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0.25.

어제 저자마실을 하면서 고기를 두 점 장만했다. 곁님 어머니가 고추장에 재운 더덕을 한 통 보내 주셨기에, 아이들한테 먹이려고 고기랑 버섯이랑 배추랑 당근을 함께 구우려고 생각한다. 그런데 막상 굽고 보니 구이가 아니라 조림 비슷하게 된다. 고기를 굽는 구멍 있는 판이 아닌 스텐부침판을 쓰니 물기나 기름기가 빠져나갈 틈이 없기에 조림처럼 된다. 뻔히 알면서도 새삼스레 스스로 속는다. 더덕고기구이 아닌 더덕고기볶음마저 아닌 더덕고기조림이라니. 아이고. 이를 어쩌나. 얼른 머리를 돌린다. 아주 부드러운 배춧국을 끓이기로 한다. 잰 손놀림으로 배추를 썰어서 물을 끓여서 넣는다. 배춧국에는 달걀을 풀기로 한다. 곤약을 배춧국에 푹 익힌다. 잘 익은 뜨끈뜨끈한 곤약을 가지런히 썰어 접시에 담고, 두부도 배춧국에 담가서 익혀 놓는다. 이동안 더덕고기구이 아닌 더덕고기조림을 끝내고 저녁상을 차린다. 작은아이하고 곁님은 노느라 바쁘다며 안 오고 큰아이하고 둘이서 먹는다. 더덕고기조림은 생각보다 하나도 안 맵고, 큰아이가 맛있다며 아주 잘 먹는다. 놀이를 마친 곁님하고 작은아이는 한참 뒤에야 먹어 보는데 다들 맛있게 잘 먹어 준다. 뭐, 구이 아닌 조림도 때로는 좋은 일이지. 어쩌면 고추장더덕하고 고기버섯하고 잘 어울린다고 할 만하다. 한시름을 덜고서 등허리를 펴려고 자리에 누워서 이마 이치코 님 만화책 《그림자의 섬》을 읽는다. 《백귀야행》 못지않은 재미난 이야기가 흐르는 만화책이다. 《여행자의 나무》하고 《악몽성의 주인》이랑 줄줄이 이어지는 만화로, 이 세 권을 나란히 읽다 보면 우리가 발을 디딘 이곳은 어쩌면 꿈나라일 수 있고, 우리가 꿈으로 마주하는 곳이 외려 참삶일 수 있다고 느낀다. 예전에 《샤먼 시스터즈》나 《게게게의 기타로》라는 만화책을 읽으면서 웬만한 다른 만화책이 시들해진 적이 있는데, 이마 이치코 님이나 타카하시 루미코 님 만화책을 읽다 보면, 그리고 여기에 테즈카 오사무 님 만화책을 새로 펼쳐서 읽다 보면, 만화라는 갈래는 대단히 높으며 아름다울 뿐 아니라, 웃음하고 노래까지 곁들여서 꿈을 사랑스레 북돋우는 엄청난 예술놀이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그나저나 《유리가면》 마지막 권은 언제 나오려나.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군내버스에서 읽은 책 2017.10.24.


