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28 :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차지하였다

→ -이었다


위치(位置) : 1. 일정한 곳에 자리를 차지함 2. 사회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지위나 역할

차지하다 : 1. 사물이나 공간, 지위 따위를 자기 몫으로 가지다 2. 비율, 비중 따위를 이루다



  한자말 ‘위치’는 ‘차지’를 뜻합니다. “위치를 차지하다”는 겹말입니다. “차지하고 있었다”는 옮김말씨 “-고 있다”를 잘못 붙인 얼개로 여길 수 있으면서, ‘차지하다’하고 ‘있다’를 잘못 겹쳤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차지하다’나 ‘있다’라 하고, 이를 한자로는 ‘위치’로 나타내는 얼거리입니다. 이 글월이라면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를 통째로 가다듬어서 “고갱이를 차지하였다”나 “기둥이었다”로 손봅니다. ㅅㄴㄹ



지금보다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요새보다 더 고갱이를 차지하였다

→ 요즘보다 더 큰몫을 차지하였다

→ 오늘날보다 더 기둥이었다

→ 오늘보다 더 알짬이었다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 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29 :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 쏟아졌다

→ 밀려왔다

→ 확 생겼다

→ 갑자기 치솟았다


순식간(瞬息間) : 눈을 한 번 깜짝하거나 숨을 한 번 쉴 만한 아주 짧은 동안

쏟아지다 : 액체나 물질이 그것이 들어 있는 용기에서 한꺼번에 바깥으로 나오다

밀려오다 : 1. 미는 힘에 밀려서 오다 2. 파도가 옆으로 길게 일직선을 그리면서 오다 3. 한꺼번에 여럿이 몰려서 오다 4. 어떤 세력이나 현상이 막기 어려울 만큼 거센 힘으로 들어오거나 다가오다



  “아주 짧다”고 할 적에 한자말로 ‘순식간’이라 하는데, ‘쏟아지다’나 ‘밀려오다’라는 낱말도 “아주 짧다”고 할 동안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담는 낱말입니다. 갑자기 쏟아지고 확 밀려옵니다. 한꺼번에 쏟아지고 벼락처럼 밀려옵니다.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같은 보기글은 ‘쏟아지다’나 ‘밀려왔다’ 가운데 하나만 쓸 노릇입니다. 더 힘내어 밝히고 싶다면 ‘확’이나 ‘갑자기’를 꾸밈말로 붙여서 “확 생겼다”나 “갑자기 치솟았다”처럼 손볼 만합니다. ㅅㄴㄹ



명성은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 이름값은 확 생겼다

→ 이름은 갑자기 치솟았다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 3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30 : 마찬가지 이유 때문



마찬가지 이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

→ 까닭도 마찬가지이다

→ 이와 마찬가지로 ……

→ 이 때문에 ……

→ 이래서 ……


마찬가지 : 사물의 모양이나 일의 형편이 서로 같음

이유(理由) : 1.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 2. 구실이나 변명

때문 :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

까닭 : 일이 생기게 된 원인이나 조건

근거(根據) : 근본이 되는 거점

원인(原因) : 어떤 사물이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일으키게 하는 근본이 된 일이나 사건 ≒ 원유(原由)



  “이유 때문”은 겹말입니다. 그런데 국립국어원 낱말책은 ‘이유’ 뜻풀이하고 ‘때문’ 뜻풀이부터 겹말풀이에 돌림풀이입니다. 어떤 ‘일’이 ‘왜’ ‘일어나’는지 ‘밑·불씨·씨앗’이 무엇인지 짚으려고 하기에, 한자말로는 ‘이유·근거·원인’을 들고, 우리말로는 ‘때문·영문·까닭·비롯하다·말미암다’를 듭니다. 이 보기글은 겹말 “이유 때문” 앞에 ‘마찬가지’까지 붙이기에 겹겹말입니다. “이 때문에 글을 골랐다”라든지 “이래서 글을 쓴다”로 손볼 만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글을 골랐다”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ㅅㄴㄹ



