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6.


《중간층이 승부를 가른다》

 고성국·지승호 글, 철수와영희, 2015.4.24.



작은아이랑 옆마을로 걸어가서 시골버스를 기다리려는데 14:11에 부르릉 지나간다. 어, 오늘은 해날 아닌 흙날이로구나. 흙날에도 14시에 안 지나가곤 했는데, 오늘은 용케 지나간다. 옆마을에서 다음 시골버스를 기다리는데 빈 택시가 스르르 멈추고서 “읍내 가셔요?” 하고 묻는다. “버스 타는 삯만 내고 타셔요.” 하신다. 버스삯만 낼 수는 없어서 5000원을 얹어서 드린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도 옆마을에서 내려 논둑길을 걷는다. 논둑길은 흙돌모래로 어지럽고, 새도 나비도 너무 적다. 너무 조용한 봄이다. 레이첼 카슨 님이 쓴 글이 아니어도 “조용한 봄”이고 “쥐죽은 봄”이요 “소리없는 봄”이다. 《중간층이 승부를 가른다》가 문득 떠올라서 다시 읽었다. 여러모로 새길 대목이 많되, 몇 가지를 좀 바로잡아야 한다고 느낀다. 먼저 ‘중간층’이 아니라 ‘가운데’이다. 어느 쪽에도 흔들리지 않으면서 ‘가운데’를 지키는 사람이 가슴(심장) 노릇을 한다. 가운데·가슴인 사람들은 숨을 살릴 뿐, ‘이기거나 지는 굴레(승부)’하고 멀다. 이쪽저쪽으로 기운 분들은 자꾸 싸움을 부추기면서 “이겨야 좋다”는 틀을 씌우려 든다. 뽑기(선거)는 이기고 질 일이 아니라, 일꾼을 가릴 자리여야 올바르다. 밤에 고니자리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5.


《산으로 간 물고기》

 김정희 글, 문학의전당, 2004.7.10.



미리뽑기(사전투표)를 한다는 하루이다. 마을알림을 시끄럽게 한다. 서울에서도 이렇게 미리뽑기를 시끄럽게 알리지 않으리라. 시골에서는 ‘비오는 날’조차 ‘산불예방 알림’을 해댄다. 살림에 이바지하거나 들숲바다를 사랑하는 길을 놓고는 여태 면사무소·군청·도청에서 마을알림을 한 적이 없다. 곰곰이 생각한다. 며칠 앞서 미리뽑기를 하지 말고, 뽑기(선거)를 새벽부터 밤까지 하루 내내 하면 될 노릇일 텐데 싶다. 뽑기를 이틀에 걸쳐서 할 수 있겠지. 무엇보다도 어린이가 나라일꾼과 마을일꾼을 뽑을 수 있어야 한다. 여덟 살부터 뽑을 수 있을 때라야, 이 나라 앞날을 살피는 길을 열리라 본다. 《산으로 간 물고기》를 되읽는다. 차분히 읊는 말가락이면 언제나 그대로 노래이게 마련이다. 꾸밀 적에는 노래도 아니고 글도 아니다. 살아가고 살림하는 마음을 가만히 담으니 노래요 글이다. 해를 보고, 몸을 말리고, 새노래를 듣고, 꽃내음을 맡는다. 땅거미가 진 뒤부터는 개구리노래를 아스라이 듣는다. 곧 개구리노래는 우렁차게 퍼지리라. 시골에서도 서울에서도 한봄에 한봄빛을 살피는 마음으로 한봄글을 쓸 수 있기를 빈다. 한봄볕을 살피고, 한봄바람을 읽으면서, 한봄살림을 여미는 손으로 한봄글이 태어나기를 바란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4.


《달려라 꼴찌 4》

 이상무 글·그림, 씨엔씨레볼루션, 2016.1.12.



