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원수를 사랑하라 : 비나리집이라는 곳은 “밉놈을 사랑하라”를 제대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으면 넉넉하다. “밉놈을 사랑하라”를 가르치고 배울 수 없다면 비나리집이 아니다. 배움터도 매한가지이다. 어린이도 푸름이도 젊은이도 “밉놈을 사랑하라”를 제대로 보고 느끼고 알아차릴 수 있는 곳이라야 비로소 배움터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밉놈을 사랑하라”를 펴고 누리고 나누면서 익히는 자리가 바로 보금자리이다. 아주 쉽게 보기를 들자면, 설거지를 하다가 그릇을 깨어도 “밉놈을 사랑하라”를 떠올릴 일이다. 잘잘못을 가리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옳거나 그르다고 가르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누구는 맞고 누구는 틀리다고 따지지 않을 줄 알아야 한다. 요사이는 “틀리지 않고 다르다”라는 말이 제법 퍼지는데, 이 말이 퍼지기는 해도 “미우니 사랑하라”가 빠진 채 ‘다름’만 앞세운다면, 오히려 더 싸우고 자꾸 다투고 끝없이 티격태격으로 치닫고 만다. “미우니 미워한다”를 붙잡을 적에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미우니 미워한다 = 미워할 일을 자꾸 마음에 그리면서 언제까지나 미워하고 다시 미워하는 굴레나 쳇바퀴”라고 여길 만하다. 밉짓을 하는 밉놈이 어느 자리에 있다고 여기기에, 요 밉놈을 끌어내리려고 하는 데에 늘 온마음을 쏟아버리고 만다. “미워서 미워한다”에는 아주 마땅히 ‘사랑’이 없는데, 사랑이 없는 쳇바퀴란, “남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가 아니라 “나를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는 뜻이라고 느낀다. 우리가 저마다 스스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바로 나부터 사랑할 테고, 바로 나부터 사랑하는 사람은 남을 안 사랑할 수 없다. 누구를 콕 집어서 미워하는 사람이란, 바로 그 사람 스스로 안 사랑하고 미워한다는 뜻을 드러내는 셈이다.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미워서 미워한다”를 안 하는데,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무엇을 하느냐 하면, “스스로 사랑하는 하루를 그리고 짓고 나누기”를 한다.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하면서 그리고,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으로 짓고, 오늘 하루를 스스로 사랑으로 펼 적에는, 오롯이 사랑이 흐른다. 사랑이기에 사랑이다. 미움이기에 미움이다. 사랑은 사랑씨앗을 낳고, 미움은 미움씨앗을 낳는다. 저놈이 저딴 짓을 했으니 밉다고 여기는 곳을 자꾸 쳐다보는 사이에, 우리 스스로 오늘 하루를 잊고 오늘 스스로 그려서 지을 사랑까지 잃는다. ‘저놈’이 아닌 ‘저이’는 스스로 눈물로 씻고 무릎을 꿇고서 새사람으로 거듭나야 할 노릇이다. 나는 나 스스로 꿈을 그리고 사랑을 지으면서 살림길을 숲빛으로 펼 노릇이다. “미운놈을 미워하기”에 기운을 쏟느라 “스스로 사랑씨앗을 심는 오늘 하루”하고 한참 멀리 가고야 만다. 모든 일에 드러나는 겉모습과 속빛을 읽으려 할 적에는, 이 일을 읽고 나서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사랑을 마음에 생각으로 심을 노릇이다. ‘멧숲말씀’은 참말로 멧숲에 깃든 넋으로 푸르게 들려준 이야기이다. 우리가 누구나 멧숲에 깃들어 보금자리를 일구고, 멧새와 숲짐승을 이웃으로 삼는다면, “미우니 사랑하라”가 스스로 어떻게 살고 살림하는 하루를 짓는 길인지 참하게 알아보리라. 2024.2.4.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할머니한테 2022.11.6.해.



