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23.


《빛깔있는 책들 149 탈》

 심우성 글, 박옥수 사진, 대원사, 1994.9.30.



수원에서 ‘숲노래 책숲’으로 마실하는 이웃님이 계시다. 한동안 책꾸러미를 잔뜩 쌓기만 했기에 아침에 일찍 나와서 부랴부랴 치운다. 한참 멀었다. 그래도 조금은 자리를 옮겨놓았다. 책꽂이를 더 들일 틈은 없고, 작은책상을 들여놓고서 차곡차곡 책더미를 올리자고 생각한다. 이웃님은 천등산 금탑사로 마실을 가신다고 한다. 떡꾸러미를 주셨는데 ‘얼려놓을 일’이 없이 이틀이면 다 사라질 듯싶다. 묵은 책을 새삼스레 돌아보면서 하나하나 되새긴다. “그래, 처음부터 다시 긁어 놓자! 스무 해 남짓 긁은 겉그림이 몽땅 사라졌으면, 이제부터 새롭게 스무 해에 걸쳐 천천히 긁으면 될 테지!” 《빛깔있는 책들 149 탈》을 되읽었다. 1994년에는 탈을 다루는 책을 써내거나 들려줄 어른이나 길잡이가 있었을 텐데, 2023년에는 가뭇없이 사라졌다고 느낀다. ‘탈’이 왜 ‘탈’인지, ‘탈바꿈’이 무엇인지, ‘타다’란 무엇인지 차근차근 짚을 줄 아는 이웃은 얼마나 될까? 오래도록 우리 곁에 있던 살림이며 말을 모르는 채 ‘네이버·구글 찾기’만 한다면, 이런 모습이나 몸짓은 조금도 안 어른스럽고 안 사람스럽다. 겉·허울로는 사람 모습이되, 사람탈을 쓴 굴레이지 싶다. 우리는 사람인가, 아니면 사람탈을 쓴 허수아비인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22.


《단풍나무 언덕 농장의 사계절》

 마틴 프로벤슨·앨리스 프로벤슨 글·그림/김서정 옮김, 북뱅크, 2008.11.10



앵두꽃이 활짝. 밤에도 낮에도 앵두나무 곁이 하얗다. 마당 왼켠에서는 모과꽃내음이 퍼지고, 오른켠에서는 앵두꽃내음이 번진다. 딱새 노랫소리를 듣는다. 직박구리 노랫가락에 젖어든다. 가볍게 흐르는 바람을 느낀다. ‘차상위계층 난방비 지원’을 ‘이장이 면사무소에 신청한다’는 전화를 받는다. 왜? 이런 일은 면사무소에서 바로 알려야 맞지 않나? 해질녘부터 빗방울이 가볍게 듣는다. 《단풍나무 언덕 농장의 사계절》을 되읽어 본다. 한글판은 1981년에 처음 나왔고, 1984년에 새로 나왔다. 이러고서 1990년으로 접어들고서 잊혔고, 오랜만에 다시 나온 판이다. 우리나라 시골에 아이들이 북적거릴 무렵에는 이 그림책을 곁에 두면서 시골빛을 이야기하는 어른이나 길잡이가 드물었고, 이제는 시골에서 사는 아이가 드문데다가 서울(도시)에서 이 그림책을 품고서 마음을 가꾸다가 서울을 홀가분히 떠나려는 아이가 얼마나 되려나 궁금하다. 모두 스스로 가꾸고 돌보고 일구면서 스스로 생각을 빛내고 하루를 노래하는 삶을 담은 그림책인데, ‘그림만 이쁜 책’으로 삼는 오늘날 우리 모습이지는 않을까? 모든 책은 삶을 담되, 좋거나 나쁜 삶은 없지만, 새와 개구리와 풀벌레와 말과 비바람을 이웃으로 여기는 책이 매우 적다.


《단풍나무 언덕 농장의 1년》(양평 옮김, 백제1981.1.10./문선사1984.6.15.)


#TheYearatMapleHillFarm #MartinProvense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24.


《매일 휴일 2》

 신조 케이고 글·그림/장혜영 옮김, 서울미디어코믹스, 2022.7.30.



찌푸린 하늘이다. 비가 올 동 말 동하다가 가볍게 적시는 가랑비이다. 퍼부으려나 싶지만 내내 가볍다. 가늘다고 해서 ‘가랑비’인데, 이 빗줄기는 가볍기도 하고, 가만가만 스미기도 한다. 이튿날 인천으로 이야기마실을 갈 터라 이모저모 집일을 하고 책을 갈무리하다가 폭 쉰다. 바람소리·새소리·빗소리에 아이들 목소리를 듬뿍 담는다. 나를 살리는 소리란 푸른바람에 깃든 파란바다 같은 별빛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휴일 1·2·3》을 읽었다. 큰아이하고도 함께 읽었다. 시골집을 떠나 서울(도쿄)에서 복닥복닥하면서 꿈을 키우다가 잊은 사람이랑, 그림꽃(만화)을 그리는 꿈을 키우면서 펴려는 사람, 이렇게 둘이 마주하는 서울이웃(도쿄이웃)하고 얽힌 하루를 부드러이 그린다. 굳이 안 견주어도 되지만 《툇마루 만찬》이나 ‘마스다 미리’는 도무지 들려주지 못 하는 수수하게 빛나는 살림꽃을 싱그러우면서 오붓하게 펼치는구나 싶다. 어린씨·푸른씨랑 함께 읽으면서 생각을 나눌 만하도록 쓰고 그려야 비로소 ‘책’이지 않을까? 어른 눈높이로 쓴 글을 어린이한테 억지로 읽히면서 “문해력이 부족한 초등학생”이라고 함부로 읊지 말자. 아이들한테서 놀이를 빼앗은 주제에 ‘사랑으로 읽을 책’조차 안 쓴다면 누가 어른인가.


