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 어린이 교양 매듭 3
오늘 지음, 김연정 그림, 사자양 기획 / 다른매듭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6.2.

다듬읽기 217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

 오늘 글

 김연정 그림

 사자양 기획

 다른매듭

 2023.5.15.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인권》(오늘·김연정·사자양, 다른매듭, 2023)을 읽으며 ‘인권’이라는 일본 한자말이 오늘 우리 어린이한테 얼마나 와닿을는지 생각해 봅니다. ‘인권 = 사람 + 권리’일 텐데, ‘권리’는 또 무엇일까요?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릴 뿐 아니라, 앞으로 태어날 모든 어린이가 수월히 익혀서 어질면서 사랑스레 펼 말글을 가다듬어서 가르치려 하지 않는다면, 이 대목에서도 “어린이 인권을 못 보는 셈”일 텐데 싶습니다. 모든 빛·몫·숨결·사랑은 ‘숲빛을 담은 쉬운말’에서 비롯합니다. 쉬운말이 바로 사랑이면서 ‘평화·평등·인권’입니다. 어린이가 놀거나 쉴 틈을 누리려면, ‘자동차 걱정’이 없이 ‘맨발로 뒹굴고 뛰놀며 나무를 타고 놀 들숲과 빈터’부터 있을 노릇입니다. 일제강점기에 ‘한글’이란 이름을 짓고서, 처음으로 모든 순이돌이가 우리말글을 배우면서 살림빛을 스스로 넓히도록 북돋운 주시경 님은, 집에서도 딸아들이 밥자리에 나란히 앉아서 얘기꽃을 피우면서 즐겁도록 했다지요. 인권과 평화와 평등은 늘 ‘말씨 한 톨’부터인 줄 다시 들여다볼 수 있기를 바라요.


