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곤혹 困惑


 예기치 못한 질문에 곤혹을 느끼다 → 생각지 못한 물음에 어찌할 바를 모르다

 엇갈린 마음으로 곤혹했다 → 엇갈린 마음으로 어찌할 바를 몰랐다

 내 입장이 곤혹스러웠다 → 내가 선 자리가 힘들었다

 곤혹스러운 일 → 어려운 일 / 어찌할 바 모를 일


  ‘곤혹(困惑)’은 “곤란한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을 뜻한다고 합니다. ‘곤란(困難)’은 “사정이 몹시 딱하고 어려움”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 “딱한 일을 겪어 어찌할 바를 모름”이나 “어려운 일을 겪어 어찌할 바를 모름”을 가리킨다고 할 테지요. ‘곤혹’이라는 한자말이 깃든 자리를 살피면 “어찌할 바를 모르다”로 손볼 만한 자리가 있고, ‘어렵다’나 ‘힘들다’나 ‘괴롭다’ 같은 낱말로 손볼 만한 자리가 있습니다. 2016.7.1.쇠.ㅅㄴㄹ



마사미가 정말로 쓰고 싶었던 것은 ‘나는 곤혹스럽다’는 거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말은 ‘나는 어찌할 바 모르겠다’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소리는 ‘나는 너무 힘들다’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얘기는 ‘나는 너무 괴롭다’였다

《사기사와 메구무/김석희 옮김-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자유포럼,1999) 136쪽


난 아주 곤혹스러워요

→ 난 아주 어쩔 줄 몰라요

→ 난 아주 어지러워요

→ 난 아주 힘들어요

《니시 케이코/최윤정 옮김-언니의 결혼 1》(시리얼,2012) 118쪽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로부터 곤혹스러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어려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까다로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대꾸하기 힘든 말을 들었습니다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4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근성 根性


 승부 근성 → 이기려는 마음

 아부 근성 → 알랑대는 버릇

 거지 근성처럼 느껴졌다 → 거지처럼 느껴졌다


  ‘근성(根性)’은 “1.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2. 뿌리가 깊게 박힌 성질”을 가리킨다고 하며, 한국말사전에는 “≒ 성근”처럼 비슷한말을 올립니다. ‘성근(性根)’은 “타고난 성질”을 가리킨다고 하는데 이 낱말을 쓸 일은 없으리라 느낍니다. 그런데 ‘근본적·근본’은 ‘뿌리’나 ‘바탕’을 가리켜요. 태어날 때부터 있는 뿌리나 바탕이라면 우리 몸짓이나 버릇이라고 할 만합니다. 뿌리 깊게 박힌 성질도 바로 ‘늘 보이는 몸짓’이나 ‘버릇’일 테고요.


  “승부 근성”이 있는 사람이란 “이기려는 마음”이 있는 사람입니다. “아부 근성”이나 “거지 근성”은 알랑대거나 거지처럼 보이는 모습이에요. “근성이 있다”처럼 쓸 적에는 “배짱이 있다”는 뜻이라고 느낍니다. 어느 모로 보면 ‘씩씩하다’거나 ‘야무지다’고 할 수 있는 모습을 한자말 ‘근성’을 빗대어 나타내는 셈인데, 이는 일본말 ‘こんじょう’를 잘못 쓰면서 퍼진 쓰임새입니다. 일본사람은 한자말 ‘根性’을 ‘곤조’로 읽어요. 다시 말해서 한국에서 흔히 쓰는 ‘근성’이라는 한자말은 일본사람이 흔히 쓰는 말결이 시나브로 퍼지면서 엉뚱하게 퍼졌다고도 할 만합니다. 2016.7.1.쇠.ㅅㄴㄹ



저 의외로 근성은 있어요

→ 저 생각보다 배짱은 있어요

→ 저 뜻밖에도 제법 씩씩해요

→ 저 뜻밖에도 제법 야무져요

《이와오카 히사에/송치민 옮김-토성 맨션 7》(세미콜론,2015) 89쪽


지금까지 살면서 근성으로 해결된다는 말은 믿은 적이 없는데

→ 이제까지 살면서 배짱으로 풀어낸다는 말은 믿은 적이 없는데

→ 여태까지 살면서 씩씩함으로 풀어낸다는 말은 믿은 적이 없는데

→ 오늘까지 살면서 당찬 마음으로 풀어낸다는 말은 믿은 적이 없는데

《토우메 케이/이상은 옮김-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 11》(학산문화사,2016) 197쪽