누구나 처음부터 어머니나 할머니가 되지 않아. 처음부터 누나나 언니나 동생이 되지도 않아. 처음부터 아버지나 할아버지인 사람은 없어. 이러한 자리는 나이가 차야 되지는 않지. 이러한 자리는 어떤 삶일는지 궁금해하는 마음이 서야 하고, 이러한 자리로 가는 길에 늘 새롭게 배우며 기뻐하는 마음이어야 해. 나이는 들었으나 누나·언니·오빠답지 않은 사람이 있지. 아이는 낳았어도 어머니·아버지답지 않은 사람이 있어. 낳거나 돌본 아이가 자라 어버이로서 아이를 낳는데 할머니·할아버지답지 않은 사람이 있지. 어느 자리이건 높지도 낮지도 않아. 그저 그 자리일 뿐이야. 낫거나 나쁜 자리가 아니지. 저마다 다르게 느끼고 보고 배우면서 자라나는 자리란다. 할머니는 슬기로우면서 상냥히 살림하는 자리야. 묻기는 하지만 따지지 않는 자리야. 시키지 않으나 맡길 줄 아는 자리야. 서두르지 않지만 미루지 않는 자리이지. 아이는 할머니 곁에 있으면서 “들숲바다를 읽고 느끼며 가꾸는 눈”을 배워. 할머니는 아이 곁에 있으면서 “들숲바다랑 얘기하고 배우는 마음”을 맞아들여. 그런데 요즘은 어떨까? 요즘 아이들은 할머니 곁에서 무엇을 듣거나 보니? 요즘 할머니는 아이 곁에서 무엇을 하니? 요즈음 아이들도 할머니도 눈빛이 흐리고 말씨가 바래고 몸짓이 엉성하더구나. 슬기로운 빛을 더하면서 상냥히 나누는 넋은 사라져가네. 슬기로운 빛을 넉넉히 보고 느끼고 배우려는 넋도 사라져가는구나. 할머니다운 할머니가 사라지고, 나이들어 늙은 사람만 늘어간다면, 이 땅에서 새로 태어나서 자랄 아이도 사라지겠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할아버지로서 2022.11.5.흙.



어진 사람하고 어질지 않은 사람은 달라. 어진 사람은 몸을 태우는 짓을 안 해. 제 몸도 남 몸도 안 태우지. 어질지 않은 사람은 제 몸을 태우기 일쑤이고, 이 바람에 남 몸까지 불씨를 옮겨 태우고 말지. 너희 몸은 옷이되, 마음이 이 삶을 겪고 치르고 맛보고 누려서 배우려고 하는 길이란다. 그래서 몸을 섣불리 태우면 어느새 죽음길에 이른단다. 애태우든 속태우든 마음태우든, 모두 몸을 갉아먹어. 죽음으로 가는 지름길이야. 너희 마음은 너희 넋이 생각을 심는 하늘이자 숲이고 바다야. 너희 넋은 ‘불’이 아니고 ‘빛’이지. 너희는 바람을 마시면서 숨빛으로 숨결을 얻어서 목숨을 이어가. 하나하나 보자면, ‘불’이나 ‘태움(타오름)’은 너희가 달래어 녹일 틀이나 수렁이지. 짜증·미움·시샘·걱정·두려움이 바로 ‘불’이야. 이런 불을 불씨로 두면 몸을 갉아먹다가 마음이 말라버린단다. 몸에 자꾸 힘을 들이면 차츰 낡고 닳아. 힘으로 하려고 나서기에 힘들지. 힘이 아닌 기운을 내어 차근차근 하면 천천히 몸이 살아나고 마음이 밝단다. 녹여낼 수 있는 빛살을 비추렴. 몸을 불길·불꽃·불씨로 태우려고 하지 마. 늙음으로 가는 ‘불’이거든. 화르르 타고서 재로 바뀌지? 몸을 달구어 태우면 늙게 마련이야. 몸을 고루 아늑히 비추는 별빛으로 다독이면 네 몸이며 마음에도 바람이 스며들고, 꽃내음이 번지고 풀빛으로 물들어서 스스로 싱그럽단다. 어진 눈빛으로 이야기를 펼 줄 알기에 할아버지야. ‘참’할아버지는 ‘나이먹은’ 몸이 아닌 ‘마음이 깊고 너른’ 어른이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 어색 2023.7.21.



