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오목눈이 2023.10.24.불.



‘잘 살아가는 길’을 생각해 보니? 너는 ‘잘’을 따질 수 있고, ‘살아가기’를 들여다볼 수 있고, ‘길’을 마음에 둘 수 있어. 셋을 고루 볼 수 있고, 셋 사이에서 헤맬 수 있지. 너는 네가 스스로 무엇을 바라보면서 마음에 담는가를 살피고 느껴서 알 노릇이야. 부전나비는 참 작아. 작은 몸에 작은 날개란다. 이 작은 나비는 애벌레일 적에 훨씬 작았을 테지. 너는 조그마한 날개로도 얼마든지 햇볕을 쬐면서 날고 쉬고 꽃꿀을 찾는 부전나비를 알아볼 수 있어. 네가 스스로 하루를 새롭게 그려서 맞이하려는 마음이라면 다 느끼고 알고 만나. 네가 바쁘다면 부전나비를 느끼거나 알 길이 있을까? 여태 어떤 잎을 갉으면서 조용조용 애벌레로 살다가 날개돋이를 했는지 도무지 모르겠지. 제비나비처럼 커도 나비이고, 팔랑나비나 모시나비나 노랑나비여도 나비란다. 하늘을 쩌렁쩌렁 울리는 매도 새이지만, 지지배배 무리지어 노래하는 참새도 새야. 참새보다 작은 박새도 새이고, 오목눈이도 새란다. 네가 새한테 마음을 기울인다면 까치 까마귀 비둘기뿐 아니라, 꿩 뜸부기 도요새 후투티뿐 아니라, 꾀꼬리 소쩍새 물까치뿐 아니라, 오목눈이에 동박새를 알아본단다. 그리고 먼 옛날 옛적부터 숲을 품고서 푸르게 살림을 짓던 사람들이 문득 느끼고 깨달아서 ‘나비’에 ‘새’라는 이름을 처음 지은 뜻을 알아채지. 그리고 다 다른 나비요 새인 줄 낱낱이 가리면서 또 다르게 이름을 붙여야 어울리겠다고 깨달은 길을 읽어낼 수 있어. 발가락은 왜 발가락일까? 얼굴은 왜 얼굴일까? 눈과 입은 왜 눈과 입일까? 스스로 마음을 틔우면, 스스로 마음이 환하면서 모두 알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무릎 : 두바퀴(자전거)를 달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일하던 1998년 8월 어느 날 새벽, 누가 뒤에서 ‘새뜸나름이 짐자전거’를 들이받았고, 나는 하늘로 붕 날아오르면서 ‘여태껏 살아온 모든 날’을 그림으로 주루룩 보았다. 한자말로 이른바 ‘주마등’이라고 일컫는 그림을 보는 하늘에서 “아, 나는 자동차한테 치였구나. 신문배달을 마치고 지국으로 돌아가서 새벽밥을 지어서 지국 형들을 먹여야 할 텐데, 오늘은 다들 굶겠네?” 하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을 해도 바닥에 안 떨어졌기에 숱한 생각을 더 했고, 바닥에 쿵 짛고서 한 시간 넘게 넋을 잃다가 일어났단다. 그러나 나를 친 뺑소니는 떠났고, 나는 온몸에 멍이 들고 붓고 결린 채 달포를 겨우 버티며 새뜸나름이로 일했다. 달포쯤 지나니 아프고 결리고 부은 데가 가라앉았다. 새뜸(신문)은 날마다 날라야 하는데 어찌 돌봄터(병원)에 가겠는가. 게다가 돈도 없다. 그 뒤로 뺑소니를 두 판 더 겪었고, 한 판은 시골 논둑길에서 미끄러졌다. 내 무릎은 넉 판에 걸쳐 으스러지듯 깨졌다. 그렇지만 집까지 어찌저찌 망가진 두바퀴를 끌고 돌아와서 드러누웠고, 끙끙 앓으며 몸을 추슬렀다. 망가진 무릎은 마흔두 살 무렵 비로소 제자리를 찾았다. 그 뒤로는 무릎앓이가 없더라. 이러다 쉰 살을 앞두고 왼무릎이 다시 붓고 앓는다. 보름 즈음 실컷 무릎앓이를 하면서도, 바깥일을 다니고, 두바퀴를 타고, 등짐을 짊어지고서 걷는다. 