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의 언어 - 《런던 리뷰 오브 북스》 편집장 메리케이 윌머스의 읽고 쓰는 삶
메리케이 윌머스 지음, 송섬별 옮김 / 돌베개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4.5.21.

까칠읽기 8


《서평의 언어》

 메리케이 윌머스

 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6.30.



《서평의 언어》(메리케이 윌머스/송섬별 옮김, 돌베개, 2022)를 읽었다. “○○의 언어”는 무늬만 한글인 일본말씨이다. 우리는 니콘·캐논 같은 데에서 내놓는 찰칵이를 쓸 뿐, 우리 손으로 찰칵이를 내놓지는 못 하지만, “서평의 언어”라는 일본말이 아닌 “서평하는 말”이나 “책을 말하다”나 “책말”이나 “책을 읽는 말”이나 “책읽는 낱말”처럼 우리말을 쓸 수 있다. 애써 한글로 옮긴 글자락이되, 옮김말씨하고 일본말씨가 너무 춤춘다. 우리는 왜 우리말을 안 쓸까? 우리는 왜 우리말씨를 안 살필까? 일본이 바다에 더럼물(오염수)을 버리는 바보짓이 얼마나 사나운 줄 안다면, 미처 가다듬지 못 한 글결로 꾸러미를 여밀 적에 ‘생각을 짓는 길’하고 동떨어진 줄 느낄 만하지 않은가. 요새 다들 이런 일본말씨에 옮김말씨를 쓴다고도 여기는데, 이런 마음이라면 일본이나 중국이나 우리나라가 바다에 더럼물을 함부로 버리는 짓도 매한가지이다.


22쪽에 나오는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를 돌아본다. 어떤 엄마아빠가 이런 말을 쓰겠는가? “내가 성을 내면 아이는 굶고, 굶는 아이도 성이 난다”처럼 우리말을 헤아릴 수 있기를 빌 뿐이다.


ㅅㄴㄹ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 (22쪽)


이 책에는 “손이 깨끗하지 않을 때는 절대로 책을 만지지 마시오”, “책을 절대 바닥에 떨어뜨리지 마시오” 같은, 독학자를 위한 ‘책 사용 시 주의 사항’이 실려 있다. (한때 책이라는 것이 이렇게 존중받았단 사실을 상기할 수 있다는 면에서 좋다) (60쪽)


칭찬은 서평가들에게 무엇보다 어려운 과업이다. (100쪽)


#HumanRelationsandOtherDifficulties #Essays #MaryKayWilmers


+


원하는 만큼 모임을 갖지 못하다가

→ 바라는 만큼 모임을 못 하다가

→ 뜻하는 만큼 모이지 못 하다가

7쪽


지금보다 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요새보다 더 고갱이를 차지하였다

→ 요즘보다 더 큰몫을 차지하였다

→ 오늘날보다 더 기둥이었다

→ 오늘보다 더 알짬이었다

8쪽


그는 글쓰기에 지난한 노력과 에너지를 쏟았으며

→ 그는 글쓰기에 고되게 힘을 쏟았으며

→ 그는 고단할 만큼 글을 썼으며

→ 그는 고되도록 글을 썼으며

9쪽


단순히 책 한 권을 요약했다기보다 세상 전체를 통찰하는 것이리라

→ 그저 책 하나를 간추렸다기보다 온누리를 아울렀다

→ 그냥 책 한 자락을 추렸다기보다 온넋을 헤아렸다

11쪽


대상에 양가적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증거가 없었더라면

13


출산이란 이처럼 축하받고 싶은 소망이 상식을 압도해 버리는 함정으로 가득한 일이다

19


설상가상인 것은 좋은 어머니처럼 행동한다 해도 결코 충분치 않다는 점인데

20


발기부전에 대해 가진 공포에 그토록 공감했던 적이 없었다

21


내가 화가 나면 아이는 식량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으며, 위기에 처한 아이는 화가 났다