공문서 손질하는 일을 한창 하다가 택배를 받는다. 아니, 공문서 손질하는 일을 살짝 멈추고서 밥을 지었고, 빨래를 했다. 마당에 빨래를 널다가 택배를 받았다. 옳거니 책이 왔구나.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이 한 상자 왔다. 이 따끈따끈한 책을 먼저 곁님한테 한 권 주고, 오늘은 우체국에 다녀오자고 생각한다. 우체국에 가기 앞서까지 오늘 몫 공문서 손질을 눈썹이 휘날리도록 했다. 이동안 난데없이 벼락이 치고 비바람이 몰려왔다. 아이들이 아버지를 부르면서 빨래를 걷자고 하지만, “아버지 바빠. 너희들이 해.” 하는 말만 남겼다. 드디어 15시를 앞두고 일을 마쳤고, 아이들이 빨래를 거두어 놓은 품새를 갈무리하고, 평상을 새로 덮는다. ‘우리 아이들아, 언제나 아버지가 모든 집일을 다 해 준다고 생각하지 말자. 빨래 걷는 일쯤 대수롭지 않단다. 그냥 너희가 해도 돼.’ 《겹말 사전》 열세 권을 가방에 챙긴다. 열세 권으로도 가방이 꽤 묵직하다. 큰아이한테 우체국에서 택배 종이에 우리 주소 적는 심부름을 맡기려고 같이 가자고 부른다. 군내버스에서 노래를 들으며 시집을 편다. 《바다는 잘 있습니다》라는 이병률 님 시집. 바다가 잘 있다는, 시인 아재가 이럭저럭 잘 있다는, 그리운 사람도 헤어진 사람도 이냥저냥 잘 있다는, 이리하여 시집도 이러구러 잘 나왔다는 …… 이야기를 읽는데 살짝 따분했다. 내 눈에는 ‘이파리를 가지고 있어요’라든지 ‘가정하에’라든지 ‘바람이 만들어지는’이라든지 ‘한 줄 위에 나란히 이불로 널려’ 같은 얄궂은 말씨가 자꾸 걸린다. 생각해 보면 요즘 시나 소설을 쓰는 분들 가운데 얄궂지 않고 정갈한 말씨를 쓰는 분을 찾아볼 수 없다. 그래서 오늘날에는 얄궂은 말씨가 외려 한국 말씨라고 여겨야 할 노릇인가 하고도 생각해 본다. 얄궂은데 얄궂은 줄 모르면서 누구나 흔히 쓰니까 말이다. 교과서하고 사전조차도 얄궂은 말씨를 털어낼 낌새가 거의 안 보이니 시인이나 소설가나 지식인을 탓하기도 어렵다. 그나저나 우리 새로운 책을 이웃님한테 부치려고 열세 권이나 챙겨서 우체국으로 나왔는데, 막상 우체국에서 가방을 여니 ‘주소 공책’을 집에 놓고 왔다. 참 바보스러운 짓을 했다고 뉘우치면서, 얼른 여러 이웃님한테 쪽글을 보내서 주소를 알려 주십사 하고 여쭌다. 종이봉투에 책을 싸자니 테이프로 친친 감아야 해서 손이 많이 간다. 누리책방이든 출판사이든 요새는 비닐뽁뽁이봉투에 책을 넣는 까닭을 알겠다. 날마다 꽤 많이 손수 싸서 부치려면 종이봉투에 책을 싸서 보내는 일이란 아무래도 바보짓이지 싶다. 큰아이가 배고프다며 닭고기를 먹자 한다. 심부름하느라 애썼지? 읍내에서 저자마실을 한 바퀴 돌고서 튀김닭집에 들어간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마당에서 읽은 책 2017.10.23.


아이들이 마당에 돗자리를 깔고서 논다. 가을볕이 좋지만 그래도 후박나무 그늘에 돗자리를 깐다. 우리 집은 볕도 좋고 그늘도 좋다. 우리 집에서 놀이를 하기에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내가 어릴 적에도 으레 이처럼 놀았다. 우리는 집에서도 잘 놀고 마을이나 마당에서도 잘 놀았다. 누가 놀이를 가르쳐 주어야 놀지 않는다. 우리 스스로 논다. 그리고 우리가 놀면서 쓰는 말은 아주 쉽고 또렷하다. 높거나 낮거나 자랑하거나 잘난 척하는 말은 안 쓴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마을이나 마당에서 놀이하는 아이를 보기도 어렵고, 그나마 피시방에서 게임을 하는 아이들은 꽤나 어려운 말을 쓴다. 학교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동무 사이에 어깨를 겯는 쉽고 수수한 말이 차츰 잊힌다. 교사와 학생 사이, 어른하고 아이 사이, 학교를 다닌 이하고 학교를 안 다닌 이, 이렇게 여러 사람들 사이에서도 얼마든지 너르게 쓰던 고른 말이 어느덧 밀린다. 《언어는 인권이다》는 이 같은 대목을 잘 짚은 인문책이라고 느낀다. 참말 그렇지. 말은 우리 권리이다. 더 살피면 권리를 넘어서 삶이다. “말은 삶이다”라든지 “말은 사랑이다”라 할 수 있다. 이런 테두리에서 생각해 보아야지 싶다. 우리 삶이나 사랑이나 권리나 인권을 ‘말’로 나타내거나 나눈다고 하면, 우리는 어떤 말을 써야 좋을까? 우리는 어떤 말로 사랑을 속삭이면서 아름다울 수 있을까? 우리는 어떤 말로 기쁨을 주고받으면서 웃을 수 있을까?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자전거 타며 읽은 책 2017.10.22.


