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53


《미니컬러백과 19 세계의 군함》

 편집부 엮음

 능력개발

 1984.11.15.



  1984년에 1000원짜리 작은책은 그무렵 어른한테 그리 안 비쌀 수 있으나, 주머니가 홀쭉한 어린이로서는 엄두를 못 낼 만한 값입니다. 그때 어린이는 버스삯을 60원을 치렀습니다. 요사이는 나라 곳곳에서 어린이는 그냥 타거나 50원만 내도록 바꾸어 가는데, ‘어린이 에누리’가 생기지 않던 즈음을 헤아리면 2020년 즈음 어린이 버스삯은 800∼1000원입니다. ‘미니컬러백과 19’인 《세계의 군함》을 장만하자면, 지난날 어린이는 버스길을 17판쯤 걸어서 차곡차곡 모아야 했습니다. 또래나 언니동생은 아침저녁으로 배움터 앞 길가나 글붓집(문방구)에서 군것질을 했지만, 번데기도 떡고치도 뽑기도 쫀득이도 오징어다리도 눈을 질끈 감고서 여섯 해 내내 푼돈을 아끼고 모았어요. 만화책을 살 밑돈에다가 ‘미니컬러백과’를 모으려고 했어요. 열흘쯤 걸어다니며 모은 밑돈으로 눈물겹게 작은책을 장만하는데, 우리 어머니는 “공부하는 책이 아니잖아!” 하면서 저 몰래 내다버리시기 일쑤였습니다. 버려지면 다시 걸어다니면서 푼돈을 모아서 또 사고, 또 버려지면 새로 걸어다니면서 푼돈을 모아 다시 사는데, 이럭저럭 열 가지쯤 모았으나 딱 하나를 빼고는 모두 제 곁을 떠났습니다. 어머니가 또또 버리셨고, 동무나 마을 동생이 빌려가서 안 돌려줬거든요. “이그! 또 샀니?” 하고 나무라기 앞서 “어쩜! 넌 그렇게 밑돈을 모을 줄 아는구나?” 하고 다독이면서 길을 잡아 줄 수 있었을 텐데 싶어요. 그나저나 ‘능력개발’에서 선보인 ‘미니컬러백과’는 몽땅 일본책을 훔친 줄거리에 판짜임입니다. 어릴 적에는 몰랐으나, 어른이 되어 낱말책을 엮는 일을 하며 여러 나라 책을 두루 찾아보다가 뒤늦게 알아챘어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41


《李朝文化와 서울》

 최순우 글

 학원사

 1961.10.20.



  예나 이제나 어린이·푸름이한테 ‘방학’이란 “굴레에서 풀려나면서 쉬는 때”이기도 하면서, “갖은 짐(방학숙제)에 짓눌리고 억눌려서 오히려 괴로운 나날”이기도 합니다. 요즈음 어린이·푸름이는 방학이라고 해서 어버이 일손을 거들지는 않을 듯싶습니다만, 지난날에는 방학을 맞이하면 큰고장이건 시골이건 다들 집안일이며 논밭일을 거드느라 바빴습니다. 배움터에서는 “너희들! 방학이라고 놀기만 하면 안 돼!” 하고 으르렁대면서 짐을 그득 맡기지만, 여느 살림집에서는 “이제 좀 아이들한테 심부름도 맡기고 바쁜 일철에 일손을 벌겠구나!” 하고 여겼습니다. 《李朝文化와 서울》은 ‘학원사’에서 엮은 ‘관광명소안내 시리즈 3’이라고 합니다. 나라밖만 쳐다보지 말고, 나라안을 헤아리자는 뜻은 틀림없이 알뜰하다고 여깁니다만, 막상 ‘옛살림(전통문화)’이라 일컬을 적에는 ‘아이한테 집안일과 논밭일을 맡기거나 시키는 여느 보금자리에서 일군 살림빛’하고는 너무 먼, ‘임금님과 벼슬아치와 나리(양반)가 하느작거리던 자취’에 얽매이곤 합니다. 지난날 ‘방학숙제’ 가운데 하나는 ‘박물관이나 미술관 다녀오기’가 꼭 있었어요. 1980년대 어린이로서는 인천에서 서울로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다녀오기도 벅차고 돈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모둠에 누구 하나 ‘서울로 박물관을 다녀온 아이’가 있다면 우르르 몰려서 그 아이 ‘박물관 방문기’를 베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관광·여행’과 ‘집안일·논밭일’과 ‘문화·전통’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기를 바라요.


관광은 몸과 마음을 살찌게 한다 : 반 만년의 역사를 지닌 우리의 문화재는 조상의 얼과 민족문화의 전통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서 우리는 마땅히 이를 국내외에 선전하고 소개하여 조상과 민족의 우수성을 자랑하여야겠읍니다. 이러한 조국의 아름다움과 역사를 찾아 보지 못한다는 것은 우리로서 낙오된 현대인이라고 아니 할 수 없읍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 책은 여러분을 현대의 현대인으로 이끌어 주는 좋은 안내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책끝 알림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숨은책 980


