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 그날 이후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81
라파엘 요크텡 지음, 하이로 부이트라고 그림, 윤지원 옮김 / 지양어린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7.

그림책시렁 1247


《빙하기》

 라파엘 요크텡 글

 하이로 부이트라고 그림

 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23.4.25.



  우리는 어떻게 이 별에 내려앉아 무엇을 하면서 첫삶을 누렸는지 돌아봅니다. 우리 몸에는 처음부터 오늘까지 보낸 하루를 차곡차곡 새깁니다. 흘러가는 나날은 하나인 줄기이자 덩이입니다. 달종이에 딱딱 끊어 바라보더라도 모든 날은 한결로 이어요. 해가 뜨건 지건 ‘하나로 잇는 삶’입니다. 몸이 스러져서 떠나더라도, 새몸을 입고 태어나더라도, 모든 사람은 예부터 오늘을 거쳐 모레로 나아가는 동안 늘 ‘하나로 맞물리는 길’입니다. 풀씨도 나무씨도 먼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스란히 흐릅니다. 사람씨도 아스라한 지난날과 오늘날이 그대로 만납니다. 《빙하기》는 ‘어느 삶’을 되새기는 아이 몸짓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스스로 마주하는 모든 날을 곰곰이 보다가 어떤 ‘빛’을 느껴요. 이 빛은 ‘나’를 나로서 바라보는 눈길입니다. 나랑 너 사이를 가르려 할 적에는 아무 빛을 못 느끼고 못 보지만, 나랑 너 사이를 감도는 바람을 알아차릴 적에는 ‘살아가는 이야기’를 깨달으면서 문득 웃고 노래하면서 모든 하루를 새롭게 사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역사 아닌 삶’을 맞아들이기에 ‘사람’입니다. 허울을 벗기에 눈을 틔웁니다.


#RafaelYockteng #JairoBuitrago #UGH #UnRelatoDelPleistoceno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과꽃
김정배 지음, 김휘녕 그림 / KONG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7.

그림책시렁 1249


《사과꽃》

 김정배 글

 김휘녕 그림

 공출판사

 2023.3.31.



  누가 뭐라 하건 유월은 ‘개구리달’이라고 느낍니다. 오월도 칠월도 개구리노래는 한창이되, 유월이 아주 흐드러집니다. 개구리는 못에도 논에도 멧자락에도 밭자락에도 풀밭에도 깃들어요. 저물녘부터 새벽녘까지 신나게 노래하는 개구리는 사람들한테 묻습니다. “넌 뭘 보니? 넌 뭘 하니?” 《사과꽃》을 읽었습니다. 새봄에는 능금꽃도 모과꽃도 딸기꽃도 가득합니다. 땅바닥에 나즈막하게 붙는 앉은뱅이꽃 둘레에서 여러 과일나무가 향긋꽃을 베풀어요. 나무는 곧잘 엉키고, 덩굴이 줄기를 탑니다. 온누리 멧새는 이 나무에서 열매를 따먹고서 저 나무에 앉아서 날아오르다가 뽀직 하고 똥을 누며 나무를 심거든요. 여러 나무는 한몸이 되어 자라기도 하고, 멧짐승이 어린나무를 야금야금 누리면서 저절로 숲을 돌보기도 합니다. 나무도 사람들한테 묻습니다. “넌 어디 있니? 넌 어디 가니?” 숲에는 우두머리가 없습니다. 곰이나 범이나 늑대가 서로 어우러지기는 하되 혼자만 우쭐대지 않아요. 그러나 사람누리에서는 자꾸 금을 그으며 미워하거나 할큅니다. 서로 봄꽃·여름노래·가을열매·겨울눈을 나눈다면 펑펑 안 터뜨립니다. 스스로 숲을 잊은 우리가 스스로 미움씨앗을 심습니다. 요새는 쇳덩이(자동차)에 들어앉아 마음을 잃더군요.


