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박 수영장 (어나더커버 특별판) 수박 수영장
안녕달 글.그림 / 창비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8.4.

그림책시렁 1269


《수박 수영장》

 안녕달

 창비

 2015.7.27.



  여름은 더워야 제맛이고, 겨울은 추워야 제멋입니다. 봄은 따뜻하기에 제철이고, 가을은 넓고 깊어서 제빛이에요. 철마다 다르기에 여름에는 땀을 흠뻑 쏟으면서 우리 몸이 새롭게 피어납니다. 옛사람은 아이한테 어질게 철을 물려주고 나누었기에 어버이라는 자리에 섰어요. 철마다 철빛을 누리면서 철사람(철든 사람)으로 살자면, 보금자리는 풀꽃나무로 넘실거리는 숲집이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이 나라를 보면, 서울도 시골도 풀꽃과 나무를 미워하고 풀벌레를 꺼리고 새를 쫓아내요. 끝없이 풀죽임물을 뿌리고 비닐을 씌울 뿐 아니라 똑똑짓기(스마트팜)라고 내세워 해바람비가 없는 ‘죽음밭’까지 목돈 들여 때려세웁니다. 《수박 수영장》은 ‘30만 부 기념 어나더커버’가 나왔다는군요. ‘어나더커버’는 어느 나라 말인가요? 어린이랑 함께 누리는 그림책에 이런 뜬금말을 왜 쓸까요? ‘새그림·새얼굴’에 ‘다른그림·다른얼굴’이 있습니다. ‘새날개·다른나래’ 같은 이름을 붙여도 되겠지요. 그나저나, 30만 자락을 파는 동안 《수박 수영장》은 고침판을 안 내는군요. 시골 할배는 손에 뭘 쥐었을까요? ‘낫’일까요, ‘낫 흉내 손칼’일까요? ‘조선낫’이 어떻게 생겼는지 모를 수 있겠지요. 그러면 논자락은 어떻게 생겼나요? 새마을바람 탓에 온나라 논이 ‘네모반듯’하게 바뀌긴 했습니다만, 논둑길하고 ‘버스길’이 어떻게 다른 줄 모르는 채 함부로 그려도 되지 않습니다. ‘서울 아닌 시골’을, ‘멧자락이 품은 논밭이 있는 시골’을 담아낸 그림일 텐데, 이 그림책은 시골아이한테는 안 보여줄 셈인가요? ‘시골로 놀러가기만 하는 서울아이’한테만 이쁘장하게 보여주려는 뜻인가요? 책날개에 새로 담듯, 큰칼로 수박을 가를 적에 ‘칼을 넣지 않을’ 텐데요? 그렇게 칼을 넣다가는 칼이 수박 사이에서 동강납니다. 수박을 가르는 ‘칼넣기·칼쥠새’는 다릅니다. 이런 허술하고 아리송한 그림도 얄궂습니다만, ‘아기 업은 어머니’ 그림이 더없이 어이없습니다. 그림님은 아기를 업은 적이 없는지요? 아기를 업은 어버이를 본 적이 없는가요? 요새는 다들 수레를 끄니까, 아기 업은 모습은 사진으로만 구경하고서 그렸는지요? 아기는 머리가 가슴 뒤쪽 등판에 닿도록 업지 않습니다. 아니, 그렇게 못 업어요. 아기가 곯아떨어져서 머리가 사르르 처질 수는 있습니다만, 어버이는 으레 아기 머리를 어버이 머리에 닿도록 추스릅니다. 처음부터, 아기 머리는 어버이 머리에 닿도록 업습니다. 아기 팔이 밖으로 안 나오도록 동이긴 합니다만, 아기가 팔을 내놓을 적에 어버이 어깨랑 목을 감싸거나 뺨을 만질 만한 눈높이를 이룹니다. 포대기이든 처네이든, 앞가슴으로 받쳐서 동여매는 터라, 가슴을 덮습니다. 가슴 밑으로 포대기나 처네를 감싸면 주르르 흘러내려요. ‘아기업기’를 ‘배’에다가 동여매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기 몸무게 때문에라도 그렇게 못 합니다만, 그림님뿐 아니라 엮은이도 이 엉터리 그림을 왜 안 고쳤을까요? 30만 자락을 파는 동안에 ‘틀린그림찾기’를 왜 안 할까요? 더구나, 이불이나 옷가지를 널려고 나무에 빨랫줄을 매는데, 마치 ‘아파트 빨래봉’처럼 ‘빨랫줄이 뻣뻣’하군요. 터무니없습니다. 마른이불이건 젖은이불이건, 나무에 맨 빨랫줄에 널면, 줄은 가운데가 푹 처집니다. 그래서 빨랫줄이 안 처지도록 바지랑대를 댑니다. 바지랑대를 대어도 줄은 우묵하게 들어갑니다. 이밖에 다른 그림도 엉성합니다만, 더 따지거나 말하거나 짚고 싶지 않습니다. 그저 창피하고 부끄러울 뿐입니다. 어린이하고 여름을 땀흘려 누리는 즐거운 한때를 수박과 저녁바람과 물놀이로 흐드러지게 펴는 줄거리를 담는 붓끝이, 부디 ‘삶·살림’을 어질게 돌보고 다룰 줄 알면서, ‘시골빛을 시골답게 품는 숨결’로 피어나기를 바랄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차 타고 부산에서 런던까지 똑똑한 책꽂이 13
정은주 지음, 박해랑 그림 / 키다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7.31.