→ 내가 성을 내면 아이는 굶고, 굶는 아이도 성이 난다

→ 내가 이글거리면 아이는 쫄쫄 굶고, 아이도 이글거린다

→ 내가 짜증내면 아이는 굶어야 하고, 아이도 짜증난다

22쪽


여든넷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니

→ 여든넷에 떠났으니

→ 여든넷에 이 땅을 떠났으니

25쪽


과한 표현을 쓰면서도

→ 부풀리면서도

→ 추켜세우면서도

28


부고는 사람의 심장을 뛰게 하는 취미마저도 등한시해 온 듯한데, 이 또한 아비규환 때문일지 모르겠다

33


대체로 어떤 업이 가진 광휘를 한층 더 빛내주기 위해 쓰인다

38


배럿의 지휘 아래

→ 배럿이 이끌어

→ 배럿이 꾸려서

53


초판 복각본을 발행했다

59


사건은 특정 단어, 특히 도덕과 예의범절에 관한 단어의 의미가 세월이 흐르면서 꾸준한 사용을 통해 고착화된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59


편찬자의 즐거움은 어디에나 묻어 있다

→ 엮은이는 어디서나 즐거웠다

→ 엮은 내내 즐거운 듯하다

67쪽


이런 의견들 가운데 딱히 시류에 맞는 것은 없었고

70


잠깐 부끄럽고 말 수준이 아니라 영원한 고갈을 불러일읔는 종류의 빈곤함을 지닌 졸작이다

86


위 인용문 속 괄호는

→ 이 글에서 묶음은

→ 여기에서 묶음칸은

90


혼란에 빠진 작가가 핍진성을 부정하는 데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91


칭찬의 어휘는 한정되어 있기에 같은 표현이 주야장천 등장하지만

100

101


동료들이 큰 자각 없이 사용하는 클리셰를 피하고자 선택하는 표현들 역시 금세 또 하나의 클리셰가 된다

101


정부를 두는 것은 말을 소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유한 이들은 할 수 있으나

→ 딴님을 두려면 말을 두듯, 돈있는 이는 할 수 있으나

→ 뒷님을 두자면 말을 두듯, 돈이 있으면 할 수 있으나

203


그들이 원하는 사회적 성공이라면 물론 오로지 돈으로만 거머쥘 수 있는 종류의 성공이고

209


명성은 순식간에 쏟아지듯 밀려왔다

→ 이름값은 확 생겼다

→ 이름은 갑자기 치솟았다

3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룡 제네릭 로맨스 2 - S코믹스 S코믹스
마유즈키 준 지음, 김현주 옮김 / ㈜소미미디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만화책 2024.5.19.

까칠읽기 6


《구룡 제네릭 로맨스 2》

 마유즈키 준

 김현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1.10.6.



《구룡 제네릭 로맨스 2》(마유즈키 준/김현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1)을 읽은 지 한참 지났다. 첫걸음을 읽으면서 굳이 두걸음을 읽어야 할까 여겼으나, 두걸음을 읽었고, 석걸음부터는 애써 더 읽지 말자는 쪽으로 마음을 굳힌다. 못 그린 줄거리는 아니라고 본다만, 이제 사라진 홍콩 ‘구룡성’을 그리고픈 마음에 기대어 얼기설기 짜맞추는 틀이 썩 와닿지 않았다. 그림님은 개미굴에서 살아 보았을까? 꼭 살아 보았어야 그림으로 담아야 하지 않을 테고, 살아 보았더라도 누구나 다르게 바라보고 담아내겠지. 큰소리뿐 아니라 작은소리마저 위밑옆에서 끝없이 스미는 다닥집은 ‘만화하고 다르’다. 어쩌면 구룡성 같은 다닥집살이야말로 ‘만화 같다’고 할 수 있겠지.


