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껍질 눈송이 책읽기
고흥 시골집에 처음 들어올 적, 이웃집 할머니들이 우리 집 텃밭에서 자라는 키 작은 나무를 가리켜 모두들 ‘산초나무’라고 했다. 그래서 나는 산초나무인가 보다 여겼다. 우리 집 자그마한 나무는 까만 열매 아닌 불그죽죽한 껍데기를 빻아서 쓴다고 한다. 그래서 어느 분은 이 나무를 보고는 산초 아닌 ‘제피’라거나 ‘초피’라고 말씀하는데, 다른 사람들이 인터넷에 올린 사진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산초는 아닌 듯하고 초피나무하고 잎사귀 모양이 꼭 닮았다. 한 해 동안 산초라고 알았으나, 아무래도 초피가 맞으리라 느낀다. 헷갈려 하는 사람이 많다 하고, 잘못 아는 사람이 많다 한다. 고을마다 가리키는 이름이 다르다고도 한다.
맨 처음 누가 이 나무한테 이름 몇 글자 붙여 주었을까 헤아려 본다. 어슷비슷하게 생긴 여러 나무를 바라보며 저마다 다른 이름을 붙여 주었을는지, 처음에는 한 가지 이름으로 뭉뚱그려 가리켰을는지 곱씹어 본다. 같은 쑥이든 민들레이든 진달래이든 냉이이든 명아주이든, 다 똑같이 생기지는 않는다. 토끼풀이건 괭이밥풀이건 똑같이 돋는 잎사귀란 없다. 그래서 이런 풀 저런 풀 갈래갈래 꼼꼼하게 새 이름을 붙여 나누기도 한다.
그런데, 언제부터 이 풀 저 풀 다 다르게 돋았을까. 맨 처음에도 다 다른 풀이 한꺼번에 돋았을까. 차츰차츰 다 다른 풀로 갈라졌을까. 곳과 철과 때에 맞추어 다 다른 풀이 저마다 돋았을까. 처음에는 다 같은 풀이 돋다가 시나브로 모습과 무늬와 냄새와 맛이 하나하나 달라졌을까.
산초 아닌 초피로구나 싶은 나무에 맺힌 불그죽죽한 열매껍질에 내려앉은 눈송이를 물끄러미 바라보며 생각에 젖는다. 사람들은 먼먼 옛날 ‘맨 처음 사람’이 어떠했는가 하고 뼈다귀라든지 무언가에 기대어 뿌리를 캐거나 밝힌다고들 하는데, 풀 한 포기와 나무 한 그루가 언제 어떻게 태어나 어떻게 갈라졌는가를 밝힐 수 있거나 헤아릴 수 있는 사람은 있을까. 생각해 보는 사람은 있을까. 알아보거나 돌아보면서, 오늘날 우리를 둘러싼 풀과 나무 한살이와 죽살이를 톺아보는 사람은 있는가. 4345.12.9.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