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3.2.20. 보행자 지옥



  서울은 시끄럽다. 부산과 인천도 시끄럽다. 광주와 순천도 시끄럽다. 대전과 포항도 시끄럽다. 골목으로 접어들어서 거닐면 덜 시끄럽다만, 어느새 쇳덩이가 앞뒤로 들어와서 빵빵댄다. 사람이 느긋이 걷기도 모자란 골목 어디나 한켠에 다른 쇳덩이가 한참 서기에, 걷는 사람은 이쪽 쇳덩이한테서 비키고 저쪽 쇳덩이한테서 비켜야 한다. 그렇지만 쇳덩이를 모는 이들은 “좁은 골목길이 가뜩이나 더 좁은 까닭은, 걷는 사람 때문이 아닌, ‘무단주정차를 한 다른 쇳덩이’” 때문이지만, 언제나 걷는 사람한테 빵빵대면서 담벼락에 바싹 붙으라고 윽박지른다.


  서울이나 큰고장에 바깥일을 보러 다녀오면 힘을 쪽 뺀다. 우리나라는 서울도 시골도 ‘쇳덩이나라(자동차 친화정책)’인 터라, 쇳덩이를 몰지 않으면서 걷는 사람한테는 끔찍한 불수렁이다. 거님길이 얼마나 울퉁불퉁하고 지저분한지 모르는 분이 많다. 젊은 엄마가 억지로 쇳덩이를 장만해서 아기를 쇳덩이에 실어서 부릉부릉 모는 까닭을 알 만하다. 우리나라 모든 거님길은 아기수레를 밀면서 다니기에는 대단히 괴롭고 벅차며 아슬아슬하거든.


  다시 말하자면, 우리나라는 “걸어서 다닐 수 있는 길이 아예 없다”고 할 수 있다. ‘걷는수렁(보행자 지옥)’이다. 할매할배가 남은 오래골목(구도심)을 보면, 마을 할매할배가 날마다 아침낮저녁으로 틈틈이 비질을 한다. 오래골목을 거닐면 길바닥도 정갈하고 고즈넉할 뿐 아니라, 마을 할매할배가 가꾸는 풀꽃나무에 새가 내려앉아서 노래하고, 벌나비가 춤추며 풀벌레가 노래하고, 이따금 개구리까지 노래를 보태니, 서울마실·큰고장마실을 할 적에 몸마음을 쉴 수 있다.


  이와 달리 큰길을 걸어야 할 적에는 길바닥이 어마어마하게 지저분하고 돌과 못과 깨진 병조각이 춤출 뿐 아니라, 곤드레꾼이 게운 속엣것이 곳곳에 있고, 길담배를 태운 이들이 버린 꽁초가 널렸는데, 길장사를 하는 분도 많고, 가게마다 길에 살림을 잔뜩 내놓기까지 하니, 그야말로 ‘서울 큰길’을 걸어서 지나야 할 적에는 귀도 눈도 몸도 마음도 다 아프다.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고샅과 골목은 ‘아이 차지’였다. 아이들이 고샅과 골목에서 맨발로 뛰놀 수 있어야 마을이 아름답고 사랑스럽다. 가면 갈수록 서울과 큰고장과 시골읍내까지, 걸어다니는 어린이를 아예 볼 수 없다고까지 느낀다. 다만, 우리나라 여러 고을 가운데 부산은 아직 “걷는 어린이”가 꽤 있다. “걷는 어린이”를 보기 어려운 고을이나 마을이라면, “어린이도 어른도 살기 어려운 불수렁(지옥)”이라는 뜻인데, 이 얼거리를 알아보는 이웃이 늘어나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6.11. 우리 집 두꺼비



  우리 집에는 개구리도 두꺼비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구렁이도 뱀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작은새도 큰새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나비도 애벌레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해도 바람도 비도 찾아든다. 우리 집에는 별도 무지개도 노을도 깃든다. 큰고장하고 서울에서 서른두 살까지 살았다. 서른세 살부터는 아이들하고 시골에서 지낸다. 작은아이 나이에 한 살을 더하면 시골내기로 보낸 나날이니, 아이들하고 품는 시골집 숨빛이란 하루하루 우리 이야기를 가꾸는 밑거름이라고 느낀다.