그림책시렁 1265


《기차 타고 부산에서 런던까지》

 정은주 글

 박해랑 그림

 키다리

 2019.10.28.



  칙칙폭폭 달리면 빠르게 휙휙 지나갑니다. 두바퀴(자전거)로 달릴 적이나 두다리로 걸을 적하고는 견줄 수 없습니다. 아주 빨라요. 빠르게 칙칙폭폭 달리면서 내다보는 모습은 슥슥 지나치는 ‘구경’입니다. 그런데 ‘바깥구경’도 자꾸자꾸 바뀝니다. 이제 막 본 모습을 느긋이 되새길 틈이 없이 다른 모습이 끝없이 찾아와요. 《기차 타고 부산에서 런던까지》는 칙칙폭폭 달리는 머나먼 마실길을 차근차근 보여주는구나 싶습니다. 부산부터 큰고장을 두루 거치면서 ‘몇몇 모습’을 적바림하는 나들이를 들려줍니다. 흔히 ‘기차여행’이라 하는데, 빠른길(고속도로·기차·비행기)을 달리며 스치는 모습은 늘 ‘빠르게 잊히는 구경’에 머물어요. 이 그림책이 나쁠 일은 없되, ‘큰고장’ 또는 ‘여러 나라 서울’만 쳐다보다가 그치는구나 싶습니다. 더구나 큰고장·서울조차 살짝 맛보다가 끝납니다. 부산부터 런던까지 칙폭길이 아닌 뚜벅길로 나아간다면, 보고 듣고 겪고 마주하는 삶이 아주 다릅니다. 뚜벅뚜벅 걸을 적에는 ‘스칠’ 수 없어요. 걸을 적에는 ‘만나’고, ‘말을 섞’고 ‘마음을 나눕’니다. ‘가만히 앉아서 고개만 슥 돌리는 구경길’로 무엇을 보거나 느끼거나 겪거나 알까요? ‘다리’를 써서 ‘땅’을 디디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지갯빛 세상 봄봄 아름다운 그림책 107
토네 사토에 지음, 엄혜숙 옮김 / 봄봄출판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7.31.

그림책시렁 1267


《무지갯빛 세상》

 토네 사토에

 엄혜숙 옮김

 봄봄

 2022.7.1.



  밤에는 밤빛이 있습니다. 밤에 아무런 빛이 없다고 여긴다면, 밤을 모른다는 뜻일 테지요. 낮에도 밤에도 별이 반짝입니다. 낮에 햇빛이 환하더라도 별이 있는 줄 모른다면 그야말로 온누리를 모르는 셈입니다. 밤이기에 어둡지 않습니다. 스스로 해도 별도 바라보지 않기에 마음이 어두울 뿐입니다. 스스로 꿈을 그리는 사람이라면 언제 어디에서라도 활짝 웃으면서 즐겁게 나아가는 사랑길입니다. 스스로 꿈을 안 그리는 사람이라면 낮이고 밤이고 까맣게 타들어가는 죽음굴레예요. 《무지갯빛 세상》은 푸른별에 흐르는 무지갯빛을 들려줍니다. 마음에 품는 빛씨앗이 있기에 어둠을 물리칠 수 있다는 줄거리를 다룹니다만, 쪽빛으로 깊은 바다를 담은 밤빛을 제대로 마주한다면 이야기가 사뭇 달랐을 만합니다. 애써 ‘희망’이라는 한자말을 풀어내려고 ‘어둔 밤’을 ‘빛이 없어 나쁜 길’로 보려 하는군요. 그러나 불을 끄고 밤을 고요히 품어 봐요. 밤이 왜 밤인지 느껴 봐요. ‘밤’하고 ‘바다·바람·바탕·밭’은 말밑이 같습니다. 이 여러 낱말은 ‘밝다’하고 말밑이 맞물려요. 왜 ‘밤·밝다’가 같은 말밑일까요? 왜 ‘밤·바다·바탕’이 뿌리가 같은 말일까요? 틀(고정관념)을 버리는 곳에 비로소 비추는 무지개입니다.