ㅅㄴㄹ


어렵게 느껴진다면

→ 어렵게 느낀다면

→ 어렵다면

7쪽


모든 사람이 소중하게 대우받지 못했고, 모두가 인간의 권리를 동등하게 누리지 못했던 거예요

→ 모든 사람을 곱게 여기지 않았고, 모두가 고르며 사람답게 누리지 못 했어요

→ 모든 사람을 사랑으로 살피지 않았고, 모두가 사람답게 살지 못 했어요

22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져 있었어요

→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위아래가 있었어요

→ 옛날에는 태어날 때부터 높낮이를 매겼어요

22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우리는 존엄한 인간의 권리를 누리고 있어요

→ 숱한 사람이 애썼기에 누구나 사람빛을 누려요

→ 숱한 사람이 힘썼기에 누구나 사람꽃을 누려요

25


다른 민족이라는 이유로, 힘없는 나라의 국민이라는 이유로

→ 다른 겨레라며, 힘없는 나라에서 산다며

29


어린이의 인권을 위해 노력한 어린이들을 알아볼까요

→ 어린이 빛살을 헤아리며 애쓴 어린이를 알아볼까요

→ 어린이 사람길을 지키려 힘쓴 어린이를 알아볼까요

34


발달의 권리가 있어요

→ 뻗어갈 몫이 있어요

→ 자라날 몫이 있어요

40


어린이의 관심도 꼭 필요해요

→ 어린이도 눈여겨봐야 해요

→ 어린이도 함께 봐야 해요

→ 어린이도 같이 살펴야 해요

41


충분한 휴식과 놀이를 즐기도록 교육 제도를 고치라고 정부에 요구했답니다

→ 넉넉히 쉬고 놀도록 배움틀을 고치라고 나라에 바랐답니다

→ 느긋이 쉬고 놀도록 배움길을 고치라고 나라에 외쳤답니다

51


차별은 조금 나아진다고 만족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아예 없어져야 해요

→ 조금 덜 괴롭힌다고 나을 수 있지 않고, 아예 안 괴롭혀야 해요

→ 조금 따돌린다고 즐거울 수 없고, 아예 안 따돌려야 해요

59


어린이도 자신의 일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요

→ 어린이도 스스로 길을 잡을 수 있어요

→ 어린이도 앞길을 스스로 열 수 있어요

71


아직 어리고 성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 아직 어리다고 해서

→ 아직 어리거나 모른다면서

71


머리 모양에 대한 의견을 무시당하고 가만히 있었을까요

→ 바라는 머릿결을 깔보는데 가만히 있었을까요

→ 머릿결을 바꾸라고 깔아뭉개는데 가만히 있었을까요

82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적' 없애야 말 된다

 국부적·국소적


 우선 국부적인 마을과 마을 사이의 불화를 없애는 것에서부터 → 먼저 마을과 마을 사이에 작은 불씨를 없애기부터

 국부적 통증 → 곳곳 아픔

 국부적 현상 → 한켠에 생김

 국소적으로 부은 팔뚝 → 군데군데 부은 팔뚝

 국소적으로 찌릿찌릿하다 → 몇 곳이 찌릿찌릿하다


  ‘국부적(局部的)’은 “전체의 어느 한 부분에만 한정되는 것”을 가리키고, ‘국소적’은 낱말책에 없습니다. ‘국소(局所)’는 “전체 가운데 어느 한 곳”을 가리킨다는군요. 두 일본말씨는 ‘군데·군데군데·곳·곳곳’이나 ‘샅·사타구니·사타리’나 ‘조각·조금·몇몇·몇 곳·몇 군데’로 고쳐쓸 만합니다. ‘한곳·한데·한자리·한쪽·한켠’이나 ‘작다·자그맣다·조그맣다’로 고쳐쓰고, ‘살그머니·살며시·살짝·살살’로 고쳐써요. ‘슬그머니·슬며시·슬쩍·슬슬’이나 ‘넌지시’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하나모토가 서점은 국소적이지만 화제를 불러모았다

→ 하나모토 씨 책집은 작지만 눈길을 모았다

→ 하나모토네 책집은 조그맣지만 눈을 끌었다

《꿈의 서점》(하나다 나나코·기타다 히로미쓰·아야메 요시노부/임윤정 옮김, 앨리스, 2018) 88쪽


바깥 껍질에 국부적으로 가열하면

→ 껍질 한쪽을 달구면

→ 껍질을 조금 달구면

→ 껍질을 살짝 달구면

《미래 세대를 위한 기후 위기를 이겨내는 상상력》(안치용, 철수와영희, 2023) 1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카레curry



카레(kare) : 1. 강황(薑黃), 생강, 후추, 마늘 따위를 섞어 만든 맵고 향기로운 노란 향신료. 카레라이스 따위의 요리를 만들 때에 쓴다 2. 인도 요리의 하나. 고기와 감자, 양파 따위의 채소를 넣어 익힌 국물에 카레 가루와 밀가루를 섞어 되직하게 끓인 것을 쌀밥에 얹는다 = 카레라이스

curry : 1. 카레 (요리) 2. 카레 요리를 하다

カレ-(curry) : 1. 카레 2. 카레 가루; 또, 카레라이스 소스 3. ‘カレ-ライス(=카레라이스)’, ‘ライスカレ-(=라이스 카레)’의 준말



이웃나라에서 누리는 어느 밥은 노랗게 물들이면서 매콤합니다. 눈으로 보는 빛깔을 살핀다면 ‘노란밥’입니다. 눈으로 보는 빛깔에 혀로 느끼는 맛을 헤아리면 ‘노란매콤밥·노란맵밥·노맵밥’입니다. 혀에 닿는 맛을 돌아보면 ‘매콤밥’이요, ‘매콤하다·매콤이·매콤빛’이나 ‘맵밥’이라고 할 만합니다. ㅅㄴㄹ