  어릴 적부터 “나무를 심어서 ‘우리 집 나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보금자리”를 누리는 꿈을 그렸다. 아직 큰고장하고 서울에서 지내던 무렵에는 둘레에서 빙글빙글 웃으면서 “서울에서 마당 있는 집을 꿈꾼다고? 돈 많이 벌어야겠네? 서울에서 나무를 심는 마당을 건사하려면 네가 쓴 책을 100만 자락은 팔아야 하지 않아?” 하면서 놀렸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우리 집 나무하고 살아가는 숲집”을 그릴 노릇이더라. 그래서 ‘우리 집 나무’ 곁에는 ‘우리 집 두꺼비’가 있어야겠고, ‘우리 집 구렁이’에 ‘우리 집 제비’에 ‘우리 집 범나비’에 ‘우리 집 매미’에 ‘우리 집 미리내’가 나란해야겠다고 느꼈다.


  곰곰이 보면, 그리 멀잖은 지난날에는 큰집이건 작은집이건, 가멸집이건 가난집이건, 누구나 ‘우리 집 나무’하고 ‘우리 집 두꺼비’하고 ‘우리 집 미리내’를 누렸다. 멀잖은 지난날에는 누구나 트인 하늘을 맞이했고, 아침저녁으로 파란하늘을 누렸다. 오늘날에는 가멸집이 아니고서는 하늘을 보기 어렵다. 서울이나 부산이나 인천만 가 보더라도 높다란 잿집이 하늘을 틀어막는다. 하늘을 보면서 걸으려고 하면 가게에 부딪히고 사람물결에 휩쓸린다.


  내가 그리는 꿈에는 ‘우리 집 물잠자리’에 ‘우리 집 반딧불이’가 있다. ‘우리 집 바람님(요정)’도 있고, ‘우리 집 깨비’에다가 ‘우리 집 숲아씨(마녀)’까지 있다. 나는 그린다. 나는 꿈씨를 심는다. 나는 오늘을 가꾼다. 나는 이 하루를 노래한다. 나는 날갯짓하는 마음으로 뚜벅뚜벅 걸으면서 푸른별을 푸르게 느끼고 파란별을 파랗게 마시려고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2024.6.13.


헐린 제비집 : 이제 이 나라로 돌아오는 제비가 확 줄었다. 제비가 사라지면 날벌레가 어마어마하게 춤출 수밖에 없다. 제비하고 참새는 마을 곁에서 사람하고 함께 살아가면서 파리모기에 날벌레를 엄청나게 잡으면서 이바지하는데, 갈수록 ‘서울 참새’나 ‘부산 참새’를 보기 어렵다. 예전에는 큰고장에서도 참새를 어렵잖이 만났지만, 이제는 큰고장 참새는 씨가 마른다. 시골도 참새는 씨가 마른다. 서울과 큰고장은 쇳덩이(자동차)에 잿집(아파트) 탓에 참새가 삶터를 빼앗기고서 죽어간다면, 시골에서는 풀죽임물(농약)하고 비닐 탓에 참새가 살림터를 잃고서 죽어간다. 지난날 박정희는 ‘새마을바람’이라는 허울을 앞세우면서 온나라 제비집을 마구잡이로 헐라고 부추겼다. 사람 곁에서 날벌레잡이로 이바지하던 제비가 1960∼80년대에 어마어마하게 죽어나갔다. 그리고 1980∼2000년 사이에는 쇳덩이가 무시무시하게 늘고, 오직 쇳덩이만 씽씽 달리는 까만길(아스팔트 포장도로)을 허벌나게 늘리면서 쇳덩이한테 치여죽는 새가 숱하게 늘었다. 새가 죽고 사라지면 사람도 나란히 죽고 사라지는 줄 모른다면, 종잇조각(대학교 졸업장이나 대학원 졸업장)이 무슨 쓸모가 있을까? 꾀꼬리나 할미새나 동박새나 왜가리 노랫소리를 모른다고 바보는 아니겠으나, 참새하고 제비 노랫소리를 모르거나 손수 그림으로 담을 줄 모른다면 바보라고 느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있잖아, 엄마 - S코믹스 S코믹스
이케베 아오이 지음, 박소현 옮김 / ㈜소미미디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6.12.

