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노숙자 : 2023년 10월 어느 날, 전남 여수 어느 어린배움터(초등학교)에 찾아가서 글읽눈(문해력)을 가꾸는 길을 들려주다가 문득 열 살 어린이한테 “우리나라로 돈을 벌려고 찾아와서 일하는 사람을 무어라 하나요?” 하고 물어보았다. “노숙자요!” “네? 노숙자라고요?” “네! 엄마아빠가 그런 사람은 ‘노숙자’라고 했어요!” 이레가 지나서 다른 어린배움터에 찾아가서 똑같이 물어보니 “외국인근로자요!”라 한다. ‘외국인근로자’를 얘기한 어린이한테 잘 알려주어 고맙다고 얘기하고서, 글판에 ‘외국인근로자·외국인노동자’를 나란히 적었다. 두 이름을 본 열 살 어린이는 “근로자하고 노동자는 다르잖아요?” 하고 묻는다. 빙그레 웃으면서 ‘근로’에 들어가는 ‘로’랑 ‘노동’에 들어가는 ‘노’는 한자가 같고 뜻도 같다고 알려준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일하는 사람을 돌보는 곳은 ‘노동부’하고 ‘노동청’이랍니다.” 하고 보태었다. 열 살 어린이로서는 왜 이 나라가 ‘근로·노동’을 섞어쓰는지, 또 ‘외국인근로자’가 서울말(표준말)이라 하면서, 막상 나라일터는 ‘노동부’에다가 ‘노동법’이라 하는데, 또 ‘근로기준법’이란 말이 따로 있는지 머리가 지끈거릴 만하다. 우리말 ‘일’을 쓰면 아무 걱정이 없고, 헷갈릴 까닭조차 없다. 이웃나라에서 찾아온 일꾼은 ‘이웃일꾼’이라 하면 된다. 영국에서 뛰는 손흥민 같은 사람도 영국에서는 ‘이웃일꾼’이다. 그나저나 어린이 앞에서 ‘이웃일꾼(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을 ‘노숙자’라고 깔보듯 부르는 엄마아빠란 뭘 하는 사람일까? 이 아이들이 앞으로 어설프고 얼뜬 엄마아빠가 망가뜨리는 말과 삶과 나라를 아름답게 갈아엎거나 갈고닦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2023.10.31.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