해 떨어지기 앞서 자전거를 달리기로 한다. 이제 ㄱ도의회 공문서 손질은 모두 예순다섯 꼭지 남는다. 오늘하고 이튿날까지 열다섯 꼭지를 마무르고 다음주에 쉰 꼭지를 마무르자고 생각한다. 이 일에 매달리느라 이 가을에 아이들하고 마실도 제대로 못 다니지만, 면소재지 놀이터라도 다녀오려고 한다. 겨울을 앞두고 해가 짧으니 네 시를 넘을 무렵에도 멧자락에 해가 달랑달랑. 바지런히 자전거를 달렸고, 한 시간쯤 아이들을 놀린다. 나는 아이들 놀이를 지켜보다가 《할머니와 친구가 될 순 없나요?》를 읽는다. 처음에는 책이름에 끌려서 장만했고, 큰아이가 먼저 읽었다. 큰아이가 다 읽고서 내가 읽는데 번역은 여러모로 많이 아쉽다. 어린이책 번역이란 말이지! 논문이 아니고 말이지! 줄거리랑 이야기는 아름답다. 키 작은 가시내하고 키 큰 할머니 사이에 피어나는 아름다운 마음이 곱게 흐른다. 서로 아끼는 마음은 꼭 한식구여야 샘솟지 않는다. 피가 안 섞였다는 아주 다른 남남이라 하더라도 불현듯 마음으로 이어져서 두고두고 너른 사랑이 샘솟을 수 있다. 두 사람이 새로 지으면서 울타리를 걷어내어 이웃 아이들하고 할머니 할아버지한테까지 기쁜 웃음이 자라도록 이끄는 이야기란 얼마나 이쁜지. 그런데 이 책은 어느새 판이 끊어졌네. 언젠가 다시 살아날 수 있으리라. 이렇게 알차고 아름다운 이야기인데. 다만 번역은 새로 하고 글손질도 해야 한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밥하면서 읽는 책 2017.10.19.


우리 함께 밥을 차려 보자. 작은 일손을 거들어 보렴. 마당에 내놓아 햇볕을 머금은 파란 물병은 너희가 들여놓으렴. 물병이 비었으면 새로 물을 받아 볕이 잘 드는 곳에 놓으렴. 부엌을 한 번 쓸고 밥상을 닦으련? 달걀을 둘 꺼내고, 배추하고 양파를 건네주겠니. 감자를 씻어 주라. 이모저모 바라고 맡기면서 함께 짓는다. 우리한테 찾아오는 한끼를 기쁘게 누려 보자. 밥상맡에 앉은 아이들이 수저를 놀린다. 한창 배고플 적에는 아무 말이 없이 빠르게 그릇을 비운다. 너희들은 아직 스스로 “배고파요. 밥 주셔요.” 하고 말할 줄 모르지. 늘 어버이가 때를 맞춰서 밥을 먹자고 불러야 하지. 큰아이한테 설거지를 맡기고, 밥찌꺼기 그릇은 작은아이가 비우도록 맡긴 뒤, 나는 자리에 누워서 허리를 편다. 아이들이 제법 크니 참으로 수월하네. 이렇게 한두 가지씩 거들어 주니. 만화책 《하얀 구름》을 천천히 넘긴다. 이와오카 히사에 님이 오래도록 조금씩 빚은 짤막한 만화를 모았다. 사람이 나고 죽는 숨결, 두 사람 사이에 흐르는 마음, 이 땅하고 저 먼 별이 얽히는 수수께끼 같은 이야기가 포근하게 흐른다. 이런 살뜰한 만화책을 읽다 보면 예전에는 ‘왜 한국에는 이처럼 생각을 깊고 넓게 건드리는 만화를 그리는 분이 안 보일까?’ 하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제 이런 생각은 안 한다. 한국 교육 얼거리를 보라. 한국에서 만화를 그리든 글을 쓰든 그림을 그리든 사진을 찍든 춤을 추든 노래를 부르든 …… 사회 눈치를 안 보고서 오롯이 꿈을 사랑으로 그리는 마음으로 날아오를 수 있는 터전이 있을까? 이 나라 아이들 가운데 몇 아이쯤 어릴 적부터 마음껏 뛰놀면서 꿈씨앗을 심는 하루를 누리려나? 아름다이 어린 날을 누린 이야기를 가슴에 품은 사람이어야 만화길을 걸을 적에 아름답게 피어나는 씨앗을 고이 담을 수 있다고 느낀다.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