만화책시렁 655


《있잖아, 엄마》

 이케베 아오이

 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3.7.5.



  아이를 낳는 마음에 사랑이 없다면, 엄마도 아빠도 얼마나 안타까울까요. 아이를 돌보는 손길에 사랑이 없다면, 아빠도 엄마도 얼마나 가엾을까요. 아이를 등지거나 괴롭히는 어버이부터 안쓰럽습니다. 아이를 잊거나 안 바라보는 어른부터 딱합니다. 몸뚱이는 크고 나이는 들었어도 철이 들지 않고 얼이 서지 않았으면, 어버이도 어른도 아닌 철없개(철부지)입니다. 누구나 엄마아빠 숨결을 받아서 태어납니다. 누구나 엄마가 품에 안은 나날을 누렸기에 이 땅으로 옵니다. 나를 낳은 엄마도 아빠도 나를 팽개쳤기에, 나까지 아이를 팽개쳐야 하지 않습니다. 그분들은 그분들입니다. 나는 나요, 너는 너예요. 오늘 이곳에서 살아가는 우리 스스로 하루를 짓고, 오늘을 그리고, 사랑을 속삭이려 할 적에 차근차근 깨어나는 살림살이입니다. 살림자락 하나는 씨앗으로 퍼져서 생각으로 깨어납니다. 생각은 마음에서 자라나면서 꿈으로 피어납니다. 《있잖아, 엄마》는 엄마가 엄마로 잇고는 새롭게 엄마로 이으면서 천천히 둘레를 꽃뜰로 바꾸어 가는 길을 들려줍니다. 사랑을 모르는 사람을 탓할 일이란 없습니다. 너랑 내가 사랑하면 넉넉합니다. 사랑을 밟으려는 놈을 미워할 까닭은 없습니다. 나하고 네가 사랑으로 보금자리를 일구면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아이를 낳는 건 정말 힘든 일이야. 목숨을 잃을 수도 있대. 그런 힘든 일을 극복했는데 버리긴 왜 버려? 만약 그게 정말이라면 도저히 어떻게도 할 수 없는 사정 때문일 거야.” “아이를 낳는 게 그렇게 힘들구나.” “응. 난 엄마가 되고 싶어서 알아봤어.” “수녀도 엄마가 될 수 있나?” (49쪽)


“꼬마야. 가는 거니? 내가 자란 곳이야. 걱정할 필요 없어. 너에게 선물을 줄게.” “받아도 돼요? 마녀의 소중한 목걸이인데.” (96쪽)


“읽어도 모르겠어. 다른 애들처럼 술술 읽을 수도 없고. 유전일까? 엄마도 글자는 못 썼었으니까.” (106쪽)


#ねぇママ ##AoiIkebe #池?葵 


+


《있잖아, 엄마》(이케베 아오이/박소현 옮김, 소미미디어, 2023)


생활 태도도 수업 태도도 아주 양호해요

→ 살림결도 배움결도 아주 반반해요

→ 삶결도 배움새도 아주 반듯해요

21쪽


매년 수도원에 들어오는 아이가 감소하고 있군요

→ 해마다 비나리집에 들어오는 아이가 주는군요

39쪽


더 안타까운 거지. 우리 같은 독거노인들은 저런 순진한 아이를 보면

→ 더 안타깝지. 우리 같은 혼할배는 저런 곱살한 아이를 보면

→ 더 안타까워. 우리 같은 홀어른은 저런 꾸밈없는 아이를 보면

80쪽


유전일까? 엄마도 글자는 못 썼었으니까

→ 내림일까? 엄마도 글씨는 못 쓰니까

→ 물림일까? 엄마도 글씨는 못 쓰니까

106쪽


우리에겐 혈연 같은 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 우리한텐 살붙이는 아무 뜻이 없습니다