이러다 보면 집으로 돌아와서 끙끙하다가 곯아떨어진다. 밤새 별을 본다. 그야말로 온누리 숱한 별이 찾아와서 묻는다. “너도 참 바보로구나!” “이그, 이게 뭔 꼴이래?” “하하하, 넌 왜 이렇게 사니?” “아프면 일을 하지 말고 누워서 쉬어야지. 왜 안 쉬니?” 별빛이 들려주거나 탓하거나 나무라는 말을 실컷 듣고서 대꾸한다. “고마워. 다 그렇게 할 까닭이 있다고 느껴. 그리고 이렇게 앓기에 한결 튼튼하게 허물벗기를 하는구나 싶어. 난 아직 애벌레이잖니.” 왼무릎도 오른무릎도 살살 쓰다듬고 토닥인다. 2023.10.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노숙자 : 2023년 10월 어느 날, 전남 여수 어느 어린배움터(초등학교)에 찾아가서 글읽눈(문해력)을 가꾸는 길을 들려주다가 문득 열 살 어린이한테 “우리나라로 돈을 벌려고 찾아와서 일하는 사람을 무어라 하나요?” 하고 물어보았다. “노숙자요!” “네? 노숙자라고요?” “네! 엄마아빠가 그런 사람은 ‘노숙자’라고 했어요!” 이레가 지나서 다른 어린배움터에 찾아가서 똑같이 물어보니 “외국인근로자요!”라 한다. ‘외국인근로자’를 얘기한 어린이한테 잘 알려주어 고맙다고 얘기하고서, 글판에 ‘외국인근로자·외국인노동자’를 나란히 적었다. 두 이름을 본 열 살 어린이는 “근로자하고 노동자는 다르잖아요?” 하고 묻는다. 빙그레 웃으면서 ‘근로’에 들어가는 ‘로’랑 ‘노동’에 들어가는 ‘노’는 한자가 같고 뜻도 같다고 알려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일하는 사람을 돌보는 곳은 ‘노동부’하고 ‘노동청’이랍니다.” 하고 보태었다. 열 살 어린이로서는 왜 이 나라가 ‘근로·노동’을 섞어쓰는지, 또 ‘외국인근로자’가 서울말(표준말)이라 하면서, 막상 나라일터는 ‘노동부’에다가 ‘노동법’이라 하는데, 또 ‘근로기준법’이란 말이 따로 있는지 머리가 지끈거릴 만하다. 우리말 ‘일’을 쓰면 아무 걱정이 없고, 헷갈릴 까닭조차 없다. 이웃나라에서 찾아온 일꾼은 ‘이웃일꾼’이라 하면 된다. 영국에서 뛰는 손흥민 같은 사람도 영국에서는 ‘이웃일꾼’이다. 그나저나 어린이 앞에서 ‘이웃일꾼(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을 ‘노숙자’라고 깔보듯 부르는 엄마아빠란 뭘 하는 사람일까? 이 아이들이 앞으로 어설프고 얼뜬 엄마아빠가 망가뜨리는 말과 삶과 나라를 아름답게 갈아엎거나 갈고닦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2023.10.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지방 : 마을이나 고을이나 시골에서 사는 사람은 ‘마을·고을·시골’이라는 이름을 쓴다. 마을도 고을도 시골도 아닌 데, 그러니까 서울에서 사는 사람은 ‘지방’이라는 이름을 쓴다. 서울내기한테는 서울이 아니면 모두 ‘지방’이다. 서울곁 인천도 부천도 수원도 고양도 죄다 ‘지방’으로 여긴다. 이제는 여러 서울내기가 ‘서울 아닌 곳’을 ‘지방’으로 여기지 않는 눈길을 틔우기도 하지만, 웬만한 서울내기는 ‘서울과 지방’이라는 두 갈래로 바라본다. 다들 아무렇지도 않게 “서울로 올라와”라든지 “부산으로 내려가”라든지 “강릉으로 내려가”라든지 “문산으로 내려가”처럼 쓴다. 