싹이 틀 수 있습니다. 모든 책은 씨앗입니다. 2018.7.9.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이 글은 고흥에 있는 국립청소년우주센터 기념품집 눈높이에 맞추어서 썼습니다 ..


+ + +


반품하지 않습니다



  책집을 열거나 기념품집을 하면서 책을 팔기는 어려울 수도 쉬울 수도 있습니다. 스스로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스스로 어렵게 여기면 언제나 어렵고, 스스로 쉽게 여기면 언제나 쉬워요. 사람들은 책을 안 좋아해서 책을 안 사거나 안 읽을 수 있지만, 사람들은 아직 책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 책을 못 사거나 못 읽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책집에서든 기념품집에서든 사람들한테 먼저 책을 알려야 합니다. 책을 팔기 앞서 알려야지요. 책을 알리지도 않는데 팔 수 없는 노릇입니다. 책을 안 알려도 책을 팔 수 있다면, 이때에는 책을 좀 알거나 잘 아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다들 책을 잘 알거나 널리 읽는다면 굳이 책집지기나 기념품집지기가 책을 알릴 일이 없습니다. 이를테면 빵집에서 빵집지기가 굳이 빵을 알리지 않습니다. 다만, 빵집지기도 새로 구운 빵이 있으면 빵집 손님 가운데에서 낯설어 하거나 그냥 지나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니, 찬찬히 이야기해 주지요. 또 늘 빵집에 오는 손님이 그날그날 어떤 빵을 고르면 좋을까 하고 물을 적에 그날그날 어느 빵이 더 어울리겠다고 알려주지요. 이처럼 책집지기나 기념품집지기는 손님을 살펴서 낱낱이 책이나 기념품을 알려주기도 해야 하지만, 그날그날 맞추어 그날그날 어울릴 만한 책을 이야기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자, 그러면 이제 생각해야지요. 빵은 거의 틀에 잡힌 대로 구우니 아주 새로운 빵을 굽는 일은 드뭅니다. 이와 달리 책은 날마다 새로 쏟아집니다. 이 엄청난 책물결 사이에서 그날그날 알맞춤한 책을 가려내기란 처음부터 일입니다. 다시 말해서, 책을 팔려면, 새로 쏟아지는 책물결 사이에서 책집이나 기념품집에 갖출 책부터 슬기롭게 골라야지요. 그리고 이렇게 가려내거나 골라낸 책을 우리 책집이나 기념품집에 따로 놓는 뜻을 알려야 합니다. 교보문고나 알라딘중고서점처럼 아주 커다란 곳이라면 온갖 책을 다 갖추니, 책손한테 굳이 우리 책집이나 기념품집이 왜 다른가를 알릴 까닭이 없어요. 그러나 작은 크기로 꾸리는 책집이라든지, 국립청소년우주센터 기념품집처럼 남다르게 꾸리는 곳이라면 달리 생각하고 새롭게 보아야 합니다. 이 작은 책집에 어떤 책을 골라서 놓는지, 국립청소년우주센터 기념품집에 왜 이러한 책을 가려서 두는지 손님한테 알려주어야지요. 그리고 이러한 책집이나 기념품집에 놓은 책마다 짤막하게나마 알림글을 달아 줄 노릇입니다. 적어도 석 줄, 길면 열 줄이 넘지 않도록, 책집이나 기념품집에 갖춘 책을 책집지기나 기념품집지기 눈썰미나 마음결에 맞추어 읽은 기쁨을 고스란히 담아내는 알림글을 종이에 손글씨로 적어서 붙이면 좋아요. 이렇게 해 놓으면, 작은 책집이나 기념품집을 찾아온 손님은 알림글을 눈여겨보아요. 