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88 꽃샘



  ‘꽃샘’은 이른봄에 꽃이 필 무렵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는 모습을 가리키는 낱말이라고 합니다. ‘꽃샘추위’라는 낱말도 함께 씁니다. ‘꽃 + 샘’이고, “꽃을 샘하다”를 가리키는 얼거리입니다. 이 얼거리에 따라 ‘책샘’이라든지 ‘밥샘’이라든지 ‘일샘’이라든지 ‘잔치샘’ 같은 낱말도 쓸 만하리라 느낍니다. 무엇을 샘한다고 하면 ‘(무엇) + 샘’처럼 쓸 수 있겠지요.


  그러면, 꽃샘바람이 불고 꽃샘추위가 다가오는 이른봄은 어떤 철일는지 헤아려 봅니다. 이른봄에 땅은 어떻게 달라지고, 꽃이나 겨울눈은 어떻게 바뀌는지 찬찬히 돌아봅니다.


  겨울이 저물면서 따사롭게 바람이 불면 들과 숲마다 푸릇푸릇 새싹이 돋습니다. 새싹은 겨울 끝자락부터 돋습니다. 한겨울에도 볕이 포근하면 딱딱한 땅을 뚫고 어느새 풀싹이 돋습니다. 동백꽃은 한겨울에도 꽃송이를 터뜨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아직 겨울이 다 가시지 않은 때에 돋는 풀싹은 다시 겨울바람이 차갑게 불면 거의 다 시들시들 떨면서 옹크립니다. 일찍 돋은 풀싹은 잎 끝이 싯누렇게 마르기도 해요. 그런데, 이무렵 돋는 냉이나 씀바귀를 나물로 삼습니다. 달래나물도 이무렵에 캐서 먹습니다. 아직 추위가 흐르는 철에 봄나물이자 ‘늦겨울나물’을 먹어요.


  꽃샘바람은 꽃을 샘하는 바람입니다. 틀림없습니다. 그런데, 꽃을 샘하는 바람이 불기에 꽃은 더 기운을 내고, 겨울눈도 새롭게 기운을 냅니다. 마지막 기운을 모두어서, 잎을 더 푸르게 틔우려 하고, 꽃을 더 싱그러이 터뜨리려 합니다.


  찬바람이 불기에 풀과 꽃과 나무는 새롭게 기운을 얻습니다. 아니, 찬바람을 먹으면서 풀과 꽃과 나무는 스스로 더욱 기운을 내면서, 한결 씩씩하고 튼튼하게 이 땅에 섭니다. 봄과 여름과 가을이 있기에 겨울이 있는데, 겨울이 있기에 봄과 여름과 가을이 있어요. 고요히 잠들도록 하는 겨울을 누리면서, 목숨 있는 모든 것은 새롭게 기운을 얻어서 활짝 깨어납니다.


  꽃샘은 꽃을 ‘샘하’기도 하지만, 꽃이 새롭게 피어나도록 하는 ‘샘물’ 노릇을 하기도 합니다. 꽃샘은 꽃을 시샘하는 한편, 꽃이 스스로 더 기운을 내도록 북돋우는 샘이 되어 줍니다.


  삶에는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모든 일은 뜻이 있어서 나한테 찾아옵니다. 이 일은 이러한 뜻이고, 저 일은 저러한 뜻입니다. 이 일을 나쁘게만 여긴다면 나로서는 그저 나쁠 뿐이고, 저 일을 좋게만 여긴다면 나로서는 그저 좋다고 여길 뿐입니다. 이 자리에서 맴돕니다. 좋고 나쁨 사이를 오락가락하면서 늘 제자리걸음입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바라볼 수 있을 때에 삶을 짓습니다. 좋음도 나쁨도 아닌 줄 알아채면서 마주할 수 있을 때에 삶을 짓는 첫걸음을 씩씩하게 내딛습니다.


  꽃을 시샘하는 추위는, 다른 눈길로 보자면, 꽃이 더 튼튼하고 씩씩하게 피어나기를 바라는 추위입니다. 이만 한 추위쯤에는 지지 말라고, 이만 한 추위를 기쁘게 받아들이라고, 봄에도 쌩쌩 모진 바람이 불 수 있으니, 미리 잘 겪고 받아들이면서 한결 기운차게 솟으라고 하는 추위가 바로 ‘꽃샘추위’이지 싶습니다.