ㅅㄴㄹ


《사과꽃》(김정배·김휘녕, 공출판사, 2023)


한밤중에 울린 총소리는

→ 한밤에 울린 탕소리는

→ 한밤에 울린 쾅소리는

7쪽


나를 부둥켜안고 있던 엄마의 손끝이

→ 나를 부둥켜안던 엄마 손끝이

7쪽


사람의 손가락이 열 개인 이유가 뭔지 아니

→ 사람 손가락이 열인 까닭을 아니

→ 사람 손가락이 왜 열인 줄 아니

→ 사람 손가락이 열인 뜻을 아니

8쪽


몇 발의 총성이 마을에 머무는 동안

→ 몇 벌 펑소리가 마을에 머무는 동안

→ 몇 판 꽝소리가 마을에 머무는 동안

10쪽


사과나무 아래에서 내게

→ 능금나무 밑에서 내게

15쪽


대답 대신 채 익지 않은 작은 사과 열매 몇 개를 골라 따며

→ 말없이 익지 않은 작은 능금알 몇을 골라 따며

16쪽


흰 사과꽃이 하나둘씩 피기 시작한다

→ 흰 능금꽃이 하나둘 핀다

21쪽


붕붕거리며 덩달아 바빠졌다

→ 붕붕거리며 덩달아 바쁘다

21쪽


숨어 있는 우물 속을

→ 숨은 우물을

22쪽


마을을 떠났던 이웃들의 가족들도

→ 마을을 떠난 이웃집도

37쪽


마음 착했던 우리네 아빠들이 그랬던 것처럼

→ 마음 착한 우리네 아빠가 그랬듯이

→ 마음 착한 모든 아빠가 그랬듯이

3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드는 참 운이 좋아!
레미 찰립 글.그림 이덕남 옮김 / 북뱅크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2.

그림책시렁 1242


《네드는 참 운이 좋아!》

 레미 찰립

 이덕남 옮김

 비비아이들

 2006.5.25.



  우리는 ‘운(運)·운수(運數)’라는 한자말을 언제부터 썼을까요? 이런 낱말을 어린이한테 써도 될까요? 숱한 사람들은 우리가 예부터 쓴 우리말을 아예 마음에 담지 않기 일쑤요, 어린이한테 들려주면서 생각을 북돋울 말씨앗을 안 쳐다보기도 합니다. 1964년에 나온 “Fortunately”를 옮긴 《네드는 참 운이 좋아!》입니다. 줄거리를 살피면, 네드라는 아이가 나아가는 ‘길’을 보여줍니다. 굳이 좋거나 나쁘게 바라볼 일이 없는 ‘삶’입니다. 길이자 삶이란 출렁이는 물결처럼 나아가는데, ‘고개’일 수 있고 ‘고비’라 여길 만합니다. 이래저래 하나씩 너머로 가면서 새롭게 하루를 맞이해요. 가만히 생각을 기울여 봐요. 우리는 어떤 빛으로 아이들한테 이 삶을 들려주거나 물려주거나 밝히나요? 우리는 어떤 말로 아이들한테 오늘을 노래하거나 얘기하거나 속삭이나요? 이 그림책은 내내 “다행이다!”로 옮기는데, 참으로 알맞거나 걸맞거나 들어맞을까요? “좋았어!”나 “그래!”나 “마침!”이나 “고맙지!”나 “됐어!”나 “그런데!”처럼, 다 다른 자리와 삶과 길을 다 다른 말씨로 풀어내면서 스스로 활짝 웃음지으며 뚜벅뚜벅 걸어가는 몸짓을 헤아릴 만하다고 봅니다.


ㅅㄴㄹ


#RemyCharlip #Fortunately


《네드는 참 운이 좋아!》(레미 찰립/이덕남 옮김, 비비아이들, 2006)


깜짝 파티에 초대합니다

→ 깜짝 잔치에 모십니다

→ 깜짝 마당에 오셔요

4쪽


도중에 비행기가 꽝 하고 터져 버렸어

→ 가다가 날개가 꽝 하고 터져 버렸어

10쪽


아, 다행이다! 비행기 속에 낙하산이 있었거든

→ 아, 마침! 날개에 나래천이 있었거든

12쪽


건초 더미 위에 곡괭이가 꽂혀 있었어

→ 깃더미에 곡괭이가 꽂혔어

→ 짚더미에 곡괭이가 있어

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 생각이 톡
정연경 지음, 김지영 그림 / 책속물고기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2.

그림책시렁 1238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

 정연경 글

 김지영 그림

 책속물고기

 2023.3.15.



