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의 일생
양성우 지음 / 일송북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2.

노래책시렁 307


《겨울 공화국》

 양성우

 실천문학사

 1977.8.30.



  누가 노래하는가 하고 돌아보면, 노래하고 싶은 한 사람에, 노래를 터뜨려야 하는 한 사람이 있습니다. 누구나 노래할 수 있습니다. 시골놈이라 노래 못 할 까닭이 없고, 서울놈이라 노래 안 할 까닭이 없습니다. 《겨울 공화국》을 되읽다가 생각합니다. 함평도 광주도 아닌 서울에서 오래 살다가, 이제는 서울 기스락에서 눌러살아가는 글길이라면, 예전에 읊던 “서울놈들, 여우같은 서울놈들 몰려 내려와”를 뒤집어 “시골놈들, 곰같은 시골놈들 몰려 올려와” 하고 노래할는지요? 1975년부터 2023년까지 짧지 않은 나날입니다. 이동안 글쓴이는 숱한 너울을 오갔습니다. 이리 출렁이면서 춤추고, 저리 일렁이면서 일자리를 얻었어요. 이러구러 본다면, 《꽃의 일생》을 노래하기 앞서 ‘○바라기’로 흘러온 이녁 발자취를 가만히 되새길 때일 텐데 싶습니다. 잘 한 일이나 잘 하지 못한 일이 있겠습니까만, 여태껏 잘 한 일이라고만 여긴다면, 글쎄, 바로 이 《겨울 공화국》을 스스로 되비추는 거울로 삼고서 ‘겨울나라’가 참말로 ‘봄나라’가 되었는지, 아니면 ‘봄시늉나라’인지부터 풀어낼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다소곳이 거짓말에 귀기울이며” 살아가는 길은 스스로 눈귀코입을 닫아 꽃하고 등지는 몸짓일 뿐입니다.


ㅅㄴㄹ


여기저기 발끝에 채이며 / 히쭉히쭉 웃는 낮도깨비로 / 내 가슴을 찌른다면 / 나는 몰라 나는 몰라. / 서울놈들, 여우같은 서울놈들 몰려 내려와 / 퍼마시고 오입하고 똥누는 저녁되면 / 나는 몰라 나는 몰라. / 사주팔자에 없는 쵸코바만 빨아대는 계집들같이, / 아아, T.V만 보는 벽창호같이 (光州에 와서/64쪽)


삼천리는 여전히 살기 좋은가 / 삼천리는 여전히 비단 같은가 / 거짓말이다 거짓말이다 / 날마다 우리들은 모른체하고 / 다소곳이 거짓말에 귀기울이며 / 뼈 가르는 채찍질을 견뎌내야 하는 / 노예다 머슴이다 허수아비다 (겨울 共和國/10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학교 밖 아이 창비청소년시선 8
김애란 지음 / 창비교육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23.

노래책시렁 299


《난 학교 밖 아이》

 김애란

 창비교육

 2017.3.20.



  우리 집 어린씨랑 푸른씨는 ‘졸업장 학교’를 안 다닙니다. 두 어린씨랑 푸른씨는 ‘우리가 살아가며 바라보는 모든 곳이 배움터요 살림터요 사랑터이자 나눔터’인 줄 진작부터 스스로 알았고, 이 뜻을 즐겁게 노래로 폅니다. 그러나 아이들 할매할배 네 분 모두 “그래도 학교에 가야 하지 않아?” 하는 말을 여태 못 버릴 뿐 아니라, “졸업장 없이 어떻게 살아?” 하는 덧없는 걱정일 뿐입니다. 이 나라는 배움터 아닌 배움수렁(입시지옥)인데, 더구나 종잇조각(졸업장)에 따라 줄세우기를 하는데, 이런 썩어문드러진 굴레부터 치울 마음을 가꾸지 않는 꼰대로 가득한 나라를 그대로 두면, 모든 어린씨랑 푸른씨는 속으로 곪으며 눈물을 흘릴밖에 없습니다. 《난 학교 밖 아이》를 곰곰이 읽었습니다만, 그저 딱하구나 싶을 뿐입니다. ‘학교 밖 아이’도 ‘학교 안 아이’도 없습니다. ‘학교 밖 아이’라는 이름부터 아이들을 따돌리며 짓누르는 줄 못 느끼는가요? ‘안(인사이드)’로 들어오면 이모저모 다 해준다고들 하고 ‘밖(주변·아웃사이더)’으로 가면 따돌리거나 괴롭히거나 팽개치겠다고 대놓고 밝히는 말이 ‘학교 밖 아이’입니다. 부디 눈에서 들보부터 치우고 글을 쓰기를 빕니다. 아이를 가르치려 말고, 아이한테서 배웁시다.