→ 우리한텐 핏줄이 아무 뜻이 없습니다

115쪽


굉장하다, 폐활량이 엄청나네

→ 대단하다, 숨통이 엄청나네

→ 와, 허파가 엄청나네

117쪽


이 근처도 많이 퇴화했네

→ 이 둘레도 많이 기울었네

→ 이 마을도 많이 낡았네

137쪽


평소엔 거의 말을 안 해서 크기 조절을 잘 못 하거든요

→ 늘 거의 말을 안 해서 크기를 잘 못 맞추거든요

16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를 쓰기 위하여 문학과지성 시인선 177
김연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4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노래책시렁 428


《詩를 쓰기 위하여》

 김연신

 문학과지성사

 1996.4.25.



  우리가 서로 들려주고 듣는 모든 말은 노래이고 가락입니다. ‘말’이란 마음을 담아낸 소리인데, 다 다른 마음을 다 다르게 느끼거나 알도록 다 다른 결로 가다듬은 터라, 높고낮은 소리에 밀고당기는 소리는 모두 새롭게 노래요 가락이에요. 나한테 들려주는 말을 가만히 들을 수 있다면, “나는 늘 노래를 듣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내가 들려주는 말을 곰곰이 새길 수 있다면, “나는 언제나 노랫가락을 펴는구나” 하고 깨닫습니다. 《詩를 쓰기 위하여》를 읽으며 꽤 싱거웠습니다. 1996년이 어떤 해였나 하고 돌아봅니다. 아직 차갑고 메마른 나라였고, 배움터에서는 길잡이가 대놓고 아이들을 두들겨패던 무렵이었어요. 쇠(토큰)나 종이(표)를 내고서 버스를 타던 무렵이요, 웬만하면 누구나 걸어다니던 즈음입니다. 요즈음도 집안일을 안 하는 사내가 꽤 있는데, 지난날에는 손에 물 한 방울 안 묻히는 사내가 흔했습니다. 붓만 쥘 적에는 글을 쥐어짜게 마련입니다. 밥을 짓고 빨래를 하고 아기를 돌보고 집살림을 건사한다면, 이 삶에서 늘 새롭게 글이 쏟아집니다. 억지로 ‘詩’를 쓰려 하니, 노래나 가락하고 멀어요. 예나 이제나 글바치는 그닥 집안일을 안 하는 듯싶습니다. 삶이 바로 말이면서 노래인 줄 배운 적이 없구나 싶습니다.


ㅅㄴㄹ


연필을 깎는다. / 詩를 쓰기 위하여 / 연필이 뾰족하게 깎인다. / 연필은 뾰족한 끝으로 내 배를 지그시 찌른다. / 연필만 갂아서 詩가 써지느냐고. / 손가락을 깎으면 詩가 써지느냐고 내가 묻는다. (詩를 쓰기 위하여-연필/11쪽)


연필 끝에 분홍 실을 매어보기로 했어 / 연필은 다른 연필이 갖지 못한 장식으로 기뻐할 것 같아서 / 시인의 연필 말고 또 무엇이 자기 목에 그런 좋은 표지를 가지고 있을 수 있겠어 (詩를 쓰기 위하여-연필 2/16쪽)


詩를 써보기 위하여 저녁나절 들길을 걸어나갔지. / 바람이 지나가면서 상쾌한 마음이 차올라왔었지 / 지나간 날들이 다시 한번 뒷걸음치면서 멀어지고 (詩를 쓰기 위하여-산책/3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