ㅅㄴㄹ


#九龍ジェネリックロマンス #眉月じゅん


가게 개척은 당신 혼자 마음대로

→ 가게찾기는 그대 혼자 마음대로

→ 가게둟기는 너 혼자 마음대로

8


섣불리 진실을 말하지 않는 것도 납득이 되지

→ 섣불리 곧이 말하지 않을 만하지

→ 섣불리 속내를 말하지 않을 만하지

51


자연스럽게 레이코가 각성하는 걸 기다리는 편이 좋지

→ 부드럽게 레이코가 깨어나기를 기다리지

→ 가만히 레이코가 눈뜨기를 기다려야지

51


그럼 나안으로만 검사하겠습니다

→ 그럼 맨눈으로만 보겠습니다

87


안티에이징은 여러 코스가 있네

→ 안늙기는 여러 길이 있네

→ 젊음길은 여러 갈래가 있네

→ 

140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월의 라이온 15
우미노 치카 지음, 서현아 옮김 / 시리얼(학산문화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4.5.19.

이제는 말하고 싶어서


《3월의 라이온 15》

 우미노 치카

 서현아 옮김

 시리얼

 2020.6.25.



  누구나 보금자리를 일구어 호젓이 살았습니다. 보금자리는 사랑으로 짓게 마련이고, 이 사랑빛이 감돌아 둘레를 환하게 비추면, 둘레 뭇숨결도 사랑물결을 나란히 받으면서 즐겁습니다.


  언제나 살림을 새롭게 짓기에 집입니다. 지붕만 씌워서 비바람을 가린대서 집이라 하지 않습니다. 손수짓기에 새로짓기에 살림짓기가 어우러지면서 함께짓기를 누리고 나누어 물려주는 터전이라서 집입니다.


  한 가지만 잘 하는 사람이란 없습니다. 한 가지조차 못 하는 사람도 없습니다. 왜 그럴까요? 우리는 “잘 하려고 태어나지 않”거든요. 잘 하거나 못 하는 삶이 아닌, “사랑으로 하려는 삶”입니다.


  《3월의 라이온 15》(우미노 치카/서현아 옮김, 시리얼, 2020)을 돌아봅니다. 열다섯걸음에 이르기까지 이리 치이고 저리 부딪히는 마음과 하루였다면, 열다섯 자락에 이르자 비로소 말길을 트려는 몸짓이 처음으로 불거집니다. 앞선 열넉걸음이 부질없지는 않아요. 그저 너무 돌고돌았습니다. 좀 돌고돌다가 이곳에 이를 수 있되, 잔가지라 여길 샛길로 자꾸 빠졌구나 싶더군요.


  모든 큰틀은 늘 매한가지예요. 사랑으로 하느냐, 사랑이 없이 하느냐, 이 둘로 가릅니다. 사랑으로 하는 사람은 어느 일을 마주하더라도 안 어렵습니다. 낯선 일에 맞닥뜨릴 적마다 반짝반짝 눈을 밝혀서 새롭게 한 발짝을 내딛습니다. 남이 보기에는 버겁거나 지칠 만한 일이라 하더라도, 스스로 보기에는 즐겁게 살림을 지으면서 보금자리를 이루는 나날이게 마련입니다.


  누가 더 짊어지지 않습니다. 누가 더 무겁지 않습니다. 다 다르게 짊어지면서 배우는 삶입니다. 다 다르게 짓고 지면서 집을 이루는 하루입니다. 이 대목을 문득 알아본다면, 모든 사람이 이웃이요 동무입니다. 이 대목을 끝까지 등돌리려 한다면, 눈앞에 있는 누구나 미우면서 싸워서 이기거나 무너뜨려야 할 놈입니다.


  《3월의 라이온》은 얼핏 외톨이라고 스스로 여기는 아이가 한켠에 있습니다. 복닥거리는 집안을 이루는 아이들이 한켠에 있습니다. 여러 갈래에 갈마드는 사람들이 한켠에 있습니다. 치고받는 싸움판 같은 곳에서 온힘을 쥐어짜는 사람들이 한켠에 있습니다. 다 다른 사람들은 다 다르게 하루를 살면서 눈을 떠 보려고 합니다. 이쪽이 나으려나 재고, 저쪽이 좋으려나 어림합니다. 이러다가 이쪽도 저쪽도 아닌 “그래, 내가 갈 길은 언제나 사랑 한 가지야!” 하고 깨닫고는 기운을 스스로 내어 일어납니다.