ㅅㄴㄹ


요즘 내 그리움은 / 너무 살이 쪘다 / 아침 점심 저녁 / 세끼 말고도 / 하루 서너 차례씩 / 새참을 먹어 대더니 / 눈에 띄게 몸집이 비대해졌다 (다이어트/34쪽)


엄마는 모른다 / 혼자 먹는 라면은 그래도 반은 맛있지만 / 혼자 먹는 밥은 처음부터 맛없다는 거 / 시어 터진 김치 짜디짠 콩자반 눅눅한 김 / 맨날 먹는 반찬은 목에 걸린다는 거 (라면을 먹는 이유/6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참새의 한자 공부 시읽는 가족 10
박방희 지음, 안예리 그림 / 푸른책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23.

노래책시렁 302


《참새의 한자 공부》

 박방희

 푸른책들

 2009.10.30.



  우리 집 아이들은 꽤 어릴 적부터 낫을 쥐었습니다. 어버이가 으레 낫을 쥐어 풀을 베니 저희도 낫질을 하고 싶어 달라붙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쓸 작은 낫을 여럿 장만했고, 왼손으로 풀포기를 어떻게 쥐고서 오른손으로 스윽 긁듯이 베는가를 천천히 보여주고서 따라하라고 일렀어요. 몇 판 보여주면 그 뒤로는 소꿉놀이입니다. 이 아이들은 여태 낫질을 하다가 손가락을 벤 일이 없습니다. 《참새의 한자 공부》를 읽고서 조용히 덮었습니다. 어느 분은 “낫 놓고 기역 글씨 모른다”처럼 말치레를 하던데, 낫은 ㄱㄴㄷ를 읽는 연장이 아닙니다. 풀을 베는 연장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들한테 “낫 쥐고 풀 벨 줄 모르는” 살림을 부드럽게 타일러서 “낫 쥐고 풀 벨 줄 아는” 오늘을 즐거이 나눌 일이라고 바라봅니다. 참새가 전깃줄에 앉아 곧게 이은 줄을 바라보며 한자 ‘一’을 익힌다구요? 뭐, 그럴 수도 있지만, 참 쓴웃음이 났습니다. ‘줄·끈·바·새끼·노’가 저마다 어떻게 닮고 다른 우리말인 줄 아는지요? ‘모시·삼·솜’에서 어떻게 실을 얻어 ‘물레·베틀’을 다루는 줄 아는지요? 제발 우리말부터 배우고, 살림살이부터 물려줍시다. 말장난도 꾸밈말도 아닌, 삶말과 살림말과 사랑말로 아이들 곁에 서며 일합시다.


ㅅㄴㄹ


사람이 / 밥만 먹고 / 살 수 없듯이 // 이 꽃 저 꽃 / 페이지를 넘기며 / 책 읽는 중일 거야 (나비의 책 읽기/60쪽)


얘들아! / 저게 일(一) 자야. / 공중에 줄 하나 / 죽― 그어졌지. / 하나라는 뜻의 한자야 (참새의 한자 공부/6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이 꽃 저 꽃 페이지를 넘기며 책 읽는 중일 거야

→ 이 꽃 저 꽃 넘기며 책을 읽어

→ 이 꽃 저 꽃 한 쪽씩 넘기며 책을 읽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복 문학동네 시인선 51
이준규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23.

노래책시렁 298


《반복》

 이준규

 문학동네

 2014.3.10.



  고흥에서 서울로 가는 시외버스가 하루에 셋 있습니다. 한때 다섯이었는데, 여느날(평일)에는 둘로 줄기도 합니다. 이 시외버스를 타려면 고흥읍으로 나와야 하고, 시골집에서 새벽바람으로 나와서 한 시간을 기다리면 첫 시외버스를 탈 수 있는데, 이러구러 서울에서 내리면 13시입니다. 시골에서 서울로 누구를 만나러 가자면 으레 8∼9시간을 길에서 보냅니다. 저는 시골사람이니 맨발에 고무신 차림새인데, 시골 할매할배도 논밭에서만 고무신을 꿸 뿐이라, 여느때(평소)에 시골차림으로 다니는 사람이 재미나 보이는지, 서울 한복판을 휘적휘적 걸으면 기웃기웃 쳐다봅니다. 《반복》을 가만히 읽고서 시골 푸름이를 떠올립니다. 시골 푸름이는 시골버스에서 대단히 말이 거칠어요. 다만, 혼자 시골버스를 타면 더없이 얌전해 보이더군요. 두셋이나 너덧쯤 무리를 이루면 누가 말리건 말건 시골버스에서 큰소리로 깎음말(욕)잔치를 내내 벌이지요. 이 아이들은 어쩌다 스스로 깎음질을 일삼는 바보짓을 늘 벌일까요? 집이나 마을이나 배움터 모두 고달픈 수렁이거나 막장이라서 시골버스에서 우쭐짓을 벌일까요? 글도 노래(시)도 읽지 않으면서 밑바닥으로 치달리는 시골아이한테, 또 서울아이한테 오늘날 ‘문학’이라는 치레말은 뭔 쓸모일까요. 


