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7.


《자이언트 9》

 야마다 요시히로 글·그림/이영신 옮김, 학산문화사, 2005.4.25.



뒤꼍에서 살짝 뜯은 쑥을 넣어 무감자배춧국을 끓이는 하루. 쑥을 잔뜩 뜯어서 쑥버무리나 쑥지짐이를 해야만 봄맛이지 않다. 몇 포기를 가볍게 훑어서 국이나 밥에 얹어도 싱그럽고 푸른 봄빛이다. 먼저 무랑 마늘을 살살 볶은 다음 불을 그득 붓고서 끓인다. 감자랑 배추를 썰어서 넣고는, 이제 빨래를 헹군다. 물을 짜서 마당에 널고 슬슬 된장을 푼 다음 굵은소금을 넣고, 펄펄 끓을 적에 간장을 타서 간을 맞춘다. 이러고서 쑥을 넣으면 가장 향긋하다. 하루하루 노랫소리가 늘어난다. 해가 높아가면서 날벌레랑 풀벌레가 더 깨어나고, 개구리도 더 깨어나며, 새도 더 늘어난다. 올해 제비는 언제쯤 찾아오려나? 바다 너머에서 이 땅으로 씩씩하게 날아들 봄맞이새를 그린다. 《자이언트》를 읽었다. 고흥 녹동 마을책집 〈더 바구니〉를 가꾸는 책지기님이 ‘들놀이(야구)’를 즐기시기에 ‘알려줄(추천할) 만한 야구만화’를 이모저모 살피는 셈인데, 어째 ‘스포츠만화’는 죄다 어딘가 엉성하거나 순이를 엉큼하게 그리거나 억지스러운 결이 드러난다. 그저 삶을 그리면 되지 않을까? 오롯이 살림빛을 사랑하면 넉넉하지 않을까? 글감이나 그림감은 집안일·들놀이·벼슬길이건 대수롭지 않다. 살림을 짓는 사랑을 담는 삶이면 아름답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6.


《나무와 새》

 마일리 뒤프렌 글·테레사 아로요 코르코바도 그림/이슬아 옮김, 여유당, 2023.1.25.



잎샘바람이 제법 간다. 푸릇푸릇 올라오던 풀싹이며 꽃눈이 옹크린다. 뒤꼍 멧개구리가 우렁차게 운다. 봄이면 새삼스레 누리는 개구리 노랫소리. 지난날에는 누구나 보금자리랑 마을에서 갖은 노래를 누렸고, 철갈이를 느꼈고, 새롭게 지을 살림길을 헤아렸다. 그런데 해날(일요일)조차 ‘산불예방 마을알림’을 다섯 벌이나 쩌렁쩌렁 틀어댄다. 이런 마을알림을 펴는 벼슬꾼(공무원) 얼굴을 본 일이 없다. 그들은 날마다 마을알림을 왜 틀어댈까? 시끌소리를 틀어대고서 ‘일했다’고 여기려나? 그들 스스로 마을에서 안 사니까 이런 짓을 하겠지. ‘공단 벼슬꾼’도, 시골 군수·실과장도 쳐내야 한다. 전남 고흥은, 고흥에서 안 살며 광주·순천에서 부릉부릉 오가는 놈이 수두룩하다. 《나무와 새》를 되새긴다. 서울(도시) 어린이한테 이바지할 그림책일 텐데, 이제는 서울 어린이보다 시골 어린이하고 어른한테 이바지하는 그림책이 태어나기를 빈다. 참말로 시골사람은 숲책(환경책)도 그림책도 안 본다. 아니, 시골사람은 책을 아예 안 본다고 할 만하다. 책이 실마리는 아니되, 책조차 안 읽고서 대학생·지식인·공무원이 되면 그들이 할 짓은 너무 뻔하잖은가? 아무튼 우리말은 ‘나뭇가지’이다. ‘나무의 가지’라는 말은 없다.


#Larbreetloiseau #MaylisDaufresne #TeresaArroyoCorcobado


나무의 가지에 살포시 앉았어요

→ 나뭇가지에 살포시 앉았어요


제비는 이번 여름을 나고 있는 농장에 대해 들려주었어요

→ 제비는 이 여름을 나는 숲밭 이야기를 들려주었어요

→ 제비는 올여름을 나는 들밭을 이야기했어요


널 만난 건 정말 행운이야

→ 널 만나 참말 좋아

→ 널 만나서 참 즐거워

→ 널 만나 참으로 반가워


자신의 몸에 둥지 튼 것을 알게 되었어요

→ 제 몸에 둥지를 튼 줄 알았어요


따스한 햇살이 나무들을 어루만져 주어요

→ 따스한 볕이 나무를 어루만져 주어요

→ 해님이 나무를 따스히 어루만져요


온갖 새들이 날아와 나무의 가지 위에서 쉬었다 가요

→ 온갖 새가 날아와 나뭇가지에서 쉬었다 가요

→ 온갖 새가 날아와 나뭇가지에 앉아서 쉬어요


나무는 새들의 노래를 들으며 세상을 그려 보지요

→ 나무는 새노래를 들으며 온누리를 그려 보지요

→ 나무는 멧새노래를 들으며 둘레를 그려 보지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5.


《두 아이와》

 김태완 글·사진, 다행하다, 2022.1.10.



