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을 선물하는 책읽기

 


  고흥을 나서면서 감 한 꾸러미를 장만한다. 지난해를 헤아리면 올해 감값은 살짝 올랐다 할 텐데, 서울에서 사람들이 사다 먹을 감값을 헤아리면 아주 싸다. 게다가 마을 감나무에서 딴 감이니, ‘어디에서 누가 어떻게 길러서 딴’ 감인지 또렷하게 알 수 있기도 하다. 흔한 말로 ‘그냥 국내산’이 아니라 ‘우리 마을 예쁜 감’이다. 지난해에는 유자나 석류나 참다래를 들고 나와서 다른 고을 이웃한테 선물해 보곤 했는데, 유자나 석류나 참다래를 받은 분들 낯빛이 그닥 ‘반갑다’고 느끼기 힘들었다. 아무래도, 차를 달여 마시도록 잘게 썰어 말려서 달게 재운 유자가 아닌, 돌멩이처럼 단단한 울퉁불퉁 유자 열매일 때에는, ‘나더러 이를 어쩌라구?’ 하는 느낌이랄까. 그러고 보면, 참다래쯤은 사람들이 가끔 사다 먹는다 하더라도, 석류를 애써 사다 먹는 사람은 드물다. 가게에서 ‘석류 이름을 갖다 붙인 어설픈 음료수’를 사다 마시는 사람은 있지만, 정작 ‘참 석류’를 사다가 손수 짜서 ‘참 석류맛’을 느끼려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고흥을 나서는 길에 감 한 꾸러미를 낑낑 짊어지면서 생각에 잠긴다. 내가 고흥으로 들어와 살기 앞서, 아직 인천에서 살던 때, 또 충북 음성에서 살던 때, 따로 ‘감을 사다 먹은’ 일은 드물다. 음성에서는 집 언저리 감나무에서 감을 따다 먹기는 했지만, 굳이 감을 틈틈이 한 꾸러미씩 사다가 섬돌에 올려놓고는 하루에 몇 알씩 우걱우걱 껍질째 씹어먹지는 않았다. 생각해 보니, 인천에서든 음성에서든 바나나를 꽤 자주 사다 먹었고, 능금이라든지 배라든지 귤을 곧잘 사다 먹었구나 싶다.


  문득 돌아보면, 도시사람은 감을 잘 안 사다 먹는다. 마당을 두어 감나무를 키워 먹는 이도 아주 적다. 도시사람 가운데 ‘마당 있는 집’에서 살고프다 생각하는 사람이 가끔 있기는 있되, ‘마당 있는 집’을 장만해서 살자면 어떻게 해야 즐거울는지 찬찬히 살피며 이 삶길을 씩씩하게 걷는 사람은 참으로 적다. 그러니까, 집에 열매나무 한두 그루 심어서, 열매나무를 손수 거두는 사랑과 꿈을 키우지 못한다. 언제나 열매를 가게나 길거리에서 사다가 먹을 뿐이다. 누가 어떤 마음으로 어떻게 일군 열매나무인가를 생각하지 않는다. 어떤 시골에서 어떤 햇살과 바람과 빗물을 먹으면서 자란 열매나무에 맺힌 꽃이 지면서 돋는 열매인가를 생각하지 않는다.


