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7 길에서



  어디를 가더라도 길에서 그야말로 한참 보냅니다. 전남 고흥에서 가장 가까운 순천 마을책집으로 가려 해도 길에서 두어 시간을 들이고, 서울라면 예닐곱 시간을, 부산·부천·인천·수원이라면 일고여덟 시간을, 대구라면 여덟아홉 시간을, 광주라면 너덧 시간을, 장흥·벌교라면 서너 시간을, 진주·전주라면 대여섯 시간을, 강릉·구미로 갈 적에는 열한 시간을, 영양으로 갈 적에는 열두어 시간을, 포항·음성·원주·청주로 갈 적에는 열 시간을, 넉넉히 길에서 씁니다. 큰고장에서 산다면 길에서 이렇게 어마어마하게 하루를 쏟지는 않으리라 봅니다만, 시골에서 살기에 여느 때에 느긋하게 풀꽃나무하고 해바람비를 맞이하고 누려요. 예전에는 길에서 책만 읽었으나, 아이들이 곁에 오고 나서는 아이들한테 주고 이웃님한테 건넬 노래꽃(동시)을 쓰고, 요새는 꽃글(동화)을 함께 씁니다. 뭐, 그렇지요. 고흥서 서울을 다녀오자면 길에서 열서너 시간을 보내는데, 이동안 낮잠도 누리고 책도 읽고 노래도 듣고 글도 쓰고 생각에 잠겨요. 여느 때에 하지 못한 손전화 쪽글도 이때에 몰아서 보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길을 오가며 들꽃 곁에 쪼그려앉거나 나무 곁에 서서 소근소근 말을 걸고, 두 팔을 하늘로 뻗어 바람을 주무르기도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3.4. 나누는 나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누구나 모든 일을 한 사람 기운으로 합니다. 다만, 하나이되 함께인 기운입니다. 우리는 다 다른 삶을 저마다 새롭게 지으려고 다 다른 몸을 입고서 이 별에 태어났고, 다 다른 몸에 다 다른 마음이 깃듭니다. 겉으로도 다르게 생겼고, 말소리도 다르며, 마음빛도 다른데다가, 이루려는 꿈이 다릅니다.


  그런데 다 다른 사람들은 저마다 제(하나) 기운으로 일어서서 스스로 하루를 짓되, 이 다 다른 하나인 사람들이 모여서 푸른별을 이루었고, 푸른별에서 뭍하고 바다로 나누었고, 들숲바다에 시골서울로 또 나누었으며, 고을에 고장에 마을로 나누다가, 조그맣게 보금자리로 더 나누었어요.


  굳이 나누지 않더라도 다 다른 숨결인데, 이처럼 나누어야 ‘나’를 느낄 수 있을까요? ‘나’를 보고 느끼고 알고 배우려고 ‘너’를 바라보면서 ‘나’를 다시금 들여다볼는지 모릅니다.


  “숲노래 책숲”이 언제 비롯했는지 뚜렷하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2019년에 《우리말 글쓰기 사전》을 내놓느라 글을 여미면서, ‘이미 열 살 무렵’에 혼자 천자문을 익히고 한문을 배우고 그때 국어사전·옥편을 통째로 외우다시피 읽으며 ‘말더듬이로 놀림받는 말씨’를 추스르며 이 길에 들어섰습니다. 여덟 살에 어린배움터에 처음 들어가며 ‘말더듬이’를 놀림받은 일도 빌미였다고 여길 만합니다. 말더듬이에 혀짤배기가 안 더듬고서 혀를 놀릴 말은 ‘한자도 영어도 아닌, 가장 수수하며 쉬운 우리말’이었거든요.


  푸른배움터를 다니던 열일곱∼열아홉 살에 국어사전을 다시 두 벌 통째로 읽었고, 열린배움터에 들어갔다가 그만두면서 혼자 국어국문학 책을 샅샅이 뒤지고, 우리나라 낱말책을 다 찾아서 읽다가 1994년부터 혼책(독립출판물)을 냈어요. “숲노래 책숲”은 2007년 4월 15일에 인천 배다리에서 처음 열었되, ‘책숲종이(도서관 소식지)’는 1994년부터 이미 냈어요.


  지난 2022년 12월에 셈틀이 맛가느라 예전 셈틀에 깃든 글·사진은 통째로 잠들었는데, 가만 보니, 그동안 해온 일을 스스로 너무 밀쳐놓았다고 느껴요. 여태 낸 ‘책숲종이’를 헤아려 ‘1001’부터 새로 하려고 생각합니다. 이제 ‘즈믄 + 첫’ 걸음입니다. 1994년부터 혼책으로 내놓은 책숲종이를 다 잊으려 했는데, 구태여 ‘잊기’보다는 ‘잇기’를 해야겠다고 여겨, 그동안 낸 책숲종이를 어림해 보고서 매기는 ‘1001’입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3.2.24. 심다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낱말풀이를 할 적에는 낱말 하나가 막히면, 잇달아 100이나 200뿐 아니라 1000이나 2000이 줄줄이 막힙니다. 이럴 적에는 어떻게 하느냐 하면 손을 놓습니다. “이 낱말을 풀이하려면 더 살아내고 살펴보고 생각하면서 둘레를 느껴야 하는구나.” 하고 받아들입니다.


  낱말책을 짓는 사람한테는 마감이 없습니다. 마감을 세워도 안 됩니다. 배우고 익히고 갈고닦아서 “자, 이제 물처럼 술술 흘러나오는구나!” 하고 느끼는 날까지 가만히 볼 뿐입니다. 갓난아기가 목을 가누고 뒤집고 기고 서고 걷는 결을 다그칠 수 있나요? 그저 사랑으로 지켜보고 바라볼 뿐이에요. 낱말 하나를 풀이할 적에도 ‘아직 뜻풀이를 못 하겠다’면 ‘이 낱말하고 얽힌 삶·살림’이 어떤 실마리인지 다 모른다는 뜻입니다.