  샘물은 겨울에 얼지 않습니다. 샘물은 여름에는 차고 겨울에는 따뜻합니다. 샘물은 여름에는 여름대로 뭇목숨을 살찌우고, 겨울에는 겨울대로 뭇목숨을 보살펴요. ‘꽃샘’이란 무엇일까요? 꽃샘은 그저 꽃을 시샘하기만 하는 바람이거나 추위일까요? 꽃샘은 우리 삶에서 무엇일까요? 오늘날에는 거의 안 쓰는 옛말 가운데 ‘꽃등’이 있습니다. ‘꽃등’은 “맨 처음”을 뜻합니다. ‘꽃샘’은 봄으로 들어서는 첫 문턱입니다. 꽃샘을 거치면서 비로소 봄으로 나아갑니다. 4348.3.11.물.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식의


 농담 식으로 말하면 → 농담 투로 말하면 / 농담처럼 말하면

 그런 식으로나마 → 그렇게나마 / 그런 모습으로나마

 이런 식의 방법이 있다 → 이런 방법이 있다

 반갑다는 식의 인사 → 반갑다는 인사 / 반갑다며 하는 인사


  ‘식(式)’은 “1. 일정한 전례, 표준 또는 규정 2. = 의식(儀式) 3. [수학] 숫자, 문자, 기호를 써서 이들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나타낸 것 4. ‘수법’, ‘수식’을 나타내는 말 5. 일정하게 굳어진 말투나 본새, 방식”을 뜻한다고 합니다. ‘式 + 의’ 꼴로 쓰는 말뜻은 다섯째입니다. 그러니까 ‘방식 + 의’를 줄여서 ‘式의’ 꼴로 쓴다고 할 만합니다.


  “이런 식의 배열”이라든지 “이런 식의 줄거리”처럼 흔히 쓰는데, ‘식의’는 아예 덜 때에 가장 낫다고 느낍니다. “이런 배열”이나 “이런 줄거리”처럼 쓰면 넉넉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식의 여행”이나 “이런 식의 사진”도 “이런 여행”이나 “이런 사진”으로 손질하면 됩니다. 4348.11.9.달.ㅅㄴㄹ



이런 식의 생생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 이런 식으로 생생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 이렇게 생생한 공부를 해야 한다고

→ 이렇듯이 생생하게 배워야 한다고

《크리스 도네르/김경온 옮김-말의 미소》(비룡소,1997) 27쪽


성적으로써 인간을 평가하는 식의 세상

→ 성적으로써 사람을 평가하는 세상

→ 성적으로써 사람을 재는 따위 세상

→ 성적으로써 사람을 따지는 이 따위 세상

→ 성적으로 사람을 판가름하는 이 따위 세상

→ 성적으로 사람을 가르는 이 몹쓸 세상

→ 성적으로 사람을 나누는 이 끔찍한 세상

→ 성적으로 사람이 갈리는 이 더러운 세상

《W.글래서/홍흥운 옮김-낙오자 없는 학교》(부림출판사,1981) 89쪽


이런 식의 쇠고기 징발은 계속되었다

→ 이런 식으로 쇠고기 징발은 이어졌다

→ 이렇게 자꾸 쇠고기를 앗아갔다

→ 이런 쇠고기 훔치기는 이어졌다

《어니스트 톰슨 시튼/장석봉 옮김-위대한 늑대들》(지호,2004) 32쪽


‘그러면 좋을 텐데’라는 식의 희망 사항

→ ‘그러면 좋을 텐데’ 하는 희망 사항

→ ‘그러면 좋을 텐데’ 하는 꿈

→ ‘그러면 좋을 텐데’ 하고 바라는 마음

→ ‘그러면 좋을 텐데’ 하는 바람

《기류 유미코/송태욱 옮김-나는 아들에게서 세상을 배웠다》(샨티,2005) 22쪽


그런 식의 접근은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 그런 접근은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 그렇게 다가서면 마음이 좋지 않았다

→ 그렇게 다가서는 일은 내키지 않았다

→ 그런 만남은 마음에 들지 않았다

→ 그렇게 다가서기는 싫었다

→ 그런 만남은 못마땅했다

→ 그런 만남은 싫었다

→ 그런 만남은 즐겁지 않았다

→ 그렇게 만나면 마음이 가볍지 않았다

→ 그렇게 만나면 마음이 괴로웠다

《싼마오/조은 옮김-흐느끼는 낙타》(막내집게,2009) 61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옆구리왕짜 2015-11-09 21:07   좋아요 0 | URL
`의`가 사실 일본식 표현의 잔재죠?
의식적으로 안 쓰겠습니다~

숲노래 2015-11-09 22:28   좋아요 0 | URL
일본 말투이기도 하지만,
번역 말투도 있고
중국 말투도 있어요.
이 세 가지가 어우러지면서
알쏭달쏭한 말투가 되었는데,

이런 알쏭달쏭한 느낌을 좋아해서
`-의`를 일부러 쓰는 분이 꽤 되는 듯합니다..