내가 문학을 선택하게 된 것도 마찬가지 이유 때문이었던 것 같다

→ 글을 고른 까닭도 마찬가지이다

→ 이와 마찬가지로 글꽃을 골랐다

→ 이 때문에 글길을 갔다

→ 이래서 글을 쓰기로 했다

《뭐라도 되겠지》(김중혁, 마음산책, 2011) 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겹말 손질 2731 : 거대한 빙하



거대한 빙하 위에

→ 얼음장에

→ 얼음판에


거대(巨大) : 엄청나게 큼

빙하(氷河) : 1. [지리] 수백수천 년 동안 쌓인 눈이 얼음덩어리로 변하여 그 자체의 무게로 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현상. 또는 그 얼음덩어리. 중력에 따라 지형이 낮은 곳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남극 대륙이나 그린란드를 덮은 대륙 빙하와 알프스산맥이나 히말라야산맥처럼 폭이 좁은 리본 형태로 산 계곡을 흘러내리는 산악 빙하가 있다. 빙하의 상태는 기후의 장기적 변동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2. 얼어붙은 큰 강



  한자말 ‘빙하’는 ‘얼음덩어리’나 “얼어붙은 큰 냇물”을 가리킵니다. “작은 얼음”이 아닌 “큰 얼음”을 가리킵니다. “거대한 빙하”라 하면 알맞지 않습니다. ‘큰얼음’이라 하면 어울릴 텐데, 크게 얼어붙는다고 할 적에는 우리말로 ‘얼음장’이나 ‘얼음판’이라 합니다. ‘얼음내’나 ‘얼음메’나 ‘얼음땅’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거대한 빙하 위에 온 가족이 앉아 있는 것 같았다

→ 얼음장에 온집안이 앉은 듯했다

→ 얼음판에 온사람이 앉은 듯했다

《82년생 김지영》(조남주, 민음사, 2016)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장승배기 책집 할아버지는

오늘도 잘 계실까?

어느새 닫았을까?

시골에서 살다 보니

그저 궁금하기만 하다.

다음에 서울에 갈 적에

꼭 찾아가자고 생각한다.


+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푸른책 세 가지 (2021.11.5.)

― 서울 장승배기 〈문화서점〉



  환하게 퍼지는 햇빛을 느끼면서 걷습니다. ‘당곡역’ 둘레 〈책이당〉에서 상도3동을 가로질러서 ‘장승배기역’까지 갑니다. 그리 멀잖으니 걷지만, 이쯤만 해도 다들 버스를 타는 듯싶습니다. 장승배기역 넷째 나들목 옆에는 오랜 헌책집 〈문화서점〉이 있습니다. 서울에서 지내던 1995∼2003년에는 이곳이며 〈책방 진호〉하고 〈대방 헌책방〉에 〈뿌리서점〉까지 나란히 곧잘 드나들었으나, 시골로 터전을 옮긴 뒤로는 좀처럼 찾아오지 못 했습니다.


  오랜 마을책집 앞에 서서 햇볕을 쬡니다. 어느새 할배가 된 〈문화서점〉 지기님은 드문드문 찾는 책손을 반가이 맞이합니다. 이곳을 처음 찾아온 1994년에도 쪽책집이었고, 오늘도 쪽책집입니다. 요즈음 새로 태어나는 여러 마을책집 가운데 이곳보다 작은 쪽책집은 아직 못 봤습니다.


  쪽책집인 “장승배기 문화서점”이라서, 손님이 책을 보려고 들어오면, 책집지기는 밖으로 나옵니다. 한 사람이 책을 보는데 다른 손님이 찾아오면, 먼저 온 책손은 밖으로 나와서 서성입니다. 먼저 와서 살핀 책을 읽으면서 기다리지요. 이러다가 나중 책손이 안에서 나오면, 먼저 온 책손은 다시 들어가서 둘러보고, 이렇게 서로 갈마들면서 띄엄띄엄 슬렁슬렁 천천히 책빛을 누리는 얼거리입니다.


