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곤혹 困惑
예기치 못한 질문에 곤혹을 느끼다 → 생각지 못한 물음에 어찌할 바를 모르다
엇갈린 마음으로 곤혹했다 → 엇갈린 마음으로 어찌할 바를 몰랐다
내 입장이 곤혹스러웠다 → 내가 선 자리가 힘들었다
곤혹스러운 일 → 어려운 일 / 어찌할 바 모를 일
‘곤혹(困惑)’은 “곤란한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을 뜻한다고 합니다. ‘곤란(困難)’은 “사정이 몹시 딱하고 어려움”을 뜻한다고 해요. 그러니 “딱한 일을 겪어 어찌할 바를 모름”이나 “어려운 일을 겪어 어찌할 바를 모름”을 가리킨다고 할 테지요. ‘곤혹’이라는 한자말이 깃든 자리를 살피면 “어찌할 바를 모르다”로 손볼 만한 자리가 있고, ‘어렵다’나 ‘힘들다’나 ‘괴롭다’ 같은 낱말로 손볼 만한 자리가 있습니다. 2016.7.1.쇠.ㅅㄴㄹ
마사미가 정말로 쓰고 싶었던 것은 ‘나는 곤혹스럽다’는 거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말은 ‘나는 어찌할 바 모르겠다’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소리는 ‘나는 너무 힘들다’였다
→ 마사미가 참말로 쓰고 싶던 얘기는 ‘나는 너무 괴롭다’였다
《사기사와 메구무/김석희 옮김-그대는 이 나라를 사랑하는가》(자유포럼,1999) 136쪽
난 아주 곤혹스러워요
→ 난 아주 어쩔 줄 몰라요
→ 난 아주 어지러워요
→ 난 아주 힘들어요
《니시 케이코/최윤정 옮김-언니의 결혼 1》(시리얼,2012) 118쪽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로부터 곤혹스러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어려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까다로운 질문을 받았습니다
→ 가깝게 지내는 사진가한테서 대꾸하기 힘든 말을 들었습니다
《양해남-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눈빛,2016) 4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