비가 그칠 듯한 하루이다. 우리 책숲에 비 새는 곳을 살핀다. 두바퀴를 달려서 면소재지 나래터를 들른다. 텃노랑민들레 두 송이가 먼저 씨공을 맺으려고 한다. 초피나무 새잎이 돋는다. 곳곳에서 멧딸기꽃이 오른다. 이곳을 보고 저곳을 살핀다. 이 구름을 헤아리고, 저 바람을 마신다. 《달려라 꼴찌》가 새롭게 나온 적 있다. 꽤 오래된 그림꽃을 다시 낼 적에 어느 만큼 읽히려나. 좀 묵었기에 안 읽힐 만하지 않다. 지난날 적잖은 그림꽃에는 주먹다짐이나 거친말이 고스란히 드러나기도 한다. 순이돌이 사이에 억누르거나 가두는 틀이 그대로 나오기도 한다. 둘레에서는 이상무 님 붓끝으로 《달려라 꼴찌》를 많이들 얘기하지만, 《포장마차》 같은 그림꽃부터 눈여겨보고서 다시 내는 길이 한결 나을 텐데 하고 생각한다. 그림님이 골프를 그리건 박정희를 그리건, 스스로 그 길이 낫다고 여기면 그릴 수야 있겠지. 그러나 차츰차츰 ‘마을살이’를 잊고 ‘마을사람’하고 등지는 결로 붓을 쥔다면, 이 붓으로 태어나는 그림에 어떤 줄거리가 흐를까? 누구나 붓을 쥘 노릇이다. 어느 삶이건 붓으로 그릴 수 있다. 그러나 어깨동무하는 사랑을 숲빛으로 담아내려는 마음씨가 아닌 채 쥐는 붓은 그만 주먹질이나 발길질로 치우치곤 하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3.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

 하시키 아키라코 글·다루이시 마코 그림/김숙 옮김, 북뱅크, 2010.5.5.



비날을 잇는다. 빗줄기가 굵으면 마을이 조용하고, 빗줄기가 가늘면 개구리소리에 새소리가 어우러진다. 눈금자(계량기)를 바꾼다는 사람이 불쑥 들어왔다. 한전 일꾼인지, 일만 받아서 하는 사람인지, 담배를 꼬나물고 갑자기 들어와서 뚝딱거린다. 이렇게 일해도 되나? 시골이라 이 따위일까? 빗길에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흙 묻은 신”을 손잡이에 척 올리고서 손전화를 들여다보는 어린이가 있다. 대단하구나 싶어 “어린이는 발을 어디에 올려놓나요? 이 버스를 어린이 혼자 타나요? 학교에서 안 배웠나요?” 하고 물어본다. 아이는 대꾸도 없이 쳐다보지도 않고 발을 얼른 내리기는 한다.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를 되읽었다. 살뜰히 여민 줄거리이되, 좀 아쉽기도 하다. 그림결은 나쁘지 않고, 줄거리도 재미있다고 여길 수 있다만, 고양이한테 함부로 소젖(우유)을 먹이면 안 될 텐데, 너무 쉽게 이 대목부터 지나쳤다. 들숲바다가 어우러지는 살림길하고, 별빛하고 달빛하고 햇빛이 무엇인지 돌아보는 눈길하고, 이웃나라 그림책을 옮길 적에 우리말결을 어떻게 가다듬어야 어울릴는지 짚는 손길, 이렇게 세 가지 손길이 아쉽다. 우리는 “우리말을 쓴다”고 하지만, 참말로 우리말이 맞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2.


《불편한 사실》

 박석순 글, 어문학사, 2021.4.22.



새삼스레 구름날이다. 해날을 더 잇지 않네. 제비 날갯짓에 개구리 외울음을 듣는 아침에 불빛(전기)이 훅 나가다. 마을 샘터에서 물을 긷는다. 불이 나가더라도 마을샘이 있다. 서울에서는 불이 나가면 어찌 될까. 그야말로 불굿으로 휩싸이겠지. 《말밑 꾸러미》를 기리며 여밀 ‘낱말그림’을 넷 꾸린다. ‘나·동무·있다·들’을 추스른다. 늦은낮부터 빗줄기가 듣더니, 저녁에는 시원스레 들이붓는다. 《불편한 사실》을 곱씹는다. 이미 읽었으나 아직 느낌글을 여미지 않았다. 글님이 잘 보는 대목이 있으면서, 놓치는 곳도 있다. 나라(정부)에서 셈값(통계)을 주무르면서 사람들한테 잘못 알리는 대목이 꽤 많고, 숱한 분들은 그만 속는다. 그런데 글님도 곧잘 셈값에 기대면서 ‘푸른길’을 바라보는 눈이 흐르기도 하다. 참으로 그렇겠다고 느꼈다. 이른바 푸른길(환경정책)을 내놓는 이들 가운데 ‘시골에서 나고자라서 시골에서 논밭을 일구는 사람’이 여태 한 사람도 없다. 푸른길만이 아니다. 벼슬길(정치행정)도 매한가지이고, 글길(문학)도 똑같다. 거북하거나 듣고 싶지 않은 말이란 무엇일는지 곱새긴다. 나누거나 서로 들려주면서 생각을 가꿀 말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태어나는지 곰곰이 짚어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