알림글을 눈여겨보지 않는 손님이 있으면, 이 알림글을 한번 읽어 보아 주시기를 바란다고 이야기해 볼 만합니다. 이렇게 하면 책이 저절로 제길을 찾아서 떠납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렇게 마음을 쓰고 손을 쓰며 생각을 쓰고 글까지 쓸 적에 비로소 책이 움직여서, 즐거운 손님한테 즐거운 읽을거리로 찾아가지요. 이러면서 작은 책집이나 기념품집이 할 몫이 하나 더 있어요. 반품하지 않기입니다. 갖추는 책을 출판사에 돌려보내지 않기로 다짐해야 합니다. 어떻게 해서든 모두 손님 손에 가도록 하겠다는 마음을 품으면, 참말로 모든 책을 저마다 다르면서 재미있고 새롭게 파는 길을 열 만합니다. 자, 생각해 봐요. 작은 책집이나 기념품집에서 애써 고르거나 가린 책이라면, 날마다 쏟아지는 책 가운데 얼마나 알뜰히 살펴서 추린 책일까요? 반품할 만한 책이 있을까요? 아마 없을 테지요. 아직 손님이 못 알아본 책이 있을 뿐입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우리는 알뜰히 추려내어 책집이나 기념품집에 갖춘 책을 어떻게 하면 즐거우면서 새롭게 책손 품에 안기도록 팔 수 있는가 하는, 즐거우면서 새로운 길을 아직 덜 찾았다는 이야기예요. 반품하려는 생각이 있다면, 새길찾기하고 멀어져요. 즐겁게 팔려고 생각하면 즐겁게 파는 길을 열 수 있고, 새롭게 나누려 하면 새롭게 나누는 길을 갈 수 있습니다. 어렵다고 여기면 어렵다는 말을 되새겨 주셔요. 어려움도 쉬움도 아닌, 즐거움을 마음에 품고서 다시 바라보면, 그야말로 새로 책집살림 기념품집살림을 북돋울 만합니다. 자, 생각해 봐요. 이 멋진 책집이나 기념품집뿐 아니라, 이를테면 국립청소년우주센터를 드나드는 숱한 어린이하고 푸름이하고 어른한테 이 멋진 책(또는 기념품)이 가도록 길을 내는 기쁜 일을 생각해 봐요.2018.7.9.달.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교복 입혀서 빈부차별 사라질까



  어느 기자 이웃님이 얘기합니다. 푸름이한테 교복을 입히면 ‘더 비싼 상표를 입지 못하도록 막는 구실’을 해서, 푸름이 사이에서 ‘빈부차별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고요. 이 말을 들으며 빙긋 웃고 대꾸했습니다. “그러면 신은요? 가방은요? 속옷은요? 가난한 집 아이는 교복 한 벌을 빠듯하게 장만할 텐데, 잘사는 집 아이는 여러 벌 장만해서 돌려입겠지요. 그래도 교복이 빈부차별을 줄이도록 하나요? 가난한 집 아이는 오히려 교복 장만하는 값 때문에 더 힘들지 않을까요?” 이렇게 되묻는 말에 기자 이웃님은 달리 대꾸를 하지 못하십니다. 마땅한 노릇이겠지요. 푸름이한테 교복을 입힌들 빈부차별이 겉으로 안 드러나게 막지 못합니다. 겉차림으로 눈가림을 하는 길이 아닌, 어떤 옷을 입든 서로 아낄 줄 아는 마음과 눈길이 되도록 참살림을 가르치고 배워야지요. 더 비싼 옷을 입는 대서 멋지지 않은 줄, 더 값싼 옷을 입는 대서 안 멋지지 않은 줄, 어버이랑 어른 누구나 푸름이하고 이야기를 하면서 생각을 슬기롭게 세우도록 이끌 노릇입니다. 옷차림이라는 겉모습에 휘둘리지 않는 튼튼하고 고운 마음으로 피어나도록 함께 배울 노릇이라고 여겨요. 무엇보다 옷을 돈을 치러서 사는 길을 찬찬히 줄이고, 푸름이 스스로 실을 얻고 천을 마름해서 뜨개질이나 바느질로 옷을 짓도록 가르치고 이끌어서 ‘옷살림이란 무엇인가?’