서울 바깥으로 가면 죄다 ‘내려가다’이다. 그런데 부산내기는 양산이나 포항을 보며 “양산으로 내려가다”나 “포항으로 내려가다”라 한다. 전남 광주는 순천을 보며 “순천으로 내려가다”라 하고, 순천시는 고흥군을 보며 “고흥으로 내려가다”라 한다. 전남 고흥 시골에서 고흥읍은 “도화면으로 내려가다”처럼 쓰고, 시골 면소재지에서는 “○○마을로 내려가다”처럼 쓴다. 서울내기는 서울이 꼭두라 여기며 몽땅 내려다보는데, 서울 아닌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모두 다른 고을을 내려다본다. 광역시는 시를 내려다보고, 시는 군을 내려다본다. 군에서 읍은 면을 내려다보고, 면은 마을을 내려다본다. 마지막으로 시골 맨끝 마을에서는 “이장님 댁에 올라가다”라 한다. 꼴사납지. 볼썽사납지. 창피하지. 부끄럽지. 그런데 이 ‘올라가다·내려가다’ 같은 바보말이나 멍청말을 바로잡는 이는 아주 드물다. 서울내기만 탓할 일이 아니란 뜻이다. 서울은 서울대로, 우리나라 모든 마을과 고을과 시골은 그곳대로 스스로 이웃을 따돌리거나 내려다보거나 올려다보면서 바보짓이나 멍청짓을 잇는다. 언제쯤 ‘지방’이라는 구린말을 걷어낼까? 언제쯤 서울내기뿐 아니라 모든 사람들 입에서 ‘올라가다·내려가다’ 같은 썩은말을 털어낼 수 있을까? 2015.11.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뻘짓을 하는 고흥군수 행정을 보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새벽에 2023.10.16.달.



너는 새벽에 일어날 수 있고, 쿨쿨 꿈나라를 누빌 수 있어. 너는 아침에 해를 맞이할 수 있고, 아침도 모르는 채 꿈밭을 헤매면서 몸에 기운을 채우며 쉴 수 있어. 너는 조그마한 그릇에 흙을 조금 담아서, 높다란 잿집(아파트)에 조금이나마 풀빛을 퍼뜨릴 수 있어. 너는 넓든 좁든 마당을 누리면서 나무를 돌볼 수 있어. 새벽에 꿈길로 가는 별을 날마다 보니? 별은 낮에도 밤에도 늘 깨어서 움직인다고 여길 수 있을 테지만, 별은 스스로 돌고 스스로 쉬고 스스로 깨고 스스로 꿈꾸면서 빙그르르 춤을 짓는다고 여길 수 있어. ‘별을 보는 눈’은 네가 네 ‘삶을 보는 눈’ 그대로야. 네가 ‘스스로 가둔 굴레’에서 ‘스스로 가둔 눈’으로 부스러기(지식·정보)를 캐는 몸짓이라면, 넌 네가 ‘좁은 눈’인지 아닌지조차 몰라. 네가 ‘스스로 틔운 들숲바다’를 ‘스스로 틔운 눈’으로 품는 몸짓이라면, 넌 네가 ‘틔운 눈’인지 알기에, ‘틔우는 눈이란 모든 새로운 빛을 늘 새롭게 받아들여서 노래하는 춤’인지 깨닫지. 틔우기에 하루 내내 배워. 왜 배울까? 배우면서 새롭거든. 배워서 새롭기에 늘 살아나거든. ‘알기에 새로 배운’단다. ‘모르기에 안 배운’단다. 재미있지 않아? ‘모르는 이’는 모르기에 안 배우면서 목숨을 스스로 갉는 줄 모르고, 모르기에 늘 쳇바퀴에 가두면서 눈코귀입을 다 닫고 막아. ‘아는 이’는 알기에 새로 배우면서 스스로 빛날 줄 알고, 알기에 늘 새로 틔우면서 ‘이미 아는 것을 녹여’내고, 이 ‘앎(알맹이)’이 든든히 여물도록 해와 바람을 새롭게 불어넣는단다. 새벽에 눈을 떠 봐. 별이 어떻게 쉬러 가는지, 해가 어떻게 깨어나는지, 밤이 어떻게 떠나는지, 낮이 어떻게 오는지 지켜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