#にじいろのせかい #刀根里衣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미줄 시인의 마음 2
제임스 브런스맨 그림, 어슐러 K. 르 귄 글, 최한림 옮김 / 미래사 / 2004년 1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7.30.

그림책시렁 1264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미줄》

 어슐러 K. 르 귄 글

 제임스 브런스맨 그림

 최한림 옮김

 미래사

 2004.12.20.



  거미는 바람을 타면서 하늘에 집을 짓습니다. 거미집은 얼핏 하얗게 보이지만 바람빛이라고 해야 어울립니다. 비가 오면 빗방울을 달고, 이슬이 맺으면 이슬방울을 달며, 해가 비추면 햇빛을 담고, 별이 돋으면 별빛을 품어요. 거미집을 가만히 보면 무지갯빛이 흐릅니다. 온누리 모든 바람빛을 실은 집이니 온누리 모든 빛살이 거미줄에 감돌 테지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거미줄》로 옮긴 그림책은 “Leese Webster”일 뿐입니다. 거미는 ‘가장 아름답게’ 집을 짓지 않았어요. 그저 스스로 새롭게 집을 지었고, 날벌레를 잡을 수 없더라도 ‘사람 곁에서 살면서 지켜본 빛’을 고스란히 옮겼을 뿐입니다. 살림빛(문화예술)이란 무엇일까요? 누가 살림빛을 지을까요? ‘박물관·전시관’에 들여놓은 ‘유물·예술품’은 얼마나 빛나는 숨결일까요? 아름답다고 여길 모든 빛살은 살림살이에서 사랑으로 태어납니다. 수수한 목숨붙이가 짓고, 들풀 같은 사람들이 여미고, 하늘빛으로 살아가는 뭇숨결이 돌봅니다. 오늘 무엇을 보았나요? 오늘 어디에서 어떻게 하루를 보내었나요? 새가 노래하는 바람가락을 들었나요? 나비가 춤추는 하늘자락을 느꼈나요? 거미가 자아낸 실은 푸른별을 푸르게 밝힙니다.


ㅅㄴㄹ


#LeeseWebster #UrsulaKroeberLeGuin #JamesBrunsman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와후와 씨와 뜨개 모자 쿠네쿠네 씨와 친구들 2
히카스 도모미 지음, 고향옥 옮김 / 길벗스쿨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2023.7.23.
그림책시렁 1263


《후와후와 씨와 뜨개 모자》
 히카쓰 도모미
 고향옥 옮김
 길벗스쿨
 2018.10.31.


  손수 옷을 짓고 싶은 사람이 뜨개질에 바느질을 합니다. 뚝딱뚝딱 똑같이 찍어내는 맨드리(기성품)로는 몸이 거북하거나 껄끄러운 사람이 손수 옷살림을 건사합니다. 누구나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밥옷집이라는 세 가지 살림길을 스스로 그리고 짓고 나누고 폈어요. 뚝딱터(공장)에서 맨드리로 찍어내는 밥옷집을 돈으로 사다가 쓴 지는 기껏 온해(100년)는커녕 쉰 해조차 안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짧은 틈에 손짓기를 잊고 손살림을 잃어요. 얼마 앞서까지 누구나 ‘낱말책(사전) 없이’ 모든 낱말뜻에 말쓰임을 훤히 꿰었으나, 이제는 낱말책뿐 아니라 누리그물(인터넷)을 뒤지더라도 말빛이나 말결이나 말씨를 제대로 모르기 일쑤입니다. 《후와후와 씨와 뜨개 모자》는 뜨개살림으로 하루를 누리고 이웃을 사귀는 ‘후와후와 씨’가 일을 맡는 살림빛을 들려줍니다. 꼼꼼하고 찬찬하게 손빛을 누리고 편다는 후와후와 씨라지만, 그만 뜬금없이 잘못을 저지를 때도 있다지요. 아무렴요, 말꽃지기(사전편찬자)인 숲노래 씨조차 이따금 틀린글씨(오탈자)가 나오고, 밥지기(요리사)인 분들도 가끔 그릇을 떨어뜨려 깨먹습니다. 집살림이 ‘살림’인 밑뜻을 헤아려 봐요. 서로 너그러이 품으며 살리는 하루이기에 ‘살림’이고, 모두 살림님입니다.

ㅅㄴㄹ

#フワフワさんはけいとやさん #樋勝 朋巳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