엄격한 수행을 견뎌 낼 근성이 있나요

→ 까다로운 수행을 견뎌 낼 배짱이 있나요

→ 힘들어도 배울 만한 기운이 있나요

→ 고되어도 배울 만한 마음이 있나요

《모리모토 코즈에코/양여명 옮김-코우다이 가 사람들 3》(삼양출판사,2016) 54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능숙 能熟


 외국어에 능숙하다 → 외국말에 익숙하다 / 외국말을 잘하다

 일을 능숙하게 처리하다 → 일을 솜씨 있게 하다

 영어가 능숙하여 영어로 대화한다 → 영어가 훌륭하여 영어로 얘기한다

 의사 못지않게 능숙한 수완을 발휘해 → 의사 못지않게 빼어난 솜씨를 뽐내어

 컴퓨터를 능숙히 다루다 → 컴퓨터를 잘 다루다 / 컴퓨터를 훌륭히 다루다


  ‘능숙(能熟)하다’는 “능하고 익숙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능(能)하다’는 “어떤 일 따위에 뛰어나다”를 가리키니, ‘능숙하다’는 ‘뛰어나다’나 ‘익숙하다’를 나타낼 적에 쓰는 한자말인 셈입니다. 때로는 “솜씨 있다”나 “솜씨 좋다”라 할 만하고, ‘훌륭하다’나 ‘빼어나다’나 ‘잘하다’가 어울리는 자리가 있을 테지요. 2016.6.29.물.ㅅㄴㄹ



허리 한 번 펴지 않고 능숙한 솜씨로 굴을 따신다

→ 허리 한 번 펴지 않고 익숙한 솜씨로 굴을 따신다

→ 허리 한 번 펴지 않고 잰 솜씨로 굴을 따신다

→ 허리 한 번 펴지 않고 날랜 솜씨로 굴을 따신다

→ 허리 한 번 펴지 않고 훌륭한 솜씨로 굴을 따신다

《박희선-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답사기》(자연과생태,2011) 30쪽


가장 지역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능숙한 대응을 함으로써

→ 가장 지역에 맞고 곧바로 솜씨 좋게 마주하면서

→ 가장 마을에 맞고 곧장 손 쓸 만한 길로 알뜰히 마주하면서

《웬델 베리/이승렬 옮김-소농, 문명의 뿌리》(한티재,2016) 358쪽


크리스티안은 의사들의 능숙함을 믿었다

→ 크리스티안은 의사들 솜씨를 믿었다

→ 크리스티안은 의사들이 솜씨 있으리라 믿었다

→ 크리스티안은 의사들이 잘해 주리라 믿었다

《리 호이나키/부희령 옮김-아미쿠스 모르티스》(삶창,2016) 217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적' 없애야 말 된다

 이색적


 이색적 풍습 → 남다른 풍습 / 새롭게 느낄 풍습

 이색적 제안을 하다 → 남다른 제안을 하다

 이색적인 풍경 → 남다른 모습 / 유난스러운 모습

 퍽 이색적이다 → 퍽 남다르다 / 퍽 유난하다


  ‘이색적(異色的)’은 “보통의 것과 색다른 성질을 지닌”을 뜻한다고 합니다. ‘색(色)다르다’는 “동일한 종류에 속하는 보통의 것과 다른 특색이 있다”를 가리키니, ‘이색적 = 보통의 것과 보통의 것과 다른’으로 풀이한 셈입니다. 또는 두 낱말은 거의 같거나 서로 같다고 할 만합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이색’이라는 한자말에서 ‘異’는 ‘다르다’를 가리켜요. 그러니 ‘이색·이색적’이나 ‘색다르다’는 그냥 같은 말을 짜임새만 다르게 쓰는 셈입니다. 이리하여 ‘이색적’이라고 하는 말마디는 ‘남다르다’로 손질하면 됩니다. 또는 ‘유난하다’나 ‘유난스럽다’로 손질할 만해요. 남다르거나 유난한데 도드라져 보인다면 ‘돋보이다’나 ‘도드라지다’ 같은 낱말을 써 볼 수 있어요. 2016.6.29.물.ㅅㄴㄹ



