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9.1. 삶장난 말장난 글장난



  꽤 이름있다는 어느 분이 쓴 글을 읽었다. 그분은 “삶은 어떠어떠해야 한다. 나는 무엇이 되어야 한다고 만들어낼 필요가 없습니다.”처럼 앞말을 하고서 “현재의 나로 있어 보면 알게 됩니다.”처럼 뒷말을 하는데, 그저 두동지다. 이른바 ‘모순’이다. “내가 나로서 여기에 있기”란, “내가 스스로 무엇이 되려고 하는가를 생각하기”일 텐데, 마치 둘이 다르거나 틀린 길인 듯 말을 한다면, 이웃(독자)을 속이는 허울이로구나 싶다.


  더욱이 그분은 “쉬우면서도 드문 일이고, 드물지만 쉬운 일입니다.” 같은 말도 보태는데, 이 대목도 허울스럽다. 왜 그러한가 하면, ‘삶’이란,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모두 겪고 스치고 마주하고 누리고 찾고 헤매면서 ‘어떠어떠하게’ “스스로 지어가는 나날”이다.


  우리는 먼저, “삶은 어떠해야 할까?” 하고 길(목표·목적)을 세울 노릇이다. 다음으로, “나는 무엇(어떤 사람)으로 서야 할까?”를 생각할 노릇이다. 그리고 “나는 오늘 무엇을 하면서 삶이라는 길을 걷는가?”를 짚고 새기고 돌아볼 노릇이다. 이렇게 석걸음을 내딛을 적에 “내 넋이 입은 옷인 몸으로 이 별에서 어떤 하루를 짓는 나다운 사람이자 삶이자 살림이자 사랑으로 나아가는 숲”인지 비로소 바라볼 수 있다.


  내가 스스로 무엇(어떤 사람·숨결·넋)으로 서는 오늘인지 그리지 않는다면, 나는 늘 헤맬 뿐 아니라, 남이 하는 말에 휩쓸리거나 끄달린다. 나는 바로 ‘나짓기’부터 할 일이다. 다만, ‘나짓기’를 해야 할 뿐, ‘나를 만들기’를 하지는 않을 일이다. 왜냐하면 ‘만들기 = 똑같이 찍어내기’이니, “나를 남하고 똑같은 모습으로 찍어내듯 ‘만들기’를 해버리는 굴레질”이 아닌, 나를 나로서 내가 스스로 바라보면서 꿈을 그리고 사랑을 펴는 ‘나짓기’로 나설 일이다.


  글 한 줄로 글장난을 치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말 한 마디로 말장난을 하면서 돈과 이름과 힘을 쥐는 이도 꽤 늘었다. 글장난과 말장난으로 거드름을 피우는 무리는 그들 스스로 삶장난을 치는 셈이다. 얼핏 보면 그들은 떵떵거릴 뿐 아니라, 서울에서 50억이니 100억이니 200억이니 하는 맞돈(현금)을 척척 내면서 큰채를 장만하곤 하는데, 이만 한 돈으로 들숲메를 장만해서 들빛과 숲빛과 멧빛으로 고즈넉이 물들려고 하는 이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장난질이 아닌 삶짓기를 그리는 이라면, 200억이 아닌 10억이나 1억을 벌었어도 진작에 서울을 떠나서 시골에서 조용히 ‘보금숲(보금자리 + 숲)’을 짓겠지. 글쓰기와 말하기로 돈을 잘 벌고 이름을 날리는 이들 가운데 아직도 서울에 눌러앉기만 한다면, 이들은 하나같이 장난꾼일 뿐이다. 푸른길(환경운동)을 편다면서 정작 시골살림을 안 짓고 서울살이만 한다면, 말과 삶이란 늘 엇갈리면서 장난질에서 쳇바퀴를 치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8.31. 시흉척



  새롭게 일어나는 바람과 물결처럼 싱그럽게 살리기에 바람이자 바다이고, 우리 생각이다.


  틑에 박히거나 뻔하게 되풀이하는 말이나 소리는 안 새롭기에 생각일 수 없다.


  남들이 읊는 말이나 소리를 따라하면, 생각이 아닌 시늉이나 흉내이나 척이다.


  숱한 글(문학)은 시늉이나 흉내나 척만 한다. 생각을 담아야 새로운데, 생각을 안 담고서 "내가 썼는데 왜 생각이 없다고 하느냐?"고 따지는 분이 많다만, 척 보아도 남을 따라한 티가 흐르는데 무슨 생각이 있겠는가.