  우리말 ‘솜씨’는 ‘손 + 씨’입니다. “손을 놀려서 짓거나 할 수 있는 힘이나 슬기”를 밑뜻으로 그립니다. ‘씨’는 ‘씨앗’이면서 ‘쓰다·쓰임새’를 나타내고, ‘손’은 ‘속’하고 말밑이 이어요. 손으로 무엇을 하거나 짓는 살림길이나 소꿉놀이를 드러내는 오랜 낱말 ‘솜씨’입니다. 생각해 봐요. 길게 뻗은 가락인 손가락만 있는 손이지 않습니다. 손바닥은 ‘손으로 이룬 바닥이자 바탕이자 밭’이라서 ‘손바닥으로 품어서 속으로 고이 깃들도록 하’면, 우리 숨결을 두근두근 받아들여서 새롭게 깨어납니다. 예부터 사람들은 “손으로 씨(씨앗) 심기”부터 했습니다. 풀씨·꽃씨·나무씨도 심고, 생각씨·마음씨·사랑씨를 이룰 살림씨를 심었어요. 아이들은 어른 곁에서 놀이씨를 심고, 어른들은 아이 곁에서 말씨를 심었지요.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손 손 손》은 ‘손으로 펼치는 여러 놀이’를 들려주려고 합니다. “무엇이든 할 수 있는”이란 이름은 안 나쁩니다. 그러나 “손으로 한다 = 손수 한다 = 스스로 한다”가 바탕이에요. 더욱이 ‘손 + 씨’라는 숨결을 먼저 헤아렸다면, ‘서울(도시)에서 펼치는 물질문명’에 앞서 ‘숲을 이루는 씨앗’부터 살피고 ‘서로 사이를 잇는 사랑과 살림’을 짚을 노릇 아닐까요?


ㅅㄴㄹ


할머니 손이랑 아이 손이 만나고,

아이 손이랑 할아버지 손이 만나고,

어머니 손이랑 아버지 손이 만나고,

내 손이랑 네 손이 만나며,

사람 손이랑 풀꽃나무에 벌나비 손이 만나는,

사람이 숲하고 하나로 잇도록

씨앗을 심는 길에

‘손’이 ‘다리(이음길)’인 줄

들려줄 적에 비로소 빛날 텐데

이 대목을 너무 지나쳐 버렸다.


《Here Are My Hands》(손 손 내 손은) 같은 그림책은

우리 몸에서 손이 어떤 몫인가를

아름답게 담아냈다.

‘테드 랜드·빌 마틴 주니어·존 아캠볼트’ 그림책은

2005년에 한글판이 나온 뒤 일찍 판이 끊어졌지만

이 그림책을 사람들이 잘 모를 수 있더라도

정연경·김지연 그림책은 더없이 아쉬울밖에 없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이야기 아이세움 지식그림책 8
토미 드 파올라 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3.

그림책시렁 1241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 이야기》

 토미 드파올라

 편집부 옮김

 아이세움

 2003.8.20.



  엊그제 구름송이를 바라보다가 훅훅 끼치는 비내음을 맡았습니다. 큰아이하고 얘기했어요. “오늘 바람에는 비내음이 물씬 묻어나지만 비는 안 올 듯하네.” “어제 구름이 잔뜩 끼었을 적에는 바다냄새가 났어요.” 빗물이란 구름이고, 구름이란 아지랑이에, 아지랑이란 바다입니다. 바다에서 아지랑이를 거쳐 구름을 이루다가 내리는 빗물에는 짠맛이 없되 바다맛이 흘러요. 그래서 이 빗물은 온누리를 살리고 풀꽃나무를 비롯해 사람과 새와 짐승과 풀벌레 모두 싱그럽게 일으킵니다. 우리말 ‘새하늬마높’은 한자말 ‘동서남북’하고 다릅니다. 우리가 예부터 스스로 하늘과 바람과 구름과 바다를 읽으면서 여민 ‘새(새롭게·사이)·하늬(하늘·함)·마(많·넉)·높(노을·놀이)’을 알아차려서 아이들한테 물려준다면, 우리는 언제라도 스스로 날씨를 알 뿐 아니라, 우리 눈빛으로 날씨를 바꿉니다. 《엉뚱하고 재미있는 구름 이야기》는 토미 드파올라 님이 남긴 숱한 그림책 가운데 손꼽을 만큼 뜻깊고 아름답습니다. ‘바다·구름·비·냇물’이 모두 하나인 줄 넌지시 알려주면서 ‘개구쟁이’인 줄 비추거든요. 물방울은 하나하나 다르면서 모두 살아숨쉽니다. 우리도 다 다른 사람으로서 모두 사랑으로 살아요. 이 수수께끼를 알면 빛납니다.


#TheCloudBook #TomieDePaola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