처음이라 낯설구나

여태 본 적 없으니

서두르지 않으면서

이제 하나씩 본다


첫걸음은 새롭구나

아직 간 적 없으니

다그치지 않으면서

오늘 한 발 뗀다


첫선이라 쑥스럽지

그동안 기다렸으니

낯이 간지럽지만

살짝 말을 건넨다


첫술에 배가 부를까

띄엄띄엄 더듬더듬

서툰 솜씨라 해도

천천히 다가간다


ㅅㄴㄹ


반갑거나 어울릴 수 있지만, 안 반갑거나 안 어울릴 수 있어요. 어느 곳에 꼭 들어가는구나 싶으니 ‘맞다’라 하고, 꼭 들어가는구나 싶지 않으니 “안 맞다”라고 합니다. 한자말 ‘어색하다(語塞-)’는 반갑지 않거나 안 맞는구나 싶을 적에 써요 어울리지 않는다는 결이니, ‘엉뚱하다’거나 ‘낯설다’고 여기는 결입니다. 뭔가 ‘부끄럽다’거나 ‘벌겋다’고 느끼는 결이에요. 아직 잘 하기가 어렵다면 좀 쑥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리 대단하지 않은데 둘레에서 추킨다면, 여러모로 낯간지러울 수 있어요. 처음부터 잘 하는 사람도 있지만, 첫걸음이라 서툰 사람이 있어요. 첫술에 배부르겠느냐는 옛말을 되새겨 봅니다. 더듬더듬 서툴거나 어설픈 손길이지만, 더욱 천천히 다가가면서 한 발 두 발 떼어 봐요. 이제부터 하나씩 마주하면서 눈과 손에 익혀요. 오늘부터 차근차근 맞아들이면서 온마음으로 품어요. 좀 모를 수 있고, 틀리는 날도 있어요. 멋쩍지만 살그마니 부는 가벼운 바람처럼 살살 바라보고 찾아가고 다독이면서 잎망울이 부풉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나란히 2024.1.16.불.



비눈이 올 적에는 빗물이나 눈송이가 저마다 하나씩 물알인 줄 느끼지. 그런데 눈비가 오지 않을 적에도 물알은 늘 바람을 타고서 돌아다닌단다. 바람에 물알이 깃들기에 냄새라는 기운을 퍼뜨리고, 이 기운으로도 목숨을 살려. 더구나 바람에 물알이 묻어서 흐르니까 숨을 쉴 수 있어. 다만 “바람을 타는 물알”을 알아보는 사람은 드물어. 그야말로 조그맣거든. 너희는 “바람을 타는 물알”을 눈이나 코나 얼굴이나 살갗이나 머리카락이나 손발로 느껴. 이 물알을 느끼면서, 메마른지 축축한지 매캐한지 싱그러운지 지저분한지 깨끗한지 가리지. 물알이 없는 곳이라면 죽음터로 여길 만해. 물빛·물기운·물결을 머금을 때라야 삶으로 이어. 물알은 숨을 살리는 알갱이나 알맹이야. 씨앗·씨알이 땅을 살린다면, 물알은 땅과 하늘에서 숨결을 입는 모두를 살리지. 햇빛도 별빛도 너희한테 물알처럼 드리우는 빛알로 여길 만해. 얼핏 빛줄기나 물줄기처럼 죽 잇는 듯 볼 텐데, 모든 줄기는 가없이 작은 알이 고루 잇고 나란히 서는 얼거리야. 너희 몸도, 돌도, 나무도, 덩이진 몸도, 다 다르지만 서로 새롭도록 나란히 맺고 엮는 알 하나가 모인단다. 나랑 너는 나란히 있어. 우리는 다 날아다녀. 물알은 바람을 타고, 너희는 이 별을 타고서 온누리를 누빈단다. 오늘 무엇을 보았는지 떠올리렴. 날마다 이 별을 타고 다니면서 무엇을 하는지 생각하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