스스로를 비둘기라고 믿는 까치에게

 김진경 글

 푸른나무

 1988.3.20.첫/1988.5.10.2벌



  배움불굿(입시지옥)은 예전에도 있었습니다. 다만, 아무리 배움불굿이 들끓었어도 적잖은 배움이는 ‘교과서 아닌 책’을 꽤 읽었습니다. ‘교과서만 붙잡는 아이’는 “배우지 않는다”고 여기던 지난날입니다. 이와 달리 오늘날은 ‘책 아닌 교과서’를 붙잡기만 하는 배움불굿일 뿐 아니라, ‘교과서 학습에 이바지하는 학습도서’를 마치 ‘책’으로 여기면서 읽는 얼거리입니다. ‘학습만화’에 ‘철학동화’에 ‘문해력 학습’에 끝도 없이 “배움길과 동떨어진 굴레”로 뻗는다고 느낍니다. 《스스로를 비둘기라고 믿는 까치에게》는 1988년 무렵부터 한동안 푸른배움터뿐 아니라 열린배움터에서도 길잡이책으로 삼았습니다.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는 삶’을 짚은 줄거리요, 배움불굿을 이제 막 벗어난 스무 살 새내기 가운데 ‘책 아닌 교과서와 학습도서’만 붙잡은 아이들이 수두룩하기 때문에, ‘푸른나무’에서 펴낸 푸른책(청소년책)은 알뜰히 읽고 새기는 길동무였다고 할 만합니다. 서울대 정문 앞 〈관악서적〉 종이가 고스란한 책이니, 서울대에 갓 들어간 분이 1988년 무렵에 읽었을 테지요. 푸른배움터를 마친 뒤에는 교과서에 더는 안 끄달려도 되는데, 마음에 어떤 살림밥을 담을 만할까요? 우리 살림길은 어디일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숲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91. 쓰레기



담배를 태우고서 길바닥에 슥 던지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읍내에서도 마을에서도 길에서도 똑같다. 어떤 이는 옆집에 대고 쓰레기를 슬쩍 버린다. 이제 시골에서는 비닐·스티로폼·농약병…… 따위를 마을 앞에 갖다 놓기만 해도 다 가져가 주는데, 이녁 마당에서 이 모두를 태우다가 옆집으로 훨훨 날리기 일쑤이고, 그 집에서 구르던 쓰레기가 옆집으로 날아들며, 때로는 부러 옆집으로 휙휙 던지기도 한다. 시골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이렇게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겠지. 면소재지·읍내 어린이하고 푸름이까지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더라. 깡통을 일부러 뻥 차서 굴린다거나 냇물에 던지는 꼴을 보고서 “아이들아, 여기는 너희 집이고 마을하고 같아. 너희가 이렇게 깨고 버리는 쓰레기는 너희 마당을 더럽히는 일하고 같아.” 하고 타이르거나 “네가 버린 쓰레기는 네 손으로 주워서 쓰레기통에다가 넣으렴.” 하고 알려주면, 이 아이들은 눈앞에서는 다시 줍다가 몇 걸음 가다가 휙 다시 버리고 달아난다. 어느 집만 바보스럽지 않다.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둘레 어른이 하는 짓을 고스란히 보고 자라며 따라하니, 이 모든 시골아이가 나란히 바보스럽다. 아무렇게나 태우거나 굴리든, 또 이웃집이라는 생각조차 없이 그저 아무 데나 휙휙 버리든, 그들은 그들 마음을 더럽히고 그들 손을 더럽히며 그들 삶과 삶터까지 더럽힌다. 나야 이 쓰레기를 차곡차곡 주워서 ‘제대로 치우면’ 될 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집놀이터 / 숲노래 사랑꽃

숲집놀이터 290. 티처스



곧잘 〈티처스〉를 챙겨서 본다. 〈티처스〉에 나오는 아이하고 어버이가 집에서 어떻게 어울리면서 하루를 누리는지 지켜본다. 이 풀그림에는 으레 ‘서울에 있는 대학교’나 ‘서울에 있는 의대’를 바라는 아이어른이 나오는데, 포근하면서 상냥한 집안이 더러 있으나, 웬만한 집은 안 포근하고 안 상냥하구나 싶더라. 억지로 밀어붙이는 집이 많고, 아이도 억지로 어느 높은 곳에 이르러야 한다고 여기고 만다. 어느 날 곁님이 문득 말한다. “〈티처스〉에 나오는 아이들은 앞선 〈티처스〉를 안 보나 봐. 앞선 〈티처스〉를 보면 저랑 똑같은 사람이 이미 수두룩하게 나왔는데, 앞선 〈티처스〉만 보았어도 굳이 일타강사한테 도와주기를 바랄 까닭이 없이 스스로 무엇이 어긋났거나 엉성한지 알아차릴 텐데.” 이 말을 곰곰이 새겨 본다. 참말로 숱한 중고등학교 푸름이는 비슷비슷하다. 비슷비슷하게 ‘나읽기’를 못 하거나 안 하거나 등진다. 너무 바쁘게 셈겨룸(입시공부)만 한다. ‘나읽기’를 헤아릴 “느긋이 책읽기”를 하는 푸름이를 여태 하나도 못 본다. 〈티처스〉에 나오는 푸름이뿐 아니라, 온나라 웬만한 푸름이도 매한가지이지 않을까? ‘구태여 대학교에 안 가면서 내 꿈을 이루는 길을 걷겠어’ 같은 다짐을 하는 푸름이는 얼마나 있을까? ‘나읽기’를 하면서 홀가분히 호젓이 살림길을 걷는 푸름이를 눈여겨보거나 지켜보는 어른은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