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

책숲하루 2025.4.23. 아찔하게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국어사전 짓는 서재도서관)

: 우리말 배움터 + 책살림터 + 숲놀이터



  4월 19일에 부산으로 이야기마실을 떠났고, 4월 21일에 부산서 대구를 거쳐 서울로 간 뒤에, 4월 22일 아침에 이야기꽃을 펴고서 이날 14:40 버스를 타고서 밤에 고흥으로 돌아왔습니다. 밖에서 보내는 나흘이란, 쉬거나 잠들지 않으면서 움직이는 길입니다. 그런데 고흥집에 돌아온 저한테 고흥교육지원청에서 글자락을 보내었고, 바로 이튿날 나래터로 가서 ‘폐교임대신청서’를 손글씨로 적어서 내야 하더군요. 그나마 고흥집에서 네 시간쯤 딱딱한 나무바닥에 등허리를 펴고서 누우니 살짝 개운했고, 4월 23일 한낮에 아주 낡아 몹시 덜컹거리는 시골버스를 타고서 고흥읍으로 갑니다. 한참 걸으며 이모저모 꾸린 뒤에 고흥교육지원청에 글자락을 보냈고, 큰아이가 바란 고기빵(햄버거)에 곁님이 바란 신물(식초)를 장만해서 집으로 돌아온 저녁에는 그야말로 눈이 감기다 못해 쓰러질 판입니다.


  곁님은 제가 집으로 돌아오기만 기다린 듯싶습니다. 짐을 내리고서 발을 씻으려 하니, “그러니까 spirit과 soul을 우리말로 어떻게 옮겨야 해요?” 하고 묻습니다. 우리 낱말책은 우리말을 제대로 못 다룹니다. 그런데 영어 낱말책도 ‘spirit·soul’을 어떻게 풀이해야 하는지 모르는구나 싶어요. 다만, 지치고 졸린 몸으로 곁님한테 두 낱말을 옮기는 이야기를 들려줄 수 없을 텐데 하고 속으로 혼잣말을 하자니, 마음으로 어떤 목소리가 들립니다. “네 몸이 졸립거나 힘들대서, ‘네’가 졸립거나 힘들지 않잖아?”


  그야말로 참말입니다. ‘내 몸’이 힘들거나 아프거나 졸립거나 지친다고 느끼더라도 ‘나’라는 넋과 얼과 빛과 숨이나 마음이 힘들거나 아프거나 졸립거나 지칠 수 없습니다. ‘내 몸’은 살덩이라는 옷을 입고서 삶을 겪어서 배우는 구실입니다. ‘내 몸’은 어느 때에 힘들다거나 아프다거나 졸립다거나 지친다거나 심심하다거나 지겹다거나 골난다거나 싫다거나 좋다거나 밉다거나 괴롭다거나 어찌저찌하다고 느끼면서, 다 다른 때와 곳마다 다 다른 삶과 하루를 배웁니다.


  그러나 ‘나’는 ‘몸’이 아닙니다. ‘나’는 ‘몸’을 입을 뿐, “몸은 나일 수 없”습니다. 내가 마주하는 ‘너’도 마찬가지예요. 나도 너도 ‘몸’은 나와 네가 아닙니다. 우리는 서로 넋으로 마주하고, 얼로 헤아리고, 빛으로 주고받고, 숨으로 나누고, 마음으로 생각합니다.


  더없이 졸립고 지친 터라 ‘몸뚱이 아닌 숨빛’으로만 곁님하고 마주하면서 한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곁님은 끝없이 묻고 새로 묻습니다. 저는 끝없이 대꾸하고 들려주고 보탭니다. ‘낱말그림’까지 큼직하게 그리면서 하나하나 짚고, 어떻게 다른 결이면서, 어떻게 우리말로 옮겨서, 어떻게 아이곁에서 우리 스스로 배우며 익히는 길을 풀어낼 적에 ‘깨닫는 오늘’로 걸어갈 수 있는지 속삭입니다.


  드디어 곁님이 궁금한 곳을 다 푼 듯싶습니다. 바야흐로 드러누울 수 있습니다. 나뭇바닥에 몸을 눕히고서 눈을 감으니 곧장 꿈누리로 날아갑니다. 다섯 시간을 죽은 듯이 잠들고서 개구리소리에 깨어납니다.


ㅍㄹㄴ


*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 짓는 일에 길동무 하기

http://blog.naver.com/hbooklove/28525158


*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 지기(최종규)가 쓴 책을 즐거이 장만해 주셔도 새로운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짓는 길을 아름답게 도울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