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은 책 2017.9.28.


아침 일찍 시외버스를 탄다. 오늘 낮 두 시에 도화중학교 푸름이를 만나서 ‘사전 짓는 일’을 사람이 어떤 곳에서 어떻게 일하는가를 보여주기로 했다. 사전 짓는 일이든 숱한 책을 짓는 일이든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 다르다. 온마음을 바쳐서 언제나 새롭게 배우려는 몸짓이 되기에 사전이든 책이든 지을 수 있다. 그리고 사전은 모든 책을 이루는 바탕이 되는 말을 제대로 갈고닦아서 말 한 마디마다 어마어마한 생각이 씨앗으로 깃든다는 얼거리를 보여주니, 이러한 사전짓기를 할 적에는 모든 책이랑 사람이랑 삶이랑 목숨을 사랑하는 마음이 될 수 있어야 한다. 시외버스에서 한 시간쯤 눈을 붙인 뒤에 만화책 《와카코와 술》 둘째 권을 읽는다. 첫째 권을 읽고 나서 꽤 오랜만에 둘째 권을 장만하여 읽는다. 술 한 모금에 기쁨을 누리고, 밥 한 술에 웃음을 짓는 《와카코와 술》 이야기는 꽤 수수하다. 혼술이나 혼밥을 떠나 ‘기쁨술’에 ‘웃음밥’이라고 할까. 기뻐하는 마음이니 따사롭고, 웃음짓는 몸짓이니 상냥하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실길에 읽는 책 2017.9.28.


어제 라디오 방송 녹음을 잘 마쳤다. 그러고 나서 저녁에는 한겨레배움마당에서 하는 ‘작은 출판사 배움자리’에 살짝 곁들이로 앉았다. 씩씩하게 작은 출판사를 여신 두 분을 만나고, 앞으로 작은 출판사를 내려는 뜻을 품은 멋진 이웃들을 만난다. 문득 돌아보니 내가 책마을이라는 데에 발을 담근 지 거의 스무 해가 된다. 이동안 겪거나 느끼거나 배우거나 본 숱한 이야기가 앞으로 새로 책마을에 발을 담그려는 분한테 작게나마 보탬이 될 수 있는 모습을 느낀다. 그래, 내가 지난날 책마을에서 쓴맛 단맛 매운맛 신맛 온갖 맛을 보며 가슴에 담은 이야기가 새로운 길을 나설 이웃님한테 징검돌이 되기도 하는구나. 때로는 징검돌이 되고, 밑돌이나 디딤돌이 되는 일이란 새삼스레 보람차구나. 새벽 네 시까지 이어지면서 끝날 줄 모르는 이야기꽃을 더 버티면 안 되겠다고 여겨서 먼저 일어난다. 나는 아침 여덟 시에 고흥으로 돌아가는 시외버스를 타야 한다. 두 시간 동안 가볍게 눈을 붙인다. 씻고 옷을 갈아입는다. 어제 미리 빨아 놓은 옷이 잘 말랐다. 전철을 타고 고속버스역으로 가는 길에 시집 《바다가 처음 번역된 문장》을 읽는다. 2호선에서는 시집을 읽을 만한 틈이 있으나, 9호선을 갈아타니 사람이 밀리고 눌린다. 시집을 꺼낼 틈도, 팔을 뻗거나 가방을 손에 쥘 틈도 없다. 서울사람은, 또 전철이나 지하철이 있는 큰도시 사람은, 아침저녁으로 이 무시무시한 납짝쿵이 되면서 일터랑 집 사이를 오가야 하네. 사람물결이 너무 일렁이니 옆을 스치는 숱한 사람을 따사로운 이웃으로 마주하기 무척 어려울 수 있겠다. 고운 사람한테 치이고 멋진 사람한테 차이는 서울이라고 할까. 이렇게 팍팍한 서울이라면 오히려 더욱 책 한 권에 시집 한 권이 보람이 있겠다고 느낀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실길에 읽는 책 2017.9.27.


