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1
이덕일 지음, 권태균 사진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군대 시절 '조선 왕 독살사건'을 통해 처음 만나게 된 이덕일 작가의 책은 기존 주류 역사관과는 사뭇

다른 입장에서 역사를 기술하고 있어 신선한 충격을 안겨 주었는데 이후 여러 책들을 통해 역사책 읽는

재미를 알게 해 주었다. 조선 왕들에 대해선 워낙 많은 책들이 나와 있어 새삼스러운 면도 없진 않았지만

이덕일 작가는 과연 조선 왕들을 어떻게 평가했는지 궁금했는데 오랫동안 책장 속에 잠자고 있던 이

책을 드디어 꺼내 읽게 되었다.


후속편이 있어 1권이라 할 수 있는 이 책에선 총 4부에 걸쳐 8명의 왕을 다룬다. 악역을 자처한 두 임금

에선 태종과 세조가, 신하들에게 쫓겨난 임금들은 당연히 연산군과 광해군이, 전란을 겪은 임금들에도

당연히 선조와 인조가, 절반만 성공한 임금들로는 성종과 영조가 등장했다. 조선 개국의 일등 공신

이었지만 아버지 태조의 그릇된 자식 편애로 인해 두 번의 왕자의 난을 치르고서야 왕위에 오른 태종은 

이후에도 외척, 공신 척결을 통해 왕권 강화에 힘썼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욕을 많이 먹었지만 그런

그의 욕받이는 세종의 태평성대를 열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는 평가로 정당화되곤 한다. 한편 세조는

조카의 왕위를 빼앗고 형제나 수많은 반대파들을 제거했지만 그가 내세운 명분은 오로지 자신과 

공신들의 특권을 위한 것으로 이후에도 특권층들의 천국이 되다 보니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황음무도한 군주로 악명이 높은 연산군의 경우 이 책에선 실제 증거가 없음에도 조선 사관들의 덧칠한

가치관에 의해 반정을 정당화했다는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고, 동북아 정세 급변에 유연하게 대처한

시대를 앞서간 군주로 재평가받고 있는 광해군도 신하들의 소통과 화합에 실패하고 대북 강경파에

의지해 폐모 등 실책을 거듭하다 쫓겨난 허무한 종말을 맞았다고 평가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란

조선 최대의 전란을 겪은 선조와 인조는 최악의 임금들이라 할 수 있었는데, 방계승통이란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선조는 나라를 망국 직전까지 몰고 갔으면서도 정신을 못 차리고 늦둥이를 보면서

후계 문제로 정쟁의 소용돌이에 몰아 넣었고, 헛된 명분론에 사로잡혀 다시 전란을 불러온 인조는

치욕을 당하고도 왕위를 빼앗길까봐 아들마저 독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예종의 급서와 왕실과 공신들의 정치적인 거래로 왕위에 오른 성종은 현실과의 타협을 할 수밖에 없어

반쪽짜리 개혁에 그쳤고 연산군의 어머니를 죽이면서 또 다른 비극의 씨앗을 뿌렸다. 경종 독살설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영조는 나름의 업적을 쌓기는 하지만 자신의 치부에서 벗어나지 못해 노론과 손잡고

아들마저 죽이는 비극을 낳고 말았다. 대부분 아는 내용들이 많았지만 이 책을 통해 좀 더 자세하고,

새롭게 알게 된 부분도 적지 않았는데 조선시대 사료들을 볼 때 성리학적 관점과 당파적 관점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사실을 새삼 실감했다. 요즘도 프레임 타령이 범람하면서 

정반대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들로 가득차 있는데 역사를 바라볼 때는 결국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란 점을 간과해선 안 될 것 같다. 흔히 역사를 과거학으로만 치부하는 경향이 있지만 역사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바라본다는 측면에선 역사는 현재학이고, 이를 통해 미래를 조망한다는

측면에선 미래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기존의 일방적인 역사관에서 벗어나 역사를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음을 보여줘 조선 왕들의 진면목을 좀 더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도와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