  우리가 스스로 이 삶을 부끄럽다고 여기기에 스스로 보내는 하루를 좀처럼 안 밝히곤 한다. 그저 이 삶을 쓰되, 꿈으로 가는 길을 그리고, 사랑으로 짓는 숲을 헤아리면, 어느새 생각씨 한 톨을 마음에 심을 테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자아도취적


 자아도취적인 상태에서 → 저좋아에 빠져서

 자아도취적이고 불안정하다 →  거드름에 덜렁대다

 자아도취적인 성격인데 → 제멋대로인데 / 혼멋인데


  ‘자아도취적’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자아도취(自我陶醉)’는 “[심리] = 자기도취”처럼 풀이하고, ‘자기도취(自己陶醉)’는 “[심리] 스스로에게 황홀하게 빠지는 일”처럼 풀이하는군요. 가만히 짚는다면, “스스로 좋아하다”입니다. “스스로 사랑하기”라 할 수 있고, 이는 ‘나좋아·나멋져·나잘났어’라 할 만합니다. ‘저좋아·저멋져·저잘났어’라 해도 어울립니다. 이런 몸짓이나 생각은 때로는 ‘겉멋·겉치레’로 흘러요. 스스로 흠뻑 빠지는 모습이란, 속마음 아닌 겉모습을 바라보면서 느끼거든요. 그래서 ‘거드름·거들먹거리다’나 ‘겉옷·겉짓’으로 손볼 만합니다. ‘꽁꽁거리다·꽁하다·좁다·좁쌀’나 ‘눈멀다·덜먹다’나 ‘마음대로·멋대로·말로·말뿐’로 손볼 수 있어요. ‘잘나다·잘난 체하다·젠체하다’나 ‘제멋·제멋대로’로 손보아도 됩니다. ‘철없다·철모르다’나 ‘콧대·콧대높다·콧대세우다·콧대질·콧방귀’로 손보아도 어울리지요. ‘혼길·혼멋·혼알이·혼자알다’나 ‘혼앓이·홀앓이·홑앓이’로 손볼 만하고요. ㅅㄴㄹ



카메라를 손에 쥐자 베트남 아이들이 제일 먼저, 제일 많이 찍은 사진은 다양한 각도의 ‘자아도취적’ 셀카였다

→ 찰칵이를 손에 쥐자 베트남 아이들이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찍은 모습은 온갖 ‘나 예뻐’였다

→ 빛꽃틀을 손에 쥐자 베트남 아이들이 가장 먼저, 가장 많이 온갖 ‘나 멋져’ 혼찍을 했다

《여행하는 카메라》(김정화, 샨티, 2014) 23쪽


독선적이고 오만하고 자아도취적인 행보를 보이는 동안의 문학권력 논쟁은

→ 잘나고 건방지고 제 말만 하는 모습을 보이는 동안 문학권력 논쟁은

→ 홀로 옳고 건방지고 제 덫에 갇힌 모습을 보이는 동안 문학권력 논쟁은

《부끄러움의 깊이》(김명인, 빨간소금, 2017) 25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혜열 智慧熱


 지혜열에 대처하는 법 → 아기불을 마주하는 길

 누구나 지혜열이 온다 → 누구나 어진불이 온다


  ‘지혜열(智慧熱)’은 “태어난 지 반년쯤 지난 유아에게 일어나는 원인 불명의 발열. 지혜가 생기기 시작할 무렵에 발생한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처럼 풀이합니다. 곰곰이 보면, 아기일 적에 치르거나 겪는 짙땀이요 불기운입니다. 이러한 결을 헤아려 ‘아기땀·아기불’이나 ‘어진땀·어진불’처럼 나타낼 만합니다. ㅅㄴㄹ



지혜열이었던 건지도

→ 아기땀이었는지도

→ 어진불이었는지도

《내 옆에 은하 2》(아마가쿠레 기도/이찬미 옮김, 소미미디어, 2022) 1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싸움말/전쟁용어] 야상野上



 야상을 착용하고 야간근무를 선다 → 겉옷을 입고 밤을 지킨다

 가을에 적합한 야상을 구매한다 → 가을에 맞는 덧옷을 산다


야상 : x

야전상의(野戰上衣) : x



  우리는 으레 싸움터(군대)에서 ‘야상’ 같은 일본스런 한자말을 씁니다. 그냥 일본말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야전상의’를 줄였다고도 하는데, 곰곰이 따진다면 ‘겉옷’이요 ‘긴옷·긴저고리’입니다. ‘덧옷’이나 ‘두루마기·마고자’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내 맞은편에는 야상을 입은 사내가 앉았다

→ 맞은쪽에는 덧옷을 입은 사내가 앉았다

→ 맞은켠에는 마고자를 입은 사내가 앉았다

《야간 경비원의 일기》(정지돈, 현대문학, 2019) 5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