  뜻풀이란, 삶을 풀어냈을 적에 저절로 해내는 길입니다. 글쓰기도 이와 같아요. 부디 억지로 글을 쓰지 맙시다. 스스로 오늘 하루를 사랑으로 살아내는 살림꽃을 피우면 언제 어디에서나 글은 빗물처럼 내리고 눈송이처럼 퍼붓습니다.


  쉬우면서 수수한 우리말 ‘몸·모습·모·목’이 서로 어떻게 얽히는가 하는 실마리를 어제 낮에 드디어 매듭을 지었습니다. 다른 낱말도 그렇지만, 실마리를 다 풀고 나면 “뭐, 아무것도 아니었구나.” 하고 느껴요. 이제 앞으로 두 낱말을 더 풀어내고서 철수와영희 펴냄터로 《삶말 꾸러미》를 넘기려 하는데, 하나는 ‘심다’이고, 둘은 ‘자리’입니다.


  우리말 ‘심다’랑 ‘심’은 늘 맞물릴밖에 없어요. 어떤 이는 곧잘 한자 ‘心’을 붙이곤 하지만, 우리 살림살이를 두루 볼 적에 ‘새알심’이나 ‘소매심’이 한자 ‘心’일 수는 없습니다. 풀줄기나 나무줄기 속에 깃든 ‘심’도 ‘心’이 아닙니다. 우리는 ‘모싯심·삼심’에서 ‘실’을 얻어요. 속을 이루는 든든하면서 아늑한 한복판이기에 ‘심’이고, 이 심을 풀어서 새롭게 엮고 짓는 길로 삼기에 ‘실’입니다.


  눈치가 빠르다든지, 시골에 사는 분이라면 이미 알 텐데, 우리말 ‘심’은 ‘힘’하고 같은 낱말입니다. ‘심 = 힘’입니다. 그러니 ‘나무심기·씨앗심기’를 할 수 있어요. ‘심줄 = 힘줄’이요, 이 얼거리인 터라 ‘실’은 그토록 가늘고 길면서도 날실씨실로 엮어서 든든하고 포근한 옷으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ㅅㄴㄹ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2018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6 읽는 눈길



  살아온 숨결대로 읽고, 살아가려는 숨빛대로 읽습니다. 이제껏 살아온 걸음을 돌아보면서 읽고, 앞으로 살아갈 걸음을 헤아리면서 읽습니다. ‘꾼글(전문가 비평)’은 거의 ‘이웃나라 눈길(서양 이론)’에 맞추어 재거나 따집니다. 꾼글에는 “읽는 눈길”이 없다시피 합니다. 모든 사람은 삶이 다르고 살림이 새롭게 마련이지만, 꾼글에는 꾼 스스로 다르면서 새롭게 살아가거나 살림하는 마음이 흐르지 않더군요.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라면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 눈”으로 읽고 쓰고 말하면 됩니다. 아이는 없이 즐거이 살아가는 어른이라면 “아이 없이 즐거이 사는 어른 눈”으로 읽고 쓰고 말하면 돼요. 서울에서는 서울 눈길로, 시골에서는 시골 눈길로 읽을 노릇입니다. 인천은 인천 눈길로, 대전은 대전 눈길로 읽으면 넉넉해요. “내 마음대로 읽으면 안 되지 않나요?” 하고 걱정하는 분이 참 많습니다만, “저마다 사랑이라는 마음으로 즐겁게 읽을 길”이라고 생각해요. “그냥 내 마음대로”가 아닌 “사랑이라는 내 마음으로” 읽습니다. “그냥 내 멋대로”가 아닌 “즐겁게 사랑하는 내 멋으로” 읽어요. 아이는 읽고, 어른은 어른으로서, 어버이는 어버이로서 읽습니다. 우리는 우리 눈빛을 밝힐 적에 스스로 눈부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65 읽는 마음



  모든 사람은 다릅니다. 똑같은 사람뿐이라면 글을 쓰거나 말을 할 까닭이 없고, 책을 내거나 읽거나 옮길 까닭이 없습니다. 모든 사람은 다르니, ‘똑같은 책을 나란히 읽더라’도 ‘모든 사람이 다 다르게 바라보고 느끼고 받아들입’니다. 모든 사람이 어느 책 하나를 똑같이 읽고 받아들이고 생각해야 할까요? 다 똑같이 ‘울컥(감동)’해야 한다고 여기면, 이는 짓밟기(폭력)라고 여깁니다. 푸름이(청소년)한테 똑같은 머리카락·옷차림을 시키는 짓은 하나도 어른스럽지 않습니다. 깡똥치마를 두르든 깡똥바지를 꿰든 긴치마나 긴바지를 입든 푸름이 스스로 고를 노릇입니다. 사람하고 사람으로서 겉모습이나 옷차림이 아닌 마음빛으로 마주하고 바라보면서 만날 노릇입니다. ‘읽는 눈길’은 누구나 틀림없이 다르지만 ‘읽는 마음’은 외려 똑같습니다. 왜 똑같을까요? ‘글쓴이(책쓴이)가 남기거나 들려주려는 사랑을 읽으려는 마음’이 똑같습니다. 다만, 글쓴이가 들려주는 사랑은 ‘누구나 다 다르게 읽’되 ‘사랑을 읽으려는 마음이 같다’는 소리입니다.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르게 살아가다가 어느 날 문득 ‘똑같은 책’에 눈이 꽂혀서 즐겁게 읽은 뒤에 나눌 말이란 ‘똑같’을 수 없습니다. ‘읽는 삶’이 다르니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