  이제는 말하고 싶은 마음인 아이는, 이제는 제대로 보려고 눈을 뜨는 하루입니다. 이제는 제대로 보려고 하기에, 이제부터 제대로 말할 마음이 샘솟습니다. 이제는 두런두런 말꽃을 피우고, 이제부터 온마음을 다하여 즐겁게 사랑으로 이루는 보금자리를 그립니다.


  누구처럼 해야 하지 않아요. 누구 못지않게 해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누구를 닮아야 할 일도, 누구랑 다르게 해야 할 일도 없습니다. 그저 내가 나로서 나부터 고스란히 마주하면서 넋을 바라보려는 숨결을 읽으면 넉넉합니다. 첫걸음을 떼고서 다시 뒷걸음을 쳐도 됩니다. 이제는 첫걸음을 떼었거든요.


ㅅㄴㄹ


#3月のライオン #羽海野チカ


“하, 한 번도 ‘좋아’한다는 말을 들은 적도 없었고.” (24쪽)


“그렇구나! 마음으로는 언제나 수도 없이 해왔기 때문에, 이미 다 전한 기분이었는데. 생각해 보니, 말로 한 적은 없었어!” (25쪽)


‘이 시간을 이 공기와 함께 이대로 전부! 셀로판지에 감싸서 간직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 밤이었다.’ (28쪽)


‘그 후로 나는 책을 읽었습니다. 신인들의 수기며 자서전을요. 괴로울 때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극복했는지. 선배들의 말이 심금을 울립니다. 어느 선생님도 멋지게 마음의 키를 잡아 파도를 넘어갑니다. 넘어가지 못한 사람의 수기는 책으로 나오지 않으니까요.’ (47쪽)


‘조용하구나. 그래, 이 안에 답은 이미 없는 거구나? 그렇다면.’ (75쪽)


‘대국에 너무 집중한 후에는, 여기 있는데도 없는 듯한 기분이 들고, 디딘 지면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경계가 없어져서, 이대로 내 몸마저 사라지는 것 같다.’ (91쪽)


‘그리고 다시금 나는 깨닫는다. ‘자기’ 생각에만 빠져서 스스로 버거워 허덕이는 ‘자기’를, 자기의 작은 짐을 ‘너무너무 무겁다’고 믿어 의심치 않으며, ‘나는 이렇게 애쓰고 있다’는 주문을 부적처럼 되풀이하고, 그러다가 ‘자기 외의 무게’마저 짊어지고 애쓰는 사람의 모습을 보고, ‘내 짐은 100% 내 거였잖아!’, 게다가 ‘큰 줄 알았는데 작았어’ 하고 깨달아 부끄러워하기도 하고. 그런 사람을 상대로 이렇게 형편없는 장기를 두다니. 실례도 정도가 있지.’ (122쪽)


+


그걸 그야말로 복기하고 복기하고 또 복기했다

→ 이를 그야말로 되새기고 되새기고 또 되새겼다

→ 이를 그야말로 되짚고

→ 이를 그야말로 돌아보고

56쪽


하지만 최단거리는 누구나 가고 싶어하는 길이기에 복잡하고 밀리는 데다 그 길에는 누구나 갖고 있는 것밖에 없다

→ 그러나 지름길은 누구나 가고 싶어하기에 어지럽고 밀리는 데다 지름길에는 누구나 있는 살림밖에 없다

→ 그러나 빠른길은 누구나 가고 싶어하기에 북적대고 밀리는 데다 빠른길에는 누구나 똑같은 살림만 있다

69쪽


대국에 너무 집중한 후에는, 여기 있는데도 없는 듯한 기분이 들고, 디딘 지면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 맞두기에 힘을 쏟으면, 여기 있는데도 없는 듯하고, 디딘 땅을 못 느낀다

→ 맞자리에 힘을 빼면, 여기 있는데도 없는 듯하고, 디딘 땅바닥를 못 느낀다

91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 (單行本)
ジョンソン 祥子 지음 / 新潮社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5.18.