엄마의 카레라이스가 다 될 동안 아빠는 샐러드와 디저트를 만들어요

→ 엄마 노란맵밥이 다 될 동안 아빠는 버무리와 입가심을 마련해요

→ 엄마 노란밥이 다 될 동안 아빠는 풀무침과 뒷밥을 해요

《야채로 도장찍기》(요시다 기미마로/엄기원 옮김, 한림출판사, 1997) 18쪽


어제의 카레를 따뜻한 밥 위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는 거지

→ 어제 노란맵밥을 따뜻밥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지

→ 어제 끓인 매콤이를 따뜻한 밥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지

→ 어제 먹고 남은 맵밥을 따뜻밥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지

→ 어제 미리 끓인 매콤이를 따뜻밥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지

→ 어제 해놓은 노란밥을 따뜻밥에 얹어, 녹여 가면서 먹지

《심야식당 1》(아베 야로/조은정 옮김, 미우, 2008) 23쪽


그러니까, 오늘은 카레 생략

→ 그러니까, 오늘은 맵밥 없음

→ 그러니까, 오늘 매콤밥 안 함

《고양이 라면 1》(소니시 켄지/오경화 옮김, 학산문화사, 2009) 112쪽


우리 집 카레에는 소량의 돼지고기가 들어 있었고

→ 우리 집 노란밥에는 돼지고기가 조금 들었고

→ 우리 집 매콤밥에는 돼지고기가 몇 조각 있고

《나의 엄마 시즈코상》(사노 요코/윤성원 옮김, 이레, 2010) 87쪽


점심에 카레가 잘 안 나오므로 인기가 많다

→ 낮밥에 매콤밥이 잘 안 나오므로 잘 팔린다

→ 낮밥에 매콤이가 잘 안 나오므로 좋아한다

→ 낮밥에 맵밥이 잘 안 나오므로 사랑받는다

《알코올 병동, 실종일기 2》(아즈마 히데오/오주원 옮김, 세미콜론, 2015) 33쪽


돈가스 위에 카레를 끼얹는 거랑 카레 위에 돈가스를 얹는 거랑

→ 돼지튀김에 맵밥을 끼얹을 때랑 맵밥에 돼지튀김을 얹을 때랑

→ 돼지튀김에 매콤이 끼얹기랑 매콤이에 돼지고기튀김을 얹기랑

《우라카타 2》(하토리 비스코/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6) 158쪽


제가 만든 최고의 카레가 있어요. 밥 필요하신 분?

→ 제가 끓인 맛난 매콤이가 있어요. 밥 드실 분?

→ 제가 끓인 맛난 매콤밥이 있어요. 밥 드실 분?

《우리는 꿈꿀 거예요!》(윤지영·김수경, 분홍고래, 2016) 71쪽


디펜스도 깐깐하게 하지만, 카레 맛도 깐깐하게 따지지

→ 물샐틈없이 깐깐하지만, 매콤이 맛도 깐깐하게 따지지

→ 막을 때도 깐깐하지만, 매콤밥 맛도 깐깐하게 따지지

→ 깐깐하게 잘 막고, 노란맵밥 맛도 깐깐하게 따지지

《명탐정 코난 93》(아오야마 고쇼/오경화 옮김, 서울문화사, 2017) 93쪽


내 개인적인 경험에서 카레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기본적으로는 어린 시절에 어머니가 만들어 준 카레다

→ 나는 어릴 적에 어머니가 끓인 매콤밥이 먼저 떠오른다

→ 나는 어릴 적에 어머니가 차려 준 노란맵밥부터 떠오른다

《카레라이스의 모험》(모리에다 다카시/박성민 옮김, 눌와, 2019) 15쪽


카레를 끓이면서 하는 독서는 나를 번번이 일어나게 만든다

→ 매콤이를 끓이면서 읽으면 자주 일어나야 한다

→ 노란밥을 끓이면서 읽자면 자꾸 일어나야 한다

《읽는 생활》(임진아, 위즈덤하우스, 2022)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튀튀tutu



튀튀(tutu) : 발레를 할 때 입는, 주름이 많이 잡힌 스커트

tutu : 튀튀(발레를 할 때 입는 치마)

