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무의 개 - 타카하시 루미코 걸작 단편집
다카하시 루미코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358



죽으면 다시

― 전무의 개, 다카하시 루미코 걸작 단편집

 타카하시 루미코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펴냄, 2007.4.25.



  삶을 새롭게 지을 줄 아는 사람은 날마다 새롭습니다. 삶을 새롭게 지을 줄 모르는 사람은 날마다 따분합니다. 삶을 새롭게 지을 줄 아는 사람은 아침마다 상큼하게 일어나서 기운차게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합니다. 삶을 새롭게 지을 줄 모르는 사람은 아침마다 지겹고 고단하며 졸음이 넘칩니다.


  삶을 새롭게 짓기에 오늘 하루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어떤 일이 있을까 하고 생각하면서 웃음이 넘칩니다. 웃음은 어느새 노래가 되고, 노래는 천천히 사랑으로 피어납니다. 삶을 새롭게 짓지 않기에 오늘 하루도 어제와 똑같으리라 여기면서 웃음이 안 나옵니다. 웃음이 없으니 낯을 찌푸리고, 낯을 찌푸리니 노래가 흐르지 않으며, 아무런 사랑도 꿈도 이야기도 피어나지 않습니다.



- “나참, 왜 딱부러지게 거절을 못 해?” “아아, 또 원형탈모증이.” “개도 아니고. 허구헌날 시키면 네! 네!” (19쪽)

- “후. 마음쓰지 마. 마츠리다. 너를 위해 한 거짓말이 아니니까. 사랑하는 가족과 우리 집을 지키기 위해서야. 이 집은 나의 성이니까.” (32∼33쪽)





  죽으면 다시 살아야 하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죽기 때문입니다. 죽음으로 끝나는 삶은 없다고 느낍니다. 어려운 말로 ‘윤회’ 같은 낱말을 쓰기도 하는데, 삶을 누릴 적에 ‘삶짓기’를 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언제나 ‘쳇바퀴 돌기’를 했을 테니, ‘살고 죽기를 되풀이하는 나날’로만 나아가리라 느껴요. 삶을 누릴 적에 말 그대로 삶을 누렸다면, 그러니까 삶짓기를 하면서 날마다 새롭게 맞아들여 웃고 노래한 사람이라면, 스스로 새로운 빛이 되리라 느껴요.


  다만, 이렇게 말하는 나도 내 삶이 앞으로 어느 길로 나아갈지는 아직 모릅니다. 내가 나를 바라보기에 나 스스로 날마다 새롭게 짓는 삶이라 한다면, 나는 새로운 빛이 되는 길로 갈 테고, 내가 나를 바라보기에 나 스스로 쳇바퀴를 되풀이하는 지겹거나 따분한 하루라 한다면, 나는 언제나 ‘살고 죽고 살고 죽기를 되풀이하는 수렁’에 갇힌 채 예전 생각(기억)은 모조리 잊어버리리라 느낍니다.


  가만히 헤아려 보셔요. 깨어나지 못하는 목숨은 어떻게 살까요. 깨어나지 못한 채 밥을 먹고 똥을 누기만 하는 몸뚱이도 ‘사람’이라 할 수 있을까요. 목숨이 있기에 모두 ‘사람’이라 할 수 있을까요. 넋이란 없이 몸뚱이만 있다면, 내 넋을 스스로 다스리거나 가꿀 줄 모르는 채, 몸뚱이만 움직이는 나날이라 한다면, 이러한 모습을 가리켜 ‘삶’이라 할 수 있을까요.



- ‘이젠 틀림없어. 돈을 펑펑 쓰고. 좋아하는 걸 원없이 하고. 그 다음엔 일가 동반자살. 잠들면 위험해.’ (42쪽)

- ‘안 돼. 내가 도망치면, 엄마 아빠는 둘이서만이라도 죽고 말지도 몰라.’ (46쪽)





  죽으면 다시 죽으리라 느낍니다. 살면 다시 살리라 느낍니다. 죽음으로 나아가는 사람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죽음과 맞닿습니다. 삶으로 나아가는 사람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삶과 이어집니다.


  사랑을 하려 하기에 사랑을 합니다. 사랑을 할 마음이 없으면 사랑을 안 하거나 못 합니다. 꿈을 꾸려 하기에 꿈을 꿉니다. 꿈을 꿀 마음이 없으면 꿈을 안 꾸거나 못 꿉니다.


  아이들이 뛰놀면서 노래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아이들은 뛰놀면서 기쁘고, 기쁘기에 노래가 샘솟습니다. 어른들은 술에 절다가 더러 노래를 읊기도 하지만, 기뻐서 읊는 노래가 아니라, 넋이 풀려서 해롱거리는 바보짓이기 일쑤입니다. 어른들도 스스로 삶이 기쁘다면, 어떤 일을 하더라도 늘 노래가 흐를 수 있어야 합니다. 웃고 노래하면서 스스로 아름다운 빛이 될 때에 비로소 삶입니다. 웃고 노래하는 하루를 날마다 새롭게 지으면서 스스로 아름다운 꿈을 키울 때에 바야흐로 삶이지 싶습니다.



- “아빤 바보야! 아빠 미워! 집에 가요! 죽으면 우리 다시 못 만나잖아!” (63쪽)

- “힘드시겠어요. 저, 과장님이 손수 음식을?” “아아, 이거 참 쑥스러운 꼴을 보였구먼.” “하하. 식당 밥이나 편의점 도시락에도 이제 질려서 말이지.” (107쪽)





  ‘다카하시 루미코 걸작 단편집’ 가운데 한 권으로 나온 《전무의 개》(학산문화사,2007)를 읽습니다. 만화를 그리는 타카하시 루미코 님은 예전부터 ‘삶과 죽음’ 사이를 넘나드는 이야기를 그리곤 했습니다. 타카하시 루미코 님 만화를 곰곰이 살피면, 어느 작품이든 으레 ‘삶과 죽음’을 물었구나 싶습니다.


