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1.26.

숨은책 878


《산골 소녀 옥진이 詩集》

 김옥진 글

 사사연

 1987.4.15.첫/1988.8.15.중판



  헌책집을 다니면 으레 《산골 소녀 옥진이 詩集》이 보였습니다. 어느 곳에나 이 노래꾸러미가 있어요. 얼마나 찍었는지, 어느 만큼 팔렸는지조차 모릅니다. 어림으로 ‘100만’이라는데, 막상 김옥진(1961∼2016) 님은 글삯을 제대로 받지는 못 한 듯싶습니다. 비탈진 곳에서 미끄러지는 바람에 몸을 다치고서 그만 거의 누운 채 하루를 보내는 삶을 이었고, 붓을 쥐기도 만만하지 않지만 즐겁게 한 땀씩 이야기를 가다듬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삶으로 여민 글을 누구는 ‘중판’이라는 이름으로 가리면서 가로챘고, 누구는 훔침질(김옥진 님 글을 표절)을 했다지요. 대단한 글이나 엄청난 글이나 놀라운 글은 푸른별 어디에도 없습니다. 사랑을 담은 글이 있고, 살림을 펴는 글이 있고, 삶을 옮긴 글이 있다면, 사랑·살림·삶을 등진 채 꾸미거나 만들거나 베끼는 글이 있습니다. 둘레(사회)에서는 씌우기(포장) 좋게 ‘산골 소녀’란 이름을 붙였는데, 멧자락을 품은 시골마을 조그마한 보금자리에서 풀꽃나무랑 새랑 풀벌레를 동무하는 마음을 반기려는 ‘서울내기’들이라면, 푸른빛과 푸른소리와 푸른바람부터 바라볼 노릇이지 싶습니다. 시골에서 시골빛을 담도록 글을 북돋운 어른이나 이웃은 없었구나 싶어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1.26.

숨은책 872


《이야기로 익히는 논리 학습 1 반갑다, 논리야》

 위기철 글

 김우선 그림

 사계절

 1992.12.15.



  1993년 11월에 치르는 셈겨룸(대학입시)부터 틀이 바뀌었는데, 1990년 늦가을에 갑작스레 알렸습니다. 그저 배움책(교과서)을 달달 외우는 틀로는 안 간다고 하더군요. ‘보습소’란 이름을 내건 적잖은 곳은 줄줄이 닫는데, 얼마 안 지나 ‘논술학원’이란 이름을 내건 곳이 줄줄이 서더군요. 또래는 새틀(새 대학입시)을 맞이하려고 으레 논술학원에 다닙니다. 우리 마을에서는 저를 빼고 거의 다 들어갑니다. 어머니는 어느 날 걱정스레 묻습니다. “얘야, 다른 아이들은 다 가는데 넌 왜 안 가겠다고 하니?” “어머니, 논술이란 스스로 생각하고 풀어내는 힘인데, 어떻게 학원에서 ‘스스로 생각하기’를 배워요? 터무니없어요. 그런 곳은 다 거짓말이고 돈장사예요. 그런 데에 헛돈 버리고 싶지 않습니다. 논술학원 다닐 돈과 짬이 있으면 책을 사서 스스로 읽고 새기면 돼요.” 《이야기로 익히는 논리 학습 1 반갑다, 논리야》가 1992년에 나옵니다. 우리 모둠 적잖은 아이들이 사읽고 돌려읽습니다. “야, 넌 이 책 안 읽어? 되게 좋은데?” “너나 읽어. ‘논리 학습’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니? 네 논리는 너 스스로 생각해야 기르는데, 책으로 길러 준다고 하면 순 거짓말이야. 그 논리란 그 책을 쓴 사람 논리일 뿐이야. 얼른 그 책을 버려야 네 논리를 길러서 네가 바라는 시험성적도 잘 나올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1.26.

숨은책 873


《歷史와 민중》

 이이화 글

 어문각

 1984.6.10.



  힘이 세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은 으레 힘으로 모든 일을 풀거나 맺으려고 합니다. 돈이 많아야 한다고 여기는 사람은 노상 돈으로 온갖 일을 마치거나 매듭짓곤 합니다.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사람이라면 늘 사랑을 짓고 그리고 펴고 나누면서 하루를 살아내고 노래합니다. ‘역사’라는 이름을 붙이면 어쩐지 ‘우리 삶’ 같지 않더군요. ‘그들·우두머리·벼슬아치·힘꾼·돈바치’이기에 ‘역사’라는 이름을 붙이려고 해요. ‘우리가 살아가는 길’은 수수하게 ‘하루·날·발자국·걸음·이야기’로 나타냅니다. 《歷史와 민중》을 되읽다가도 자꾸자꾸 갸우뚱합니다. ‘역사’를 다루건 ‘민중·국민·인민·시민·백성’을 들먹이건, 정작 ‘수수한 사람들 이름과 삶과 하루’는 한 줄조차 안 나옵니다. 그래도 이 책에는 꽃할머니(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이야기를 몇 줄 담습니다. 다만, 몇 줄일 뿐입니다. 누가 어떻게 읽을 발자국을 담을 적에 ‘역사’일까요? 우리는 막상 우리 스스로를 잊거나 우리 이웃을 잃고 헤매는 채 우두머리 이름만 외우는 쳇바퀴이지 싶습니다.