チュチュ(프랑스 tutu) : 1. 튀튀 2. 발레리나가 입는 짧은 스커트



이웃나라에서 춤사위를 펼 적에 입는 주름이 많은 치마가 있다지요. 치마 생김새를 살펴서 ‘주름치마’라 할 만하고, 춤을 펴면서 입으니 ‘춤옷·춤빔’이라 하면 됩니다. 춤사위를 베푸는 이가 마치 꽃과 같고, 때로는 날개를 달면서 하늘거리기에, ‘꽃빔·꽃날빔·꽃치마’나 ‘날개옷·날개빔·나래옷·나래빔’이라 할 수 있어요. ‘하늘옷·하늘빔’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이러한 옷이나 치마는 나풀거리거나 팔랑거릴 테니, ‘나풀치마·물결치마·팔랑치마’라 할 수 있어요. ㅅㄴㄹ



타냐가 수줍게 대답했지요. “발레리나예요. 전 튀튀가 참 좋아요.”

→ 타냐가 수줍게 말하지요. “춤꽃이요. 전 주름치마가 참 좋아요.” 

《타냐의 마법의 옷장》(페트리샤 리 고흐·이치카와 사토미/김미련 옮김, 느림보, 2004)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와, 같은 5
아소 카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2.

“아이를 볼” 줄 모른다면


《와, 같은. 5》

 아소 카이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8.15.



  예전에도 “아이를 볼” 줄 모르는 “어른 아닌 꼰대나 철바보”는 으레 있었지만, 갈수록 “아이를 볼” 줄 모르는 “어른 아닌 꼰대나 철바보”가 부쩍 늘어난다고 느낍니다.


  “아이를 보는 일”을 ‘아이보기’처럼 줄여서 말합니다. ‘아이보기’라는 이름에서 ‘보기·보다’는 말 그대로 ‘보다’입니다. 이 ‘보다’는 ‘돌보다’를 줄인 낱말이고, ‘돌아보다’를 줄여서 ‘돌보다’입니다. ‘보다·돌보다·돌아보다’는 같은말로 여길 수 있습니다.


  《와, 같은. 5》(아소 카이/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3)을 곰곰이 읽었습니다. “아이를 안 낳은 어른”이나 “아이보기나 아이낳기는 아예 생각조차 않던 어른”이 “얼결에 아이를 맡아서 살림을 꾸려야 하는 나날”을 줄거리로 삼습니다. 아기를 안 낳았기 때문에, 아기를 낳기까지 뱃속에 품는 열 달을 모르고, 아기를 낳으며 몸이 바뀌는 길을 모르고, 갓난아기를 어떻게 돌봐야 하는가를 하나도 모를 테지요. 아기를 낳아서 돌본 적이 없으니 아이한테 말을 어떻게 물려주거나 가르쳐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어느 날 갑자기 “말도 하고 걸을 줄도 아는 제법 자란 아이”가 눈앞에 나타난 셈입니다.


  ‘아기’라는 나날을 휙 건너뛴 두 어른한테는 ‘아이보기’가 그야말로 난데없을 뿐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바꾸거나 살림을 다스려야 할는지 까마득하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두 어른은 “여태까지 생각해 본 적조차 없는 아이보기”를 기꺼이 해낼 뿐 아니라, “아이 눈높이에서 함께 살아가는 일”을 처음으로 생각해 보기로 하면서, “아이한테 묻”고 “아이가 들려주는 마음을 말로 듣”기로 합니다.


  하나도 모르니까 아이한테 물어야지요. 그리고, 아기를 낳아 무럭무럭 자라는 길을 지켜본 어버이로서도 언제나 아이한테 물어볼 노릇입니다. 아이는 어른한테 묻고, 어른은 아이한테 물어야, 서로 마음이 흐르면서 살림살이를 사랑으로 꾸릴 수 있어요. 안 물어보는 둘 사이라면, 보금자리도 집도 살림도 아닌, “위아래로 억눌린 수렁”일 뿐입니다.