‘카톡 친구관리’를 익히다. 어느 글바치가 찰거머리짓을 하는데, 손전화로 몰아붙이는 물어뜯기(악플)를 끊는 길이 있구나. 나보다 나이가 적으면 ‘눈물 무늬(이모티콘) + 선생님 타령’을 하고,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막말 + 배신자 소리’를 해댄다. 이들은 스스로 티없음(무결점·무결함)이라고 외친다. 이들은 ‘티있음이라면 어떻게 대학교수·평론가·예술가·기자 이름으로 글을 쓰거나 중앙일간지 칼럼을 쓰거나 대형출판사에서 책을 내느냐’고 목청을 높인다. 스스로 살림빛이나 사랑꽃을 바라보지 않기에 ‘다른 높은 이름값’을 내세우려 하더라. 이들로서는 이 나라가 아직도 고리타분한 ‘조선 위계질서 신분사회’라고 여기는 듯하다. 《두 아이와》를 가만히 읽었다. “아이 곁에서 함께살기”를 그리는 사랑을 품는다면, 이 작은책(독립출판물)을 찾아내어 품을 수 있으리라. 읍내를 다녀오면서 시골버스에서 글쓰기를 한다. 저녁에는 별빛을 어림한다. 보송보송 마른 빨래를 개면서 참말로 봄날씨로 바뀌는구나 하고 느낀다. 숲노래 씨한테는 ‘두 아이 + 두 아이’가 늘 곁에 있다. “아이들하고 함께살림”을 그리는 어버이라면 허울스런 글·그림·빛꽃을 처음부터 안 하겠지. 아니, 오직 사랑만 글·그림·빛꽃에 담겠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숲노래 씨는

이 책을 인천 마을책집 <서점 안착>에서 장만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4.


《물의 보이지 않는 곳을 들여다보았더니》

 데즈카 아케미 글·그림/김지연 옮김, 책속물고기, 2020.12.20.



어제는 부엌가스를 새로 받으며 52000원을 치른다. 오늘은 기름을 300리터 받으며 381000원(1ℓ = 1270원)을 치른다. 지난달에 기름을 넣을 적에는 1300원이었으니 30원이 찔끔 내렸다. 나라(정부)에서는 가난이한테 뭔가 도움삯을 준다고 설레발을 치더니 지난해도 지지난해도 올해도 10원 하나 없다. 서울(도시)에서 살며 ‘도시가스’ 쓰는 사람만 받을는지 모른다. 면소재지 우체국으로 자전거를 달린다. 이제는 깡똥바지를 입고도 무릎이 안 시리다. 맞바람은 꽤 세다. 들길을 지나며 하늘을 바라보니 먼지띠가 짙다. 고흥 같은 시골이 먼지하늘이라면 서울은 얼마나 끔찍할까! 《물의 보이지 않는 곳을 들여다보았더니》를 뜻있게 읽었다. 이 책에서 다루듯 ‘온누리에 물이 모자랄 일은 없’다. 참말로 물은 안 모자라다. 물이 모자라다면, 숱한 곳에서 땅밑물을 그렇게 잔뜩 퍼내어 플라스틱에 담아서 팔아치울 수 없다. 물도 기름(석유)도 모자라지 않다. 얼마든지 누릴 수 있다. 다만, 물하고 기름이 모자라다는 이야기를 퍼뜨리는 무리가 있고, 몇몇 무리하고 나라(정부)하고 일터(기업)가 손잡고서 모든 길미를 우려먹을 뿐이다. 모든 ‘생수회사’를 걷어치우고 ‘수자원공사’도 없앨 일이다. 누구나 땅밑물·우물물을 누려야 한다.


#みず #のぞいてみようしぜんかがく #てづかあけみ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3.


《피아노의 요정》

 롯떼 킨스코퍼 글·박혜선 그림/조의순 옮김, 크레용하우스, 2002.12.5.



밤새 가늘게 빗소리가 울리다가 새벽에 갠다. 아침에는 감쪽같이 구름이 걷힌다. 흙은 늦겨울 가랑비를 맞고서 촉촉하다. 며칠 동안 잎샘바람이 부는가 싶더니 이 빗방울로 망울이 한껏 부푼다. 해는 차츰 높아 어느덧 아침해도 낮해도 마루로 더는 안 스민다. 이제는 처마 밑으로 그늘이 살짝 지려 한다. 따뜻하게 높아가는 하늘이로구나. 바람조차 가볍다. 벌써 산들바람 같다. 《피아노의 요정》을 읽었다. 뜻깊이 흐르는 줄거리가 돋보인다고 느끼면서도 살짝 아쉽다. 다만, 살짝 아쉬울 뿐, 매우 잘 쓴 이야기라고 본다. 우리나라 어린이책 가운데 몇 가지나 이만큼 이야기를 여밀 수 있을까? 아이를 낳기는 했어도 아이랑 하루를 누리는 기쁜 나날을 보내는 어버이나 어른이 차츰 줄어든다고 느낀다. 돌봄(보육)을 배움터(학교)나 나라(정부)에 떠넘기려는 이들이 너무 많다. 돌봄이(보육교사)가 따로 있기도 해야 할 테지만, 먼저 어버이가 돌봄이로 느긋이 지내는 틀이 서야겠고, 길잡이(교사)가 어느 만큼 있기도 해야겠지만, 누구보다 어버이가 아이 곁에서 길잡이로 함께 걸어갈 노릇이다. 돈이 너무 많이 샌다. ‘교육예산’은 배움터가 아닌 수수한 보금자리로 돌릴 노릇이다. 애먼 짓(정책)은 멈추고 어버이가 어버이로 살면 된다.


#DerKlavierling #LotteKinskofer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