ㅅㄴㄹ


#ひらやすみ #真造圭伍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25.


《내가 좋아하는 것들, 시골》

 박정미, 스토리닷, 2023.4.10.



안산을 거쳐 인천으로 갈까 하다가, 서울 거쳐 인천 가는 길이 4000원 눅다. 시외버스삯이 또 뛰었다. 시외버스에서도 전철에서도 노래꽃을 쓴다. 예전에는 ‘동시’를 쓴다고 여겼다면, 두 아이가 무럭무럭 자라 푸른씨에 이른 요즈음은 ‘청소년시’를 지나 ‘그냥 노래(시)’를 쓴다. 도원역에서 내려 둘러보니 한켠은 골목마을을 통째로 갈아엎어 흙밭이요, 건너는 높다란 잿집(아파트)이다. 잿집을 올리느라 땅도 숲도 마을도 몽땅 허문다. 배다리책골목 한켠을 차지한 ‘뜬금없는 담그림(벽화)’은 눈살찌푸림이라 할 수조차 없다. 터무니없는 돈장난에 손장난이다. 〈마쉬〉하고 〈모갈1호〉하고 〈아벨서점〉에서 책을 두 꾸러미를 장만하고서 19시부터 ‘아벨서점 독서동아리, 우리말 어원읽기’를 편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 시골》을 반가우며 즐겁게 읽었다. 시골내기가 쓰는 시골책이 사랑스럽다. 우리는 서울(도시)이 없어도 되지만, 시골이 없으면 몽땅 굶고 숨조차 못 쉰다. 시골지기가 들숲바다를 보듬기에 푸른별에서 저마다 하루를 그리면서 살림을 누릴 수 있다. 큰고장(도시)에서 골목을 함부로 밀거나 책마을 둘레를 어지럽히는 길(정책)을 벼슬꾼(공무원)이 앞장서서 펴고, 멋바치(예술가)가 뒤따른다면, 서로 죽음길이겠지.


ㅅㄴㄹ


꼭 들리셔서 선물을 던져 주시곤 했다

→ 꼭 들러 보따리를 던져 주시곤 했다

→ 꼭 들르셔서 폭 안겨 주시곤 했다


가끔씩 걸어서 출퇴근할 때가 있었는데

→ 가끔 걸어서 다닐 때가 있는데

→ 가끔 걸어서 오갈 때가 있는데

→ 가끔 걸어서 일다닐 때가 있는데


이런저런 일들이 하나둘씩 떠올라 생각이 이어지다 보니 원망스러운 마음이 풍선 크기만큼 자랐다

→ 이런저런 일이 하나둘 떠오르다 보니 미운 마음이 부풀었다

→ 이런저런 일이 하나씩 떠오르다 보니 미운 마음이 자꾸 자랐다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물조루에 받고 있었다

→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물뿌리개에 받는다

→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물뿜이에 받는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21.


《도널드덕 어떻게 읽을 것인가》

 아리엘 도르프만·아르망 마텔리르 글/김성오 옮김, 새물결, 2003.6.20.



먼지잼조차 아닌 는개라 할 만큼 빗방울이 듣는 듯하다가, 해가 따사롭게 비추다가, 구름이 모이다가, 새삼스레 해가 비추고, 바람이 휭휭 분다. 새가 노래하다가 뚝 끊어져 조용하다가 또 새노래가 훅 번진다. 하늘이 파랗게 나오다가 다시 구름이 모이다가, 밤에는 별이 빛나다가 어느새 새삼스레 구름이 덮는다. 봄하늘을 하룻내 바라보다가 생각한다. 이렇게 하늘읽기 하나로도 끝없이 새로울 수 있는데, 우리 눈길은 어디로 나아가는가. 마음길을 어떻게 다스리고, 삶길을 어떻게 추스르는가. 생각길을 어떻게 짓고, 사랑길을 어떻게 가는가. 1971년에 처음 나온 《도널드덕 어떻게 읽을 것인가》는 2003년에 한글판으로 나온다. 처음 한글판이 나올 적에 사읽고서 ‘만화를 읽는 눈’을 이렇게 풀어내는 책이 이웃나라에서 나오기도 했구나 싶어 반가웠다. 숲노래 씨는 예나 이제나 만화읽기(만화비평)를 꾸준히 쓴다. 그림책뿐 아니라 만화책은 어린이·푸름이가 늘 곁에 두는데, 막상 만화읽기를 어질게 풀거나 다루는 어른이 거의 안 보인다. 아주 팽개쳤달까. 어느 책이든 다 읽을 만하지만, 아무 책이나 함부로 쥘 적에는 ‘아무개’로 뒹굴면서 힘꾼(권력자)이 시키는 대로 바보살이에 스스로 갇힌다. ‘나’로 서려고 ‘읽’고 ‘살핀’다.


#ArielDorfman #ArmandMattelart

#HowtoReadDonaldDuck

#ImperialistIdeologyintheDisneyComic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