  요사이는 거의 사라졌으나, 1995년 언저리나 2005년까지도 ‘쪽헌책집’이 나라 곳곳에 꽤 있었습니다. 말 그대로 손바닥만 한 작은책집인데, 책을 더 많이 못 갖다 놓을 뿐 아니라, 이미 있는 책도 몇 겹으로 쌓지만, 쪽책집에는 알게 모르게 곳곳에 숨은 책이 있어요.


  엊그제 누가 “푸름이가 읽을 책을 골라 줄 수 있을까요?” 하고 물으셔서 꼭 세 가지를 알려주었습니다. 《아나스타시아 1∼10》(블라지미르 메그레)하고 《영리한 공주》(다이애나 콜즈)하고 《우리 마을 이야기》(오제 아키라)입니다. 셋은 결과 줄거리가 다르되 바탕은 모두 사랑입니다. 사랑으로 보금자리와 마을과 이 별을 짓는 길을 저마다 다르게 들려줍니다.


  살림하면서 쓰면 살림돈입니다. 살며 나누면 삶돈입니다. 사랑으로 일하고 펴면 사랑돈입니다. 혼자 쥐면 살림도 삶도 사랑도 아닙니다. 돌고돌아야 돈이라고 하는 뜻을 생각할 일입니다. 살림을 짓고 삶을 나누며 사랑을 심는 마음으로 어깨동무하면서 두레를 이루기에 ‘돈다운 돈’이에요. 쪽책집에 “돈을 버는 책”은 없되, “삶을 읽는 책”은 있습니다. 작은책집에 “잘팔리는 책”은 없으나, “곁에 놓을 책”은 있습니다. 마을책집으로 걸어가는 마실길을 누립니다.


ㅅㄴㄹ


《將棋妙手풀이》(七段 이정석, 일신서적, 1975.7.15.)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바스콘셀로스/편집부 엮음, 글수레, 1988.4.30.)

《동·서문명과 자연과학》(김필년, 까치,1992.9.1.)

《중국 고적 발굴기》(陳舜臣/이용찬 옮김, 대원사, 1988.12.17.)

《중국 전통문화와 과학》(김영식 엮음, 창작사, 1986.8.25.)

《노동의 의미》(淸水正德/편집부 옮김, 한마당, 1983.10.10.첫/1988.4.1.중판)

《진정한 노동조합운동》(에일러/일꾼 자료실 옮김, 만민사, 1989.6.10.)

《농민층분해와 농민운동》(서울대 사회학과 사회발전연구회, 미래사, 1988.1.15.)

《노동자와 통일》(편집부 엮음, 나라사랑, 1988.9.25.)

《열린 글 15 그람시의 마르크스주의와 헤게모니론》(권유철 엮음, 한울, 1984.10.15.)

《人間理解 第1輯》(김인자 외, 서강대학교생활상담실, 1979.6.8.)

《遺言詩》(비용/송면 옮김, 문학과지성사, 1980.12.25.)

《카뮈를 추억하며》(장 그르니에/이규현 옮김, 민음사, 1997.8.30.첫/2014.6.18.9벌)

《現代韓國新作全集 5 長詩·詩劇·敍事詩》(김종문·홍윤숙·신동엽, 을유문화사, 1967.12.25.첫/1971 .5.25.재판)

- 경성 중·고등학교 도서관

- 신동엽 〈금강〉

《이민별곡》(해동, 한강,2010.11.18.)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최성혁, 이웃, 1991.9.10.)

《구로아리랑》(이문열, 문학과지성사, 1987.12.1.첫/1993.1.25.18벌)

《韓國人의 價値觀 硏究》(김태길, 문음사, 1982.7.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