이색적인 풍경에 심취한 나머지

→ 남다른 모습에 깊이 빠진 나머지

→ 유난스러운 모습에 깊이 빠진 나머지

→ 재미난 모습에 푹 빠진 나머지

《리타 골든 겔만/강수정 옮김-나는 유목민, 바람처럼 떠나고 햇살처럼 머문다》(눌와,2005) 101쪽


누구나 우선 이색적인 눈길로 보았는데

→ 누구나 먼저 남다른 눈길로 보았는데

→ 누구나 으레 유난한 눈길로 보았는데

《이숙의-이 여자, 이숙의》(삼인,2007) 243쪽


다소 이색적이라고

→ 꽤 남다르다고

→ 퍽 눈에 띈다고

→ 다른 작품과는 꽤 다르다고

→ 여러모로 새롭다고

→ 제법 돋보인다고

《하이타니 겐지로/햇살과나무꾼 옮김-우리와 안녕하려면》(양철북,2007) 5쪽


이색적인 경관에 걸맞게

→ 남다른 경관에 걸맞게

→ 남달리 아름다운 모습에 걸맞게

→ 유난히 빼어난 모습에 걸맞게

《박희선-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답사기》(자연과생태,2011) 11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량한 말 바로잡기

 훼손 毁損


 명예에 훼손을 입다 → 이름에 먹질을 입다 / 이름이 더러워지다

 문화유산 훼손 → 문화유산 망가뜨리기

 명예가 크게 훼손됐다 → 이름을 크게 더럽혔다

 자연을 훼손하고 있다 → 자연을 무너뜨린다


  ‘훼손(毁損)’은 “1. 체면이나 명예를 손상함 2. 헐거나 깨뜨려 못 쓰게 만듦”을 뜻한다고 합니다. ‘손상(損傷)’은 “물체가 깨지거나 상함”을 가리키고, ‘상(傷)하다’는 “물건이 깨어지거나 헐다”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그러니 ‘훼손’이든 ‘손상’이든 ‘상하다’이든 ‘깨뜨리’거나 ‘헐어’ 버리는 일을 가리킵니다. 이처럼 ‘깨뜨리다’나 ‘헐다’로 손보거나, ‘망가뜨리다’나 ‘무너뜨리다’로 손보면 됩니다. ‘더럽히다’나 “다치게 하다”로 손볼 수도 있습니다. 2016.6.28.불.ㅅㄴㄹ



더는 훼손되면 안 되겠기에

→ 더는 다치면 안 되겠기에

→ 더는 망가지면 안 되겠기에

→ 더는 무너지면 안 되겠기에

《박희선-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 답사기》(자연과생태,2011) 4쪽


영정사진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훼손되는 그 풍경은

→ 영정사진들이 저마다 다르게 망가지는 그 모습은

→ 영정사진들이 저마다 다르게 다치는 그 모습은

→ 영정사진들이 저마다 다르게 더럽혀지는 그 모습은

《노순택-망각기계》(청어람미디어,2012) 211쪽


야생화를 파내느라 섬의 산을 훼손시키지만 않는다면

→ 들꽃을 파내느라 섬에 있는 산을 망가뜨리지만 않는다면

→ 들꽃을 파내느라 섬에 있는 산을 더럽히지만 않는다면

《강제윤-걷고 싶은 우리 섬, 통영의 섬들》(호미,2013) 107쪽


자연환경이 훼손된 탓도 크다

→ 자연환경이 무너진 탓도 크다

→ 자연환경이 망가진 탓도 크다

→ 자연환경이 더럽혀진 탓도 크다

《노인향-자연생태 개념수첩》(자연과생태,2015) 139쪽


폭력은 청소년의 인격과 신체를 훼손하고

→ 폭력은 청소년한테 인격과 신체를 망가뜨리고

→ 폭력은 청소년한테 마음과 몸을 무너뜨리고

《이수정-10대와 통하는 일하는 청소년의 권리 이야기》(철수와영희,2015) 78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