  짧게 그린 만화를 모은 《전무의 개》에서도 작품마다 삶이 흐르고 죽음이 흐릅니다. 삶을 생각하는 사람이 나오고, 죽음을 생각하는 사람이 나옵니다. 삶을 생각하는 사람은 낯빛에 웃음과 노래가 흐릅니다. 죽음을 생각하는 사람은 낯빛이 늘 죽음빛입니다.



- “당신, 내가 있는 게 그렇게 거슬려?” “아니.” “흥. 미련 같은 건 없어. 굳이 말하자면, 심술 나서!” (120쪽)

- “여보. 우린 중매로 결혼해서, 저렇게 간질간질한 추억은 하나도 없지?” “자야지.” “여보. 나중에 거실 장식장 맨 아랫서랍을 봐.” (128쪽)



  살아야 사랑을 합니다. 살아야 꿈을 꿉니다. 살아야 서로 어깨동무를 합니다. 살아야 서로 손을 잡고 노래를 합니다. 살아야 신나게 놀고, 살아야 마음껏 하늘을 가르며 콩콩 뜁니다. 살아야 바람을 맞으며 자전거를 달리고, 살아야 들길이나 숲길을 거닐며 푸른 바람을 쐽니다.


  아무것도 생각하지 못한다면, 죽음입니다. 어느 것도 마음에 담지 못한다면, 죽음이지요. 아무것도 사랑하지 못한다면, 죽음일밖에 없습니다. 어느 것에도 마음을 기울이지 못한다면, 그예 죽음으로 나아갑니다.


  우리는 죽으려고 살지 않습니다. 우리는 죽음으로 나아가는 삶이 아닙니다. 삶을 꽃피우려고 날마다 새로 맞이합니다. 삶을 깨달아 참답게 눈을 뜨고 사랑으로 피어나고 싶기에 아침을 다시금 맞아들입니다. 4347.7.2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글노래 25. 흙바닥 글씨놀이



나뭇가지 하나 주워서
오른손에 쥐어 슥슥
흙바닥에 그림을 그린다.
너무 힘을 주었는지 똑
부러지기에 다시 하나
왼손에 들고는 척척
흙땅에 글을 쓴다.
어제 배운 가나다
오늘 익힌 라마바
그리고 또 무엇이 있지?
해 지는 모습 문득 보고
다시금 천천히 글씨놀이.


2014.6.18.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우일 님은 사진가인가? 아니다. 그러면 이우일 님은 어떤 사람인가?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이다. 사진 한 장에 깃든 빛을 좋아하는 사람이고, 사진 한 장에 빛을 담으면서 아름다운 노래를 부르고 싶은 사람이다. 사진책 《굿바이 알라딘》은 어떤 이야기를 담았나? 이우일 님이 삶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사진에 빛을 얹으려고 한 하루와 하루를 살포시 담았다. 하루를 한 장에 담고 한 해를 한 장에 담으며 한 삶을 한 장에 담는다. 4347.7.2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한 줄 책읽기)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굿바이 알라딘- 만화가 이우일의 폴라로이드 사진집
이우일 사진.글 / 호미 / 2007년 12월
13,000원 → 11,700원(10%할인) / 마일리지 65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25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4년 07월 29일에 저장



1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순이 32. 자전거에 오르기 (2014.7.23.)



  일곱 살 자전거순이는 날마다 키가 자라고 다리가 길어지는 줄 느끼지 싶다. 어제는 안 되었어도 오늘은 해 보려는 일이 많다. 이 가운데 하나가 샛자전거에 오르기인데, 자전거 발판을 받치지 않고 다리를 쩍 뻗어서 오르고 싶다. 발판을 디디고 오르면 한결 수월한 줄 스스로 알지만, 땅바닥에 한발을 대고 다른 한발을 휘 올려서 타고 싶은 마음이라고 할까.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전거쪽지 2014.7.23.

 : 하늘빛이 얼마나 파란가



- 아이들을 데리고 자전거 나들이를 한다. 날은 폭폭 찌면서 하늘이 눈부시도록 파라니, 이런 맑은 날 자전거를 타지 않으면 무엇을 하겠는가. 자전거를 몰고 들길을 한 바퀴 돈 뒤에 골짜기로 간다. 골짜기로 가서 시원하다 못해 차가운 골짝물에 온몸을 담가 논다. 골짜기에서 바라보는 하늘도 참으로 파랗다. 바람노래를 아주 가까이에서 들을 수 있다.


- 골짜기에서 나와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샛자전거에 앉은 큰아이가 손목에 감은 사진기를 켜고 하늘빛을 동영상으로 찍는다. 한참 하늘빛을 동영상으로 찍은 뒤 귀에 대고 소리를 듣는다. 너는 어떤 소리를 듣고 싶어서 자전거로 달리면서 하늘빛을 담았니? 네가 담은 하늘빛은 어떤 노래가 흐르니?


- 눈부신 하늘을 언제나 마주하는 사람은 마음도 눈부시게 가다듬을까 하고 헤아려 본다. 새파란 하늘에 하얗게 맑은 구름을 늘 올려다보는 사람은 마음자리에 맑은 꿈을 씨앗으로 뿌려 사랑으로 가꾸는 삶을 일굴까 하고 생각해 본다. 아이들 마음과 내 마음에 모두 파란 하늘 노래가 흐르기를 빈다.


(최종규 . 2014 -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