를 나누어야지 싶어요. 가난한 마을에 도서관을 세울 적에도 잘 생각해야 합니다. 건물을 더 번듯하게 짓는다거나 책을 더 많이 갖추어야 하지 않습니다. 낡은 집을 손질한 자그마한 도서관도 좋아요. 우리가 살필 곳이라면 ‘마음을 슬기롭게 가꾸는 길에 동무가 되는 책’을 제대로 가리는 책살림입니다. 아무 책이나 권수만 늘려서는 안 됩니다. 돈이나 겉모습을 부러워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책이라면 아예 치워 버려도 됩니다. 스스로 일어서고 스스로 배우며 스스로 짓는 길을 즐거이 나누도록 북돋우는 어여쁜 벗님 같은 책을 차근차근 장만해서 갖추면 됩니다. 이러한 책을 어른하고 푸름이가 함께 읽고 이야기꽃을 피우는 도서관을 열 노릇입니다. 2018.7.8.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읽기



  모르는 줄 알면, 모르는 줄 알기 때문에 배웁니다. 모르는 줄 모르면, 모르는 줄 모르는 터라 배울 길이 없습니다. 괴로운 일이든 즐거운 일이든, 제대로 바라보아서 알아차리고 받아들일 적에 비로소 하나하나 가다듬어서 배웁니다. 참모습을 모른다면, 거짓모습을 바라보면서 거짓모습을 마치 참모습인 줄 잘못 알고서 산다면, 이때에 우리는 헤맵니다. 참모습이 아닌 거짓모습을 참으로 알면서 사니까 늘 헤매고 떠돌고 부딪히고 넘어지지요. 이러다가 뒤늦게 참모습을 알 수 있으면 좋으련만, 거짓모습이라는 허울을 내려놓거나 걷어치우지 않으면 배움길로 접어들지 못해요. 아프고 힘들어도 이러한 참모습을 제대로 살펴서 배우고 이에 맞추어 삶을 짓는 길을 배워요. 처음에는 어느 책에 어떤 이야기가 흐르는가를 알 길이 없을 만하지만, 자꾸 들여다보고 다시 살피면서 차근차근 돌아보는 동안 비로소 책읽기를 이룹니다. 처음부터 그냥 되는 책읽기란 없습니다. 참을 읽는 삶을 가꾸는 길을 가기에 비로소 책읽기입니다. 2018.7.6.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들 읽는 책이잖아



  엊그제 광주일보 기자가 전화로 취재를 한 뒤에 사진 한 장 보내 달라 해서 사진을 보내 줍니다. 광주일보 기자는 제 사진을 받고서 “아내 사진 말고 본인 사진을 보내 주십시오” 하고 말합니다. 저는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사진에 계신 분 여자 아닌가요?” 하고 묻기에 속으로 웃습니다. 턱나룻이나 코나룻이 길에 늘어진 여자도 있을 테지만, 제 사진을 보고 저를 여자로 읽은 분은 처음입니다. 어제는 서울에서 한겨레 기자가 고흥으로 찾아와서 ‘사전 짓는 책숲집, 숲노래’를 둘러싼 이야기를 길게 취재했습니다. 즐겁게 취재를 맞아들여서 낱낱이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이러고 집으로 돌아오니 오마이뉴스에 기사 하나가 머릿글로 올랐습니다. “‘민소매에 반바지’ 차림이라 강의 취소랍니다”라는 이름이 붙은 기사인데, 이 글에 댓글이 제법 붙었기에 죽 훑는데, 어느 분이 “왜 보통 사람처럼 안 입느냐?”고 묻더군요. 빙그레 웃음이 나왔습니다. 아니, 우리는 왜 ‘보통 사람처럼 옷을 입어야’ 할까요? ‘보통 사람’이란 무엇일까요? 저는 이 기사에 더 깊은 이야기까지 안 적었습니다. 굳이 적을 까닭이 없기 때문인데요, ‘보통 사람처럼 옷을 안 입는 까닭’을 헤아리지 못하는 머리나 마음이라면, 그야말로 아무 생각을 안 하는 모습이로구나 싶습니다. 