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피사체 被寫體


 원치 않는 피사체가 찍혔다 → 바라지 않는 모습이 찍혔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할 시에는 → 움직이는 숨결을 찍을 때에는


  ‘피사체(被寫體)’는 “사진을 찍는 대상이 되는 물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만, 일본 한자말입니다. 우리말로는 ‘사람·사람꽃·이웃’이나 ‘숨결·숨빛·삶·살림’이나 ‘모습·빛·결·길·길눈·길꽃’으로 옮깁니다. ‘멋·멋있다·맛보기·맛선·맵시보기’나 ‘꽃사람·꽃보기·아름보기’로 옮기고, ‘보기·보는꽃·보는빛·보임꽃·봄꽃·보임빛’이나 ‘짜임새·틀·틀거리·판’으로 옮겨요. ‘밑·밑동·밑밭·밑절미·밑꽃·밑틀·밑판’이나 ‘바탕·바탕길·바탕꽃·밑바탕·밑싹·밑자락’으로도 옮기고, ‘그·그쪽·그사람·저·저쪽·저사람’으로도 옮기지요. ‘찍다·찍히다·담다·담기다·그림·그리다’로 옮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내가 추구하고자 하는 피사체는 한국의 체제 쪽에서는 비판적인 것으로 보일지도 모르는 것들이 대부분일 수밖에 없었다

→ 내가 찍고 싶은 모습은 한나라 쪽에서는 거의 따갑다고 볼 수밖에 없다

→ 내가 담으려는 삶은 한나라 쪽에서는 으레 까탈스럽다고 볼 수밖에 없다

《촬영금지》(구와바라 시세이/김승곤 옮김, 눈빛, 1990) 15쪽


사진을 볼 때 우리는 그 표면을 넘어서 원래의 피사체를 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 우리는 빛꽃을 볼 때 겉모습보다는 찍힌 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한다

→ 우리는 빛꽃에서 겉모습보다는 참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하기 마련이다

→ 우리는 빛꽃에서 겉모습 아닌 제모습이 무엇인가를 보려고 한다

《사진의 유혹》(데이브 요라스/정주연 옮김, 예담, 2003) 9쪽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들은 단순 피사체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은 그저 보임꽃이지 않다

→ 무엇보다도, 내가 만나는 사람은 한낱 꽃보기이지 않다

→ 무엇보다도, 나는 그냥 찍힐 사람을 만나지 않는다

《내 멋대로 사진찍기》(김윤기, 들녘, 2004) 19쪽


다양한 빛의 방향을 이용하면 피사체의 구체적인 모습을 부각시킬 수 있다

→ 여러 빛길을 살피면 하나하나 돋보이도록 찍을 수 있다

→ 여러 빛줄기를 가누면 낱낱이 도드라지도록 찍을 수 있다

《뛰어난 사진을 위한 접사의 모든 것》(조나단 콕스/김문호 옮김, 청어람미디어, 2008) 66쪽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든 것들은 훌륭한 피사체가 될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찍을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그릴 수 있습니다

→ 우리가 걷는 길에서 만나는 모두를 훌륭히 담을 수 있습니다

《레아의 감성사진 두 번째 이야기》(레아, 한빛미디어, 2010) 167쪽


사진을 찍는 기쁨, 피사체와 마주쳤을 때의 기쁨, 마음에 드는 사진을 찍었을 때의 기쁨

→ 찰칵하는 기쁨, 이웃과 마주치는 기쁨, 마음에 들도록 찍는 기쁨

→ 빛을 찍는 기쁨, 삶을 마주치는 기쁨, 마음에 들도록 찍는 기쁨

《카메라는 나이를 묻지 않는다》(사토 토미오/임향자 옮김, 포토스페이스, 2010) 23쪽


자신이 몸을 숙이거나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가거나 하는 것이지요

→ 내가 몸을 숙이거나 이웃한테 다가가거나 하지요

《천재 아라키의 괴짜 사진론》(아라키 노부요시/백창흠 옮김, 포토넷, 2012) 69쪽


촬영하고 싶은 피사체를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셔터를 누른다

→ 찍고 싶은 모습을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단추를 누른다

→ 찍고 싶은 모습을 만나면 난 눈을 깜빡이듯 찰칵 하고 누른다

《도쿄 셔터 걸 2》(켄이치 키리키/주원일 옮김, 미우, 2015) 54쪽


사진의 피사체로서야 세월의 흔적이 가득 묻은 할머니 할아버지의 얼굴만큼 훌륭한 것이 없다

→ 담는 빛으로는 삶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하다

→ 살아온 자국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이야말로 훌륭한 빛이다

→ 살아온 나날이 가득한 할머니 할아버지 얼굴을 담으면 그야말로 훌륭하다

《일인용 책》(신해욱, 봄날의책, 2015) 172쪽


오솔길에 아무렇게나 뒹굴고 있는 하나의 솔방울도 나에게는 중요한 피사체입니다

→ 오솔길에 아무렇게나 있는 솔방울도 나한테는 뜻깊습니다

→ 나는 오솔길에 뒹구는 솔방울도 반갑게 찍습니다

→ 나는 오솔길에 있는 솔방울도 고맙게 담습니다

《나도 잘 찍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양해남, 눈빛, 2016) 43쪽


네게 있어 좋은 피사체는 어떤 거야?