말씀 고맙습니다 ^^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청하다 請


 친구에게 도움을 청하다

→ 동무한테 도움을 바라다

→ 동무한테 도와 달라 하다

 주인에게 물 한 그릇을 청하다

→ 주인한테 물 한 그릇을 바라다

→ 주인한테 물 한 그릇 달라 하다

 동네 사람들을 집에 청해서 음식을 대접하셨다

→ 동네 사람들을 집에 모셔서 음식을 대접하셨다

→ 동네 사람들을 집에 불러서 음식을 대접하셨다

 낮잠이라도 청하고 있는 모양

→ 낮잠이라도 자려고 하는 모양

→ 낮잠이라도 자려는 모양

 돈을 돌려주기를 청했는데

→ 돈을 돌려주기를 바랐는데

→ 돈을 돌려주라고 했는데


  ‘청(請)하다’는 “1.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남에게 부탁하다 2. 사람을 따로 부르거나 잔치 따위에 초대하다 3. 잠이 들기를 바라다. 또는 잠이 들도록 노력하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부탁하다’나 ‘부르다’나 ‘초대하다’나 ‘잠이 들기를 바라다’로 적으면 될 노릇입니다. 그런데 ‘부탁(付託)’은 “어떤 일을 해 달라고 청하거나 맡김”을 뜻한다고 합니다. 한국말사전은 ‘청하다 = 부탁하다’로 풀이하면서, ‘부탁하다 = 청하다’로 풀이합니다. 뒤죽박죽이지요. 그러나 “해 달라고 하다”나 “해 달라고 맡기다” 같은 한국말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초대(招待)’는 “1. 어떤 모임에 참가해 줄 것을 청함 2. 사람을 불러 대접함”을 뜻한다고 해요. 이 말풀이도 뒤죽박죽입니다. ‘청하다 = 초대하다’로 풀이하면서, ‘초대하다 = 청하다’로 풀이하니까요. 다만, 이때에도 ‘초대하다’이니 ‘청하다’이니 쓰지 않고 ‘부르다’라는 한국말을 알맞게 쓰면 되는 줄 헤아릴 수 있어요. 4348.11.9.달.ㅅㄴㄹ



이번에는 군청에 도움을 청했다

→ 이번에는 군청에 도움을 바랐다

→ 이번에는 군청에 도움을 빌었다

→ 이번에는 군청에 도와 달라고 여쭈었다

《크리스 도네르/김경온 옮김-말의 미소》(비룡소,1997) 11쪽


엄마에게 도움을 청하렴

→ 엄마에게 도움을 바라렴

→ 엄마한테 도움을 받으렴

→ 엄마한테 도와 달라고 하렴

《서갑숙-나도 때론 포르노그라피의 주인공이고 싶다》(중앙m&b,1999) 278쪽


잠을 청할 수 없었습니다

→ 잠을 이룰 수 없었습니다

→ 잠을 잘 수 없었습니다

→ 잠이 들 수 없었습니다

→ 잠잘 수 없었습니다

→ 잘 수 없었습니다

→ 자지 못했습니다

→ 못 잤습니다

《구로야나기 데츠코/김경원 옮김-토토의 눈물》(작가정신,2002) 27쪽


잠을 청했으나

→ 잠을 자려고 했으나

→ 자려고 누웠으나

→ 자려고 했으나

《체 게바라/안중식 옮김-체의 마지막 일기》(지식여행,2005) 50쪽


도움을 청했다

→ 도움을 빌었다

→ 도와 달라고 했다

→ 손을 벌렸다

→ 손을 뻗었다

《이응노·박인경·도미야마/이원혜 옮김-이응노―서울·파리·도쿄》(삼성미술문화재단,1994) 9쪽


잠을 청하려고 해도

→ 잠을 자려고 해도

→ 잠이 들려고 해도

→ 자려고 해도

《안비루 야스코/송소영 옮김-누구나 할 수 있는 멋진 마법》(예림당,2012) 53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최악의


 최악의 유혈 충돌 → 끔찍하게 죽고 다친 충돌

 최악의 결과 → 가장 나쁜 결과

 최악의 것이다 → 가장 나쁜 것이다

 최악의 철도사고 → 가장 끔찍한 철도사고


  한자말 ‘최악(最惡)’은 “가장 나쁨”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보면 “최악의 유혈 충돌”이나 “최악의 결과”나 “최악의 것” 같은 보기글이 나옵니다. 한국말사전 보기글부터 사람들더러 ‘-의’를 쓰라고 부채질하는 셈입니다.