이를테면, 몸에 안 받아서 달걀이나 밀가루나 우유를 안 먹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 몸에는 김치나 냉면이 안 받기에 이런 먹을거리를 안 먹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이 몸에 안 받아서 안 먹을 적에 ‘너는 한국사람이면서 왜 김치를 안 먹니?’ 하고 따져야 옳을까요? 사람마다 몸이 달라 그런 먹을거리가 안 받을 수 있는데 말이지요. 저는 화학섬유가 살갗에 닿으면 두드러기가 납니다. ‘보통 사람이 흔히 입는 양복이나 여느(?) 옷’은 제 몸에 안 맞아서 안 입습니다. 그리고 제 살갗은 햇볕이나 바람을 쏘여 주기를 바랍니다. 또한 1986년 체르노빌 핵발전소가 터졌을 무렵 국민학교 5학년이었는데요, 저는 1986년에 동무들하고 으레 비를 맞고 놀았고 유제품을 많이 먹었습니다. 그리고 온몸 가득 피부병을 앓았습니다. 1986년에 체르노빌 핵발전소가 터진 뒤 한국에 방사능비가 내렸으나 어른들은 이를 우리한테 제대로 안 밝혔습니다. 체르노빌 핵발전소가 터지고 나서 독일을 비롯한 북서유럽 나라는 방사능 피해로 모든 목장이 문을 닫아야 할 판이었습니다. 그러나 독일을 비롯한 북서유럽 나라는 젖소를 죽여서 파묻지 않았어요. 소젖을 날마다 짰고, 이 소젖을 가루젖(분유)으로 만들었으며, 이 가루젖을 파묻을 곳이 없어서 ‘한국에 돈을 주고 몽땅 주었’습니다. 한국은 체르노빌 핵발전소 방사능 분유를 거저로 잔뜩 받을 뿐 아니라, 돈까지 챙겼으며, 이때에 한국 유제품 회사는 어마어마하게 유제품을 싼값에 팔았고, 이런 유제품을 1986년에 어린이로 살던 사람은 누구나 잔뜩 먹었으며, 이 탓에 바로 피부병이 생긴다든지, 아토피가 생긴다든지, 그때에 어린이였다가 뒷날 어른이 된 이들이 아이를 낳으면 아이한테도 아토피가 고스란히 이어지는, 그런 삶이 되었습니다. 제 몸은 이와 같아서, 저는 오늘 2018년에도 이 독소를 빼려고 옷을 가볍게 입습니다. 그리고 독소를 빼낼 뿐 아니라, 제 몸을 제대로 지키려고 3월부터 11월까지 민소매에 반바지 차림으로 살며 바람하고 햇볕을 살갗으로 먹으려 하지요. 다시 말해서 ‘강의터 예의 지키기’를 따질 수 없고, 따질 까닭이 없습니다. ‘예의를 따지다가 사람이 죽을 판’이니까요. 그리고 참다운 예의라면, 서로 마음으로 아끼는 사이일 적에 예의입니다. 이 옷을 입어야 예의일 수 없습니다. 눈을 감고 서로 볼 노릇입니다. 마음으로 서로 헤아리고 사랑할 때에 비로소 예의입니다. 이런 이야기를 책으로 돌려서 말할 수 있습니다. “자네는 왜 베스트셀러를 안 읽나?” 하고 물을 수 있어요. 저는 즐겁게 대꾸합니다. “저는 책다운 책을 가려서 읽습니다. 책다운 책 가운데 베스트셀러가 있으면 기쁘게 장만해서 읽습니다만, ‘베스트셀러라는 옷을 입은 책’을 구태여 챙겨 읽지는 않습니다. 제가 읽을 책은 오로지 책다운 책이요 참다운 책일 뿐입니다.” 2018.7.6.쇠.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책 언저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51242&PAGE_CD=ET001&BLCK_NO=1&CMPT_CD=T0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