  “아이를 보는 일”은 아이한테 물어보면서 어른으로서 마음을 담아 말을 나눌 적에는 하나도 안 어렵습니다. 서로 안 물어보고 서로 안 들을 적에는 다 어렵습니다. 무엇보다도 서로 ‘보아’야지요. 눈빛을 보고, 마음을 보고, 살림을 보고, 사랑을 보고, 오늘을 보고, 생각을 보고, 함께 누리는 보금자리를 볼 노릇입니다.


  이리하여 이 그림꽃 이름이 “와, 같은.”입니다. 서로 잇는 ‘와,’요, 서로 보는 ‘같은.’입니다. 어른이란 자리에서 지내면서 아이를 보기 힘들 적에는 이 두 낱말을 혀에 얹어요. ‘와,’하고 ‘같은.’을 새록새록 떠올릴 수 있다면, 무엇을 다스리고 어떻게 돌보면서 오늘을 살아갈 적에 두런두런 즐거이 어울릴 만한지 누구나 스스로 알아차리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모르겠어. 그냥 어느새 생겼어.” “응, 그러면 됐어. 만약, 친구를 골라서 사귀어야 할 때가 생기더라도, 내 생각에 그건 남의 말을 듣고 결정할 문제가 아니란다.” (20쪽)


“밸런타인데이는 여자가 남자한테 좋아한다고 말하는 날이래.” “이상해. 아무 때나 말하면 되잖아. 여자 말고 남자가 말해도 되고.” (40쪽)


“경우에 따라 다르겠죠. 본인이 똑바로 잘 걸어간다면 그걸로 충분하고, 만약 좁은 길에 장해물이 많다면 힘들지도 모르지만, 그것도 그 사람의 인생이니까요. 하지만 이런 분기점이 있는 길 같은 느낌도 좋아요. 각각 다른 길을 선택해서 걸어가다가 교차해서 다시 만나는.” (59쪽)


“못생긴 애가 하고 다니는 것보다 내가 하는 게 어울리고 좋잖아.” “미키는 못생기지 않았어. 그리고 남의 걸 억지로 뺏는 건 어울리는 거랑 상관없이 바보나 하는 짓이야.” “우리 엄마가 그러는데, 바보라고 하는 사람이 바보네.” “그럼, 남의 걸 강제로 뺏는 사람은 범죄자라고 하거든? 그거 알아?” (115쪽)


“그렇구나. 할머니는 말이 서툴단다.” (151쪽)


“할모니가 아니라, 할머니라고 제대로 부르렴. 동생이 태어나면 언니나 누나가 되니까.” (156쪽)


#のような #麻生海


아저씨가 도시락을 만들었단다

→ 아저씨가 도시락을 했단다

→ 아저씨가 도시락을 쌌단다

6


그 전에 밸런타인데이도 있는데

→ 먼저 달콤날도 있는데

→ 그보다 사랑노래도 있는데

34쪽


어떤 길로 나아갈지 진로를 정하기 위해서는

→ 어떤 길로 나아갈지 고르려면

→ 어떻게 나아갈지 살피려면

53


만약 좁은 길에 장해물이 많다면 힘들지도 모르지만, 그것도 그 사람의 인생이니까요

→ 길이 좁고 자꾸 가로막히면 힘들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삶이니까요

→ 길은 좁고 걸림돌이 많다면 힘들지도 모르지만, 이 모두 삶이니까요

59


이런 분기점이 있는 길 같은 느낌도 좋아요

→ 이런 갈림목이 있어도 즐거워요

→ 이런 난달이 있어도 반가워요

→ 이런 너울목이 있어도 기뻐요

59쪽


각각 다른 길을 선택해서 걸어가다가 교차해서 다시 만나는

→ 서로 다른 길을 걸어가다가 맞물려서 다시 만나는

→ 서로 다르게 걸어가다가 맞닿아서 다시 만나는

59


당신 책잡을 사람 없으니까,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괜찮아

→ 그대 나무랄 사람 없으니까,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돼

→ 이녁 다그칠 사람 없으니까, 그렇게 애쓰지 마

143


친구들하고 놀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 동무하고 놀 틈이 있기를 바라요

→ 동무하고 놀 짬이 있기를 빌어요

15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