  “사태가 최악으로 치닫다”나 “결과는 최악이다”는 “사태가 가장 나쁘게 치닫다”나 “결과는 가장 나쁘다”처럼 손질하면 됩니다. 가장 나쁘기에 “가장 나쁘다”고 합니다. 가장 나쁘다고 할 적에 어떤 느낌인가를 살핀다면, ‘끔찍하다’라든지 ‘무시무시하다’라든지 ‘모질다’라든지 ‘괴롭다’ 같은 말을 넣을 만합니다. 그리고, “눈 뜨고 볼 수 없다”라든지 “차마 볼 수 없다”라든지 “이루 말할 수 없다” 같은 말을 알맞게 써 볼 수 있습니다. 4348.11.9.달.ㅅㄴㄹ



최악의 사태가 벌어지고 말겠군

→ 끔찍한 사태가 벌어지고 말겠군

→ 무시무시한 일이 벌어지고 말겠군

→ 눈 뜨고 볼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말겠군

→ 차마 볼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말겠군

《안소니 드 멜로/이희춘 옮김-사라지는 것은 아름답다》(삼천리,1991) 28쪽


최악의 물난리를 겪은

→ 끔찍하게 물난리를 겪은

→ 말도 못하게 물난리를 겪은

→ 모질게 물난리를 겪은

→ 어마어마하게 물난리를 겪은

《최도영-통계로 본 지구환경》(도요새,2003) 59쪽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는 최악의 상태였다

→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며 말도 할 수 없었다

→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며 이루 말할 수 없었다

→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어 끔찍했다

→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어 보기만 해도 끔찍했다

→ 춥고 더럽고 쥐들이 들끓어 소름이 쫙 끼쳤다

《조안 하라/차미례 옮김-빅토르 하라》(삼천리,2008) 42쪽


나 자신에 대해 설명하기. 최악의 주제다

→ 나 자신을 설명하기. 끔찍한 주제다

→ 내가 나를 얘기하기. 괴로운 이야깃감이다

《린다 멀랠리 헌트/강나은 옮김-나무 위의 물고기》(책과콩나무,2015) 10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엄하다 嚴


 상하 구별이 엄하다 → 위아래 나눔이 빈틈없다

 예의범절이 엄해서 → 예의범절이 까다로워서

 계급의 상하 구별이 엄하다 → 계급을 위아래로 빈틈없이 가른다

 학칙이 엄하다는 소문 → 학칙이 매섭다는 소문

 아이들에게 엄하게 일러두어라 → 아이들한테 단단히 일러두어라

 상부의 엄한 지시입니다 → 위에서 단단히 지시했습니다

 며느리에게 엄한 시어머니 → 며느리한테 까다로운 시어머니

 매사에 너무 엄하면 → 모든 일이 너무 빈틈없으면


  ‘엄(嚴)하다’는 “1.  규율이나 규칙을 적용하거나 예절을 가르치는 것이 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2. 어떤 일이나 행동이 잘못되지 아니하도록 주의를 단단히 하여 두다 3. 성격이나 행동이 철저하고 까다롭다”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말뜻을 헤아린다면, 한국말로는 ‘빈틈없다’나 ‘바르다’나 ‘단단히’니 ‘까다롭다’인 셈입니다. ‘철저(徹底)하다’는 “빈틈이 없음”을 뜻하는 한자말입니다.

  빈틈없이 어떤 일을 시키거나 다그치고, 단단히 이르거나 말하며, 까다롭게 따지거나 몰아세웁니다. 때로는 매섭거나 무섭게 몰아친다고 할 테고, 어느 때에는 차갑거나 매몰차거나 따끔하다고 할 만합니다. 4348.11.7.흙.ㅅㄴㄹ



엄한 태도로 말을 우리 밖으로 끌어당겼다

→ 매서운 몸짓으로 말을 우리 밖으로 끌어당겼다

→ 말을 매섭게 우리 밖으로 끌어당겼다

《크리스 도네르/김경온 옮김-말의 미소》(비룡소,1997) 31쪽


군인이 엄한 목소리로 명령했다

→ 군인이 무서운 목소리로 명령했다

→ 군인이 차가운 목소리로 명령했다

→ 군인이 싸늘한 목소리로 다그쳤다

→ 군인이 앙칼진 목소리로 윽박질렀다

→ 군인이 새된 목소리로 다그쳤다

→ 군인이 째진 목소리로 윽박질렀다

→ 군인이 윽박지르듯이 외쳤다

→ 군인이 무섭게 소리질렀다

《로이스 로이/서남희 옮김-별을 헤아리며》(양철북,2003) 10, 12쪽


엄하게 야단을 쳐 줘

→ 단단히 꾸짖어 줘

→ 따끔히 꾸짖어 줘

《아즈마 키요히코/금정 옮김-요츠바랑! 7》(대원씨아이,2008) 36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