→ 너는 어떤 사람이 마음에 들어?

→ 너는 누구를 찍고 싶어?

→ 너는 어떤 보임꽃을 찍고 싶어?

《꿈에서도 보고픈 1》(아케가타 유우/반기모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21) 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일본말] 와이셔츠ワイシャツ·Yシャツ



와이셔츠(← white shirt) : 양복 바로 안에 입는 서양식 윗옷. 칼라와 소매가 달려 있고 목에 넥타이를 매게 되어 있다 ≒ 와이샤쓰

white shirt : (英속어) 상급 교도관

dress shirt : 1. 드레스 셔츠(정장을 입고 나비넥타이를 맬 때 입는 흰색 셔츠) 2. (양복 안에 입는) 와이셔츠

ワイシャツ(Yシャツ white + shirt) : 와이셔츠


 오늘은 와이셔츠를 안 입었다 → 오늘은 적삼을 안 입었다

 와이셔츠가 필수는 아니다 → 흰웃옷이 아니어도 된다



  ‘와이셔츠·와이샤쓰’로 적지만, ‘ワイシャツ·Yシャツ’라는 일본말입니다. ‘white shirt’를 일본사람이 잘못 알아듣고서 퍼진 말씨라지만, 정작 영어로는 ‘dress shirt’라 해야 올바르다지요. 우리말로는 ‘윗옷·윗도리’라 하면 되고, ‘위·웃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 옷살림을 돌아본다면 ‘저고리·적삼’이라 할 만하고, 수수하게 ‘옷·옷가지·옷자락’이라 할 수 있어요. 따로 흰빛인 적삼을 가리킬 적에는 ‘흰옷’이나 ‘흰웃옷·흰윗도리·흰적삼·흰저고리’라 해도 어울립니다. ‘하얀웃옷·하얀윗도리·하얀적삼·하얀저고리’라 해도 되어요. ㅅㄴㄹ



미제국주의의 통치하에서는 와이셔츠 하나 만족스럽게 살 수 없었다

→ 미국이 억누르면서 적삼 하나 제대로 살 수 없었다

→ 미국이 짓누르면서 저고리 하나 넉넉히 살 수 없었다

《겨레의 꿈 과학에 실어》이승기, 대동, 1990) 81쪽


와이셔츠를 차려입은 남자 혼자

→ 흰웃옷을 차려입은 사내 혼자

→ 흰웃도리 차려입은 돌이 혼자

《책이 좀 많습니다》(윤성근, 이매진, 2015) 6쪽


환한 조명 아래에서 다채로운 와이셔츠 차림의 남자들이

→ 불빛은 환하고 가지가지 윗옷 차림인 사내들이

→ 불은 환하고 알록달록한 윗도리 차림 사내들이

《원전 집시, 피폭 하청 노동자의 기록》(호리오 구니에/고노 다이스케 옮김, 무명인, 2017) 3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7


《책빛숲, 아벨서점과 배다리 헌책방거리》

 최종규 글·사진

 숲속여우비

 2014.7.4.



  오늘이라는 나는 여태까지 걸어온 어제로 이룹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나는 이제부터 새로 태어날 모레로 나아갑니다. 얼핏 보면 어제·오늘·모레는 모두 다른 듯싶어도 늘 하나로 잇습니다. 글로 안 남기고, 찰칵 안 찍어도, 우리 마음에는 모든 하루를 새깁니다. 2014년에 태어난 《책빛숲, 아벨서점과 배다리 헌책방거리》는 1992년부터 스물세 해를 드나든 인천 배다리책골목 〈아벨서점〉 한 곳을 아로새긴 자취를 담았습니다. 그 뒤 열 해가 지났으니 서른세 해째 헌책집 한 곳으로 책마실을 다니는 셈인데, 1992년 7월에 이곳에서 문득 “아! 책이란 이렇구나! 책집이란 이렇네! 책을 만지고 다루고 읽고 짓는 사람은 이런 빛이네!” 하고 느낄 적에 속으로 “앞으로 서른 해 뒤에도 이곳을 드나들며 ‘단골’이란 이름을 누리자.”고 생각했습니다. 요새는 ‘단골’을 다르게 여기지만, 1992년 언저리만 해도 ‘책집단골’이라는 이름을 들으려면 ‘20해 + 3000자락’이 밑동이어야 한다고 쳤습니다. ‘30해 + 5000자락’을 넘으면 책집지기하고 책손이 서로 ‘마음지기’로 피어난다고 했어요. 줄거리만 담을 적에는 아직 책이 아닙니다. 이야기로 거듭나야 살짝 책입니다. 첫 손길이 닿을 적에도 아직 책하고 멉니다. 두 손길에 서너 손길이 잇달아 스미기에 비로소 책입니다. 헌책이란, 손길이 거듭 닿은 책입니다. 널리 읽혔거나 미처 안 읽혔거나, 우리 손길이 새롭게 닿은 ‘새로 읽히는 빛’이 흘러나오기에 헌책입니다. 그래서 ‘책·빛·숲’ 세 낱말은 다르면서 나란하지 싶습니다. 책으로 눈을 빛내고 마음과 몸을 숲에 두어 사랑을 짓는 사람으로 깨어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4