  내 얘기부터 하자면, 나는 인천에서 살던 때, 석류꽃이든 감꽃이든 배꽃이든 능금꽃이든 거의 못 보았다. 골목마실을 하면서 이웃집 마당 한켠에서 자라나며 피는 석류꽃이랑 감꽃이랑 배꽃이랑 능금꽃이랑 호두꽃이랑 밤꽃이랑 탱자꽃이랑 대추꽃이랑 …… 애써 찾아다니며 사진으로 찍기는 했지만, 내 삶으로 살포시 스며들기는 못했다. 옆지기가 꿈꾸는 결을 살펴서 시골로 삶터를 옮겨 아이들과 시골살이를 누리는 동안 천천히 깨닫는다. 나 또한 마음속 깊이 시골살이를 바랐고, 시골에서 살아가며 내 넋이랑 눈이랑 빛이 차츰 환하게 트는구나 싶다. 이러면서 들꽃과 나무꽃을 예쁘게 들여다보는 눈썰미를 키운다. 들꽃과 나무꽃을 예쁘게 들여다보는 아버지 곁에서 아이들도 들꽃이랑 나무꽃을 예쁘게 들여다본다. 그래, 그렇구나, 아버지부터 스스로 예쁘게 살면, 아이들은 스스로 야물딱지게 예쁜 손길을 북돋우는구나. 예쁜 어버이와 예쁜 아이이지, 어버이는 못난 길을 거닐면서 아이들만 예쁘라 바랄 수 없구나.


  인천에서 지내는 이웃들을 한 사람씩 만나며 감을 열 알씩 선물한다. 감알 열을 찬찬히 내려놓으며 내 가방은 가벼워진다. 헌책방 일꾼들한테, 마을사진관 지기한테, 옛 단골 튀김닭집 아저씨한테, 우리 형한테, 감 열 알씩 선물한다. 우리 형은 감을 무척 좋아하고 잘 먹는단다. 그랬나? 그렇구나. 형과 동생 사이인데, 어쩜 처음 알았네. 고흥으로 돌아가면 형네 집에 감 한 꾸러미를 부쳐야겠네. 이제 스무 알 남은 감을 몇 사람한테 더 선물할 수 있을까. 그래, 화평동 그림할머니한테 찾아가 열 알을 드려야지. 그리고 열 알은? 음, 열 알은 고흥으로 돌아가기까지 마주칠 분들한테 한 알씩 나누어 줄까. 달콤한 감맛과 상큼한 감내음과 맑은 감빛을 두루 즐길 수 있기를 빈다. 4345.12.1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열매껍질 눈송이 책읽기

 


  고흥 시골집에 처음 들어올 적, 이웃집 할머니들이 우리 집 텃밭에서 자라는 키 작은 나무를 가리켜 모두들 ‘산초나무’라고 했다. 그래서 나는 산초나무인가 보다 여겼다. 우리 집 자그마한 나무는 까만 열매 아닌 불그죽죽한 껍데기를 빻아서 쓴다고 한다. 그래서 어느 분은 이 나무를 보고는 산초 아닌 ‘제피’라거나 ‘초피’라고 말씀하는데, 다른 사람들이 인터넷에 올린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산초는 아닌 듯하고 초피나무하고 잎사귀 모양이 꼭 닮았다. 한 해 동안 산초라고 알았으나, 아무래도 초피가 맞으리라 느낀다. 헷갈려 하는 사람이 많다 하고, 잘못 아는 사람이 많다 한다. 고을마다 가리키는 이름이 다르다고도 한다.


  맨 처음 누가 이 나무한테 이름 몇 글자 붙여 주었을까 헤아려 본다. 어슷비슷하게 생긴 여러 나무를 바라보며 저마다 다른 이름을 붙여 주었을는지, 처음에는 한 가지 이름으로 뭉뚱그려 가리켰을는지 곱씹어 본다. 같은 쑥이든 민들레이든 진달래이든 냉이이든 명아주이든, 다 똑같이 생기지는 않는다. 토끼풀이건 괭이밥풀이건 똑같이 돋는 잎사귀란 없다. 그래서 이런 풀 저런 풀 갈래갈래 꼼꼼하게 새 이름을 붙여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언제부터 이 풀 저 풀 다 다르게 돋았을까. 맨 처음에도 다 다른 풀이 한꺼번에 돋았을까. 차츰차츰 다 다른 풀로 갈라졌을까. 곳과 철과 때에 맞추어 다 다른 풀이 저마다 돋았을까. 처음에는 다 같은 풀이 돋다가 시나브로 모습과 무늬와 냄새와 맛이 하나하나 달라졌을까.