사진책시렁 146


《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

 ジョンソン祥子

 新潮社

 2013.5.30.



  누구나 다 다르게 말을 합니다. 우리는 우리말을 쓰고, 이웃나라 사람은 이웃말을 씁니다. 어른은 어른말을 쓸 테고, 아이는 아이말을 써요. 서울에서는 서울말이 흐르고, 시골에서는 시골말이 감돕니다. 팔랑이는 나비는 나비말을 합니다. 윙윙대는 벌은 벌말을 합니다. 볼볼 기는 개미는 개미말을 하지요. 나뭇잎은 잎말을 하고, 꽃은 꽃말을 하는데, 나무로서는 나무말을 하고, 풀로서는 풀말을 합니다. 서로 마음을 열면 어떤 마음인지 알아차립니다. ‘말 = 마음소리’인 터라, 마음을 바로 마음으로 받아들일 적에는 환하게 웃음지으면서 이웃이며 동무로 어울려요. 《ことばはいらない, Maru in Michigan》은 아이하고 개가 어떻게 동무로 어우러지는가를 곧잘 찰칵 옮겨서 보여줍니다. 빛님은 둘이 어우러지는 나날을 2013∼2015년 사이에 넉 자락으로 선보입니다. 아이는 스스럼없이 놀고, 개도 곁에서 기쁘게 놀아요. 다만, 둘은 아이일 적뿐 아니라 푸름이를 지나 어른으로 피어날 적에도 스스럼없이 놀 만해요. 그리고, ‘그냥 놀이’를 넘어서 ‘소꿉놀이’를 맞아들일 만하고, ‘소꿉살림’을 거쳐서 ‘보금살림’으로 나아가겠지요. 이러한 길을 하나하나 오래도록 들여다보는 눈길일 수 있기를 바랍니다. 오늘만 찍고 끝날 일은 없거든요.


#존슨사치코 #말은없어도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일이야, 우리 가족
오인숙 지음 / 컬처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빛꽃 / 사진비평 2024.5.18.

사진책시렁 118


《별일이야, 우리 가족》

 오인숙

 컬처북스

 2020.4.28.



  누구나 무럭무럭 자랍니다. 어린이는 어린 몸과 마음을 차곡차곡 가꾸면서 자랍니다. 어른은 어린 나날을 거친 몸과 마음에 새롭게 담는 꿈과 길을 하나씩 일구면서 자랍니다. 어린이하고 어른은 서로 손을 잡고 나란히 걸어가는 하루를 지내면서 새삼스레 자랍니다. 함께 자라나는 보금자리라는 얼거리를 바라볼 적에는 누구나 환하게 놀고 노래하면서 이야기합니다. 이 얼거리를 미처 못 보거나 잊을 적에는 그만 늙으면서 몸과 마음이 졸아들어요. 《별일이야, 우리 가족》은 천천히 자라고 싶은 마음과 새롭게 자라고 싶은 마음을 나란히 바라보려는 여러 눈길과 목소리를 들려줍니다. 아이는 예쁘게 태어나야 하지 않고, 어버이는 멋지게 일해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사랑받으면서 즐거이 자라고, 어버이는 사랑하면서 기쁘게 자랍니다. 오늘을 찰칵 담는 한 자락은 “오늘까지 자란 발자취”입니다. 이튿날 담을 한 자락은 “오늘부터 자랄 발걸음”입니다. 살림길이란, 한집안을 이룬 사람이 두런두런 나누는 말이 씨앗처럼 자라면서 깨어납니다. 빛길이란, 이런 틀이나 저런 틀이 아닌, “살림하는 눈으로 바라보면서 새롭게 짓는 하루”입니다. 눈과 손에서 ‘멋’을 뺄 적에 빛꽃 한 자락이 즐거우면서 아름답게 ‘살림’으로 갑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