인간 지옥이 따로 있는가? 인간 악마가 따로 있는가? 한국식민통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일이 이 정신대 위안부였고, 그것은 또 일본의 악랄한 식민지 경영과 일본 군사독재 정권이 저질은 죄악상의 본보기였던 것이다 … 그런데도 오늘날의 현실에 있어서 ‘정신대로 나가 성전에 참여하라’고 외친 여류 명사들은 빛나는 사회적 지위와 많은 현실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역사의 괴리라 하겠다. (258쪽)


ㅅㄴㄹ

+


《歷史와 민중》(이이화, 어문각, 1984)


오랫동안 논의된 문제는 단군에 관한 사실(史實)일 것이다

→ 오랫동안 따진 일은 단군 발자취이다

→ 오랫동안 살핀 일은 단군 밑뿌리이다

9쪽


신라는 착실하게 부국강병을 지향하여 단단한 국가를 건설하고 있었다

→ 신라는 차근차근 힘나라를 바라보며 나라를 단단히 세웠다

→ 신라는 꾸준하게 큰나라를 내다보며 나라를 단단히 일구었다

1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3.11.21.

숨은책 876


《東仁全集 2 젊은 그들》

 김동인 글

 정양사

 1958.9.15.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1991∼93년에 길잡이한테 여쭈었습니다. “김동인은 친일문학인이라면서요? 그런데 우리가 왜 이런 사람 소설을 읽고 풀이해야 하지요?” “왜냐고? 입시에 나온다.” “…….” 지긋지긋한 굴레에서 벗어나려면 열린배움터로 나아가야 하는데, 김동인뿐 아니라 숱한 친일문학인 글을 읽어야 했고, 외워야 했고, 뜻풀이를 헤아려야 했습니다. 글과 사람을 떼어놓아도 된다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글은 글쓴이 얼굴이요, 글쓴이 삶자취는 고스란히 글입니다. 글만 훌륭할 수 없고, 사람만 훌륭하지 않아요. 글하고 사람은 나란히 흐릅니다. 그저 ‘평론’이라는 이름으로 허울을 씌워 줄 뿐입니다. 《東仁全集 2 젊은 그들》을 읽다가 내려놓았습니다. 재미가 없고, 낡았고, 우리말결이 싱그럽지 않고, 마음을 울리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1956년부터 ‘동인문학상’을 폅니다. 그때에도 그 뒤에도, 우리는 이런 쓸개빠진 껍데기를 걷어치우지 못 합니다. ‘미당문학상’하고 ‘팔봉문학상’도 똑같아요. 이름을 붙이려는 무리도, 이름을 덥석 받아안는 이도 한동아리입니다. 종살이(식민지)는 아직 안 끝났습니다. 우리 마음에, 붓에, 터전에, 책에 말글에, 깊이 밴 굴레를 털어낼 줄 알아야 어른으로 설 수 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870


《버려진 조선의 처녀들·훈 할머니》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 엮음

 아름다운사람들

 2004.2.24.



  저는 ‘최이병·최일병·최상병·최뱀(최병장)’이 아닌, 제 이름이 있습니다. 어릴 적에 일본 총칼에 끌려가 노리개로 가시밭길을 걸어야 한 뒤에 캄보디아에 홀몸으로 남아 하루하루 살아내면서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훈 할머니’라는 이름으로 고요히 흙으로 돌아간 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훈 할머니뿐 아니라 숱한 꽃할머니를 거들떠보지 않아 왔는데, 《버려진 조선의 처녀들·훈 할머니》라는 책이 2004년에 나온 적 있습니다. 이 책은 거의 안 팔리고 안 읽히다가 조용히 사라졌어요. 나라가 꽃할머니를 안 거들떠보았듯, 우리 스스로도 꽃할머니 삶길을 안 쳐다보았어요. 나라탓만 할 수 없습니다. ‘엉터리 나라’는 바로 우리가 스스로 세웠습니다. 나라지기나 벼슬아치만 나무랄 수 없습니다. 멍청한 나라지기에 벼슬아치는 늘 우리 손으로 뽑았습니다. 총칼(전쟁무기)로 나라를 못 지키고, 우리 스스로도 못 지킵니다. 총칼은 우리 스스로 옥죄거나 억누르는 굴레이면서, 이웃을 짓밟는 고삐입니다. 누가 노리개(위안부)를 거느렸는지 제대로 봐야 합니다. ‘총칼을 앞세운 나라(정부)·싸울아비(군인)’가 노리개를 부립니다. 모든 총칼을 걷어치우면서 이웃을 포근히 품을 줄 알 때라야 생채기를 눈물로 씻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