ㅅㄴㄹ


나는 그것에 관심이 없다. 나는 그런 것에 관심이 없다. 나는 그따위 것들에 도대체 관심이 없다. 나는 관심이 없다. 나는 끓고 있는 물에 관심이 없다. 나는 끓고 있는 물속으로 들어가는 타조에 관심이 없다. 나는 지나가는 새에 관심이 없고 나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에 관심이 없다. 나는, 나는, 나는 관심이 없다. (나는/12쪽)


당신은 하얀 핸드백을 들고 걸어가고 있다. 나는 카페에 앉아 유리창 밖으로 보이는 당신을 본다. 당신은 하얗고 작은 핸드백을 들고 걸어간다. 당신은 하얀 장갑을 끼고 있고 하얀 원피스를 입었고 검은 선글라스와 검은 구두를 신었다. 구두의 굽은 높지 않다. 당신의 머리는 금발이 아니며 당신의 머리는 검다. (하얀/4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국의 노동자여 - 개정판 한국대표시집 2
백무산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4.18.

노래책시렁 297


《만국의 노동자여》

 백무산

 청사

 1988.8.15.



  인천에서 나고자라며 인천을 떠날 생각이 없었는데, 둘레에서 자꾸 “넌 대학교도 서울에서 붙었는데 왜 인천으로 돌아오려 하니? 바보야? 서울에 깃들 데가 있으면 끝까지 버텨.” 하는 핀잔을 했습니다. 속으로 참 바보스럽구나 하고 여기면서 어떻게 서울에서 착하게 일하며 살아갈 만할까 하고 살피다가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라는 일거리를 찾았고, 새뜸을 두 다리랑 자전거로 나르면 조용하고 깨끗할 만하겠다고 여겼습니다. 새벽 두 시에 하루를 열며 캄캄한 골목을 짐자전거로 달리며 새뜸을 넣을 적에 곧잘 읊던 노래 가운데 ‘사랑노래(노찾사 지음)’가 있습니다. 《만국의 노동자여》를 되읽으며 지난날 스스로 어떻게 서울살이를 했고, 왜 서울을 떠났고, 왜 인천으로 돌아갔다가, 다시 두멧시골로 깃들며 아이를 낳아 뿌리를 내리는가 하고 되새깁니다. 저는 “만국의 노동자”가 아닌 “온누리 들꽃”을 바라봅니다. 저부터 ‘노동자’ 아닌 ‘일벗’입니다. 곁님도 아이들도 ‘노동자’라는 이름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수수한 이름으로서 ‘삶·살림·사랑’을 숲에서 푸르게 펴고 나누고 노래하는 나날을 이루려고 합니다. 들풀로서 수수한 말을 하기에, 푸른별을 들빛으로 바꾸는 첫발을 뗍니다. 우리는 누구나 하늘입니다.


ㅅㄴㄹ


밤안개 젖었구나 / 뿌연 가로등 / 사는 일이 고달퍼라 / 빈 손으로 돌아가는 가슴 아픈 시간 / 공장의 불빛도 빛을 바래고 // 새벽에 집을 나올 때 / 등에 와서 박히는 / 식구들의 밥 걱정 집세 걱정 / 공장에서 쫓겨난 후 여기 저기 / 일자리 툇자놓고 툇자맞고 / 아흐레 일한 공사판에 / 밀린 노임 받으려다 책상만 엎어 버리고 / 막걸리 몇 잔에 털리는 가슴 / 뭐라고 하나 식구들에게 // 어허, 세상은 비오는 찿아처럼 / 흔들리네 삶도 도시도 사랑도 / 울며 떠난 이들, 죽어서 떠난 이들 (김씨의 사랑노래/20쪽)


무슨 밥을 먹는가가 문제다 / 우리는 밥에 따라 나뉘었다 / 그 밥에 따라 양심이 나뉘고 / 윤리가 나뉘고 도덕이 나뉘고 / 또 민족이 서로 나뉘고 // 그래서 밥이 의식을 만든다는 것은 / 뇌의 생체학적 현상이 아니라 / 사회적이고 인류적이고 / 그래서 밥은 계급적이고 // 밥의 나뉨은 또 식품문화적 구별도 / 영양학적 구별도 아니고 / 보편의 언어요 이념이요 과학이요 인식이다 (만국의 노동자여/8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