  산초 아닌 초피로구나 싶은 나무에 맺힌 불그죽죽한 열매껍질에 내려앉은 눈송이를 물끄러미 바라보며 생각에 젖는다. 사람들은 먼먼 옛날 ‘맨 처음 사람’이 어떠했는가 하고 뼈다귀라든지 무언가에 기대어 뿌리를 캐거나 밝힌다고들 하는데, 풀 한 포기와 나무 한 그루가 언제 어떻게 태어나 어떻게 갈라졌는가를 밝힐 수 있거나 헤아릴 수 있는 사람은 있을까. 생각해 보는 사람은 있을까. 알아보거나 돌아보면서, 오늘날 우리를 둘러싼 풀과 나무 한살이와 죽살이를 톺아보는 사람은 있는가. 4345.1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꽃바지 첫째 책읽기

 


  혼자서 마음껏 옷을 벗고 입을 수 있는 첫째는 제 눈에 어여뻐 보이는 옷을 골라서 입곤 한다. 빨래하는 차례에 따라 다른 옷을 입히려 해도, 굳이 차례를 벗어나 입으려 하는 옷이 있다. 그럴 수 있겠지. 꽃무늬 새겨진 바지는 아이가 옷집에서 스스로 골라 장만한 옷이니, 다른 옷보다 꽃무늬 바지를 즐겨입고 싶어 할 만하다. 먼먼 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날, 빈집에 닿은 책꾸러미를 끌러 첫째한테 그림책 하나 내미니, 꽃무늬 무늬가 드러나도록 쪼그려앉아서 펼쳐 스스로 이야기를 꾸며 읽는다. 너도 바지도 그림책도, 또 머리에 꽂기까지 한 꽃모양 집게도 하나같이 예쁘구나. 4345.1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잠든 둘째 발가락 책읽기

 


  큰아이는 아직 작다. 작은아이는 큰아이보다 더 작다. 큰아이도 작은아이처럼 자그마한 발가락으로 씩씩하게 뛰고 걸으면서 하루를 개구지게 누렸다. 작은아이는 이 작은 발가락으로 튼튼하게 달리고 거닐면서 하루를 신나게 누린다. 나도 옆지기도 자그마한 발가락으로 태어나 작은 발가락으로 이 땅을 밟았고, 이제 아이들보다 커다란 발가락 되어 새삼스레 어버이로 살아간다. 두 아이를 무릎에 앉혀 그림책을 읽히다가 작은아이는 어머니 품으로 옮겨 잠들고, 큰아이는 스스로 재미를 불러일으키는 놀이를 즐긴다. 4345.1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놀이하듯 책읽기

 


  곧 여섯 살이 될 큰아이는 네 살이던 때, 어머니 옷을 놀이 삼아 입으면서 ‘치마’를 입는다고 말했다. 이제 큰아이는 굳이 어머니 옷을 놀이 삼아 입지 않는다. 제 옷이 한결 예쁘다고 생각하기도 할 테지만, 제 옷 가운데 치마가 많으니까.


  큰아이가 아직 네 살이요, 작은아이는 막 태어나서 이부자리에 드러누운 채 지내던 모습을 찍은 사진을 모처럼 들여다본다. 큰아이는 예나 이제나 늘 일찍 일어나고, 일찍 일어나서는 제 놀이를 찾는다. 양말을 꿰고 신을 신으며 마당에서 뛰놀기도 하지만, 이부자리에서 그림책을 집어들고 펼치기도 한다. 언제나 큰아이 마음대로 논다. 참말 책읽기란 마음이 갈 때에 할 수 있고, 마음이 움직이도록 손에 쥘 때에 가슴속으로 차곡차곡 스며든다. 놀이를 하듯 즐겁게 읽을 때에 푸른 꿈이 곱게 피어날 테고, 놀이처럼 삶으로 녹아들 적에 바야흐로 환한 넋 날갯짓하면서 무지개처럼 빛나리라. 4345.12.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