《1987年 國民投票公報 (憲法改正案)》

 편집부 엮음

 선거관리위원회

 1987.



  이제 한글로 ‘헌법’이라 적지만, 꽤 오래도록 한자로 ‘憲法’이라 적었습니다. 예전에는 한글 아닌 한자로 까맣게 적던 글이라면, 요사이는 거의 모두 한글로 바꾸었습니다. 2000년 무렵까지만 해도 한자를 쓸 줄 모르면 손가락질하거나 나무라는 벼슬꾼과 글바치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1987年 國民投票公報 (憲法改正案)》 같은 꾸러미를 누가 읽을 수 있을는지 생각할 노릇입니다. 조선 무렵에는 아예 중국글로 적어서 내려보냈으니, 한자를 조금 읽더라도 뜻을 새기기 훨씬 힘들었습니다. 흙살림을 짓거나 장사하는 사람이라면 책은커녕 글씨조차 쓸 일이 아예 없었어요. 퍽 오래 씨내림으로 잇던 임금과 벼슬자리에, 중국글로 뭇사람을 억누르는 얼개였습니다. 앞으로는 ‘헌법’과 ‘국민투표’라는 일본스런 한자말을 수수하고 쉽게 우리말로 바꾸는 첫발을 내딛을 일이라고 느낍니다. 이를테면 ‘첫길·으뜸길 ← 헌법’을 생각할 만합니다. ‘가림·고름 ← 투표’를 생각할 수 있어요. “헌법은 ‘첫째가는 길’이야”나 “국민투표는 ‘우리 누구나 뽑는다’는 뜻이야”처럼 풀어서 말하지 말고, 처음부터 어린이 눈높이로 새말을 여미는 길을 찾으면서 바꿀 만하지요. ‘선거관리위원회’조차 아닌 ‘選擧管理委員會’ 같은 이름은 누가 읽겠습니까. 누구보다 어린이한테 묻고, 어린이가 꿈을 펼 새나라와 새터를 일굴 마음을 펼 첫걸음을 올해에 다시 내디딜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13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이》

 윤동주 글

 전광하·박용일 엮음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2002.7.



  중국에 우리 한겨레가 무척 많이 삽니다. 처음부터 한겨레가 많이 살지는 않았습니다. 나라를 잃고 집을 잃고 논밭까지 잃고 아이들마저 잃은 슬픈 사람들은 이웃나라로 건너갔습니다. 러시아하고 일본에도 한겨레는 숱하게 건너갔고, 때로는 끌려갔습니다. 맨몸으로 걸어갔어요. 맨손으로 땅을 일구었어요. 윤동주 님은 ‘명동촌(용정시)’에서 1917년에 태어납니다. 그무렵 한겨레는 고되게 일하면서도 저마다 꿈을 품었고, 먼나라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어질게 배워서 참하게 일어설 새길을 그렸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익히 아는 윤동주 님 노래는 여러 동무와 이웃과 뒷내기 손길로 태어났습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는 석 자락을 꾸려 스스로 하나, 이양하 님한테 하나, 정병욱 님한테 하나 남겼고, 이 가운데 전남 광양 어머니집 독에 고이 숨긴 정병욱 님 꾸러미가 1945년까지 살아남았다지요. 2002년에 흑룡강에서 펴낸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 없이》를 읽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한겨레로서 ‘한말’을 ‘한글’로 담은 글자락이고, 예전 북녘말씨하고 연변말씨를 새삼스레 돌아볼 수 있더군요. 그런데 중국은 뜬금없이 ‘중국조선족 애국시인’이란 이름을 붙이면서 윤동주 님을 ‘중국 역사’로 끼워맞추려 합니다. 어처구니없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를 찾아서 누리는 나날이라면, 나라지기부터 앞장서서 ‘한겨레 한노래’를 편 옛자취를 제대로 밝힐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