라디오 방송을 녹음하러 서울에 왔다. 9월 27일 아침 10시 30분부터 일산에 있는 교육방송으로 가야 했기에 하루 일찍 서울에 와서 묵었고, 서울서 일산으로 달린다. 고흥이라는 시골에서 살림을 짓는 내가 서울이라는 커다란 도시로 오면, 서울에 계신 이웃님이 으레 묻는 말이 있다. “공기 맑은 곳에 있다가 공기 더러운 곳에 오시면 힘들지요?” 고흥살이 일곱 해가 지나가는 요즈음 나는 다음처럼 말씀을 여쭌다. “처음 고흥에 깃들 무렵 서울에 올 적에는 참말 말씀처럼 그리 느꼈어요. 그런데 이제는 그리 느끼거나 생각하지 않아요. 언제나 마음을 어떻게 품느냐에 따라 달라지더군요. 고흥이라는 시골에서는 바람이 맑고 우리 숲집이 싱그럽다고 생각하고요, 서울이라는 도시에서는 곳곳에 나무가 참 많구나 하고 여겨요. 이렇게 찻길이 넓어도 길을 따라서 나무가 줄줄이 늘어서요. 나무들 참 곱네, 골목에도 나무가 참 많네, 이 나무들 많은 서울에는 서울 나름대로 푸르고 싱그러운 바람이 흐르네 하고 생각해요.” 교육방송국에 일찍 닿는다. 1층 맞이방에 있는 찻집에 앉는다. 이제껏 살며 찻집이라는 데에 혼자 들어온 적이 처음이다. 게다가 찻집에서 차를 시켜서 마시는 일도 처음이다. 찻집이란 이런 곳이로구나 하고 느끼면서 동시집 《잎이 하나 더 있는 아이》를 읽는다. 입에 착착 감기는 노랫말을 돌아본다. 살그머니 짓는 말놀이를 돌아본다. 초등학교를 다니는 데에도 벌써 공부 때문에 고단한 아이들이 서울이며 골골샅샅에 가득한 모습을 돌아본다. 아이를 사랑하는 어버이나 어른을 돌아본다. 아이들을 시험공부나 입시로 주눅들게 내모는 어버이나 어른을 돌아본다. 이 땅에 동시라는 자그마한 글이 있어서 이 땅에서 태어나 자라는 아이들한테 조금이나마 숨돌릴 틈이 생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돌아본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자전거 타며 읽은 책 2017.9.24.


저녁에 자전거를 타려고 한다. 작은아이는 어느새 알아보고 아버지 곁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이 멋쟁이를 보게나. 큰아이는 아버지가 자전거를 타든 말든 살짝 시큰둥하다. 저도 함께 타고 싶은데 한 걸음 빼는 셈일까? 큰아이는 예전에 자전거마실을 갈 적에 덥거나 춥거나 어김없이 따라가겠노라 했는데, 요새는 이 자전거마실을 동생한테 내어줄 뿐, 좀처럼 함께 나서려 하지 않는다. 아마 큰아이는 제 자전거를 따로 탄다면 신나게 따라나서겠다고 할는지 모른다. 나날이 저녁이 일찍 찾아오는 가을이 깊다. 작은아이하고 둘이서 조용히 들길을 가로지른다. 바람을 가르는 맛을 누나만큼 자주 맛보지 못했어도 틈틈이 누리는 이 바람 가르는 맛을 작은아이도 대단히 좋아한다. 그래, 작은아이가 바람맛을 누리는 자전거마실을 좀 성기게 했구나. 집으로 돌아와서 저녁을 차리고는 씻고 나서 조용히 《네팔은 여전히 아름답다》를 읽는다. 멧자락을 낀 마을에서는 자전거를 탈 일이 없다고 할 네팔일 테지만, 네팔에서도 도시에서는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많겠지? 자전거는 이 지구라는 별에서 숱한 마을하고 사람을 잇는 자그마한 이음고리라고 느낀다. 그러고 보면 네팔이나 티벳이나 몽골을 자전거로 달리려는 분도 꽤 있다. 한밤에 자전거를 달리면 쏟아지는 별을 누릴 수 있는 네팔이나 티벳이나 몽골을 가로지르는 이들은 가슴에 어떤 기쁨이나 이야기를 품을까 하고 헤아려 본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시외버스에서 읽은 책 2017.9.26.


라디오 녹음을 하러 서울로 마실을 가는 길이다. 요즈음은 손전화로 녹음을 할 수 있을 테지만, 그래도 방송국에서 조용히 소리를 담아야 더 낫겠지. 오늘 서울로 마실길을 떠나면서 두 아이한테 몇 가지 심부름을 맡겼다. 이 심부름을 두 아이가 슬기롭고 즐거이 잘 맡아 주리라 본다. 나는 나대로 시외버스에서 할 일감을 챙긴다. 몇 가지 일감을 하고서 책도 읽는데 《져야 이기는 내기》라는 이야기책이 무척 재미있다. 이 책을 쓴 분이 첫머리에 ‘눈사람’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한국 옛이야기에서 따왔다고 하네. 오호라, 그렇구나. 어쩐지 눈사람 이야기를 어릴 적에 얼핏 들었다는 생각이 났다. 짤막짤막 이야기로 아이들을 일깨우던 지구별 온나라 사람들 살림살이가 책 한 권에 깃든다. 나도 우리 아이들한테 슬기로운 생각을 일깨우는 어버이로서 이야기를 짓는 하루를 보내는가 하고 되새긴다. 아이도 어른도 이야기랑 수수께끼를 늘 가슴에 품기에 새롭게 자라고 새롭게 웃으며 새롭게 사랑하는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지 싶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