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3.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

 하시키 아키라코 글·다루이시 마코 그림/김숙 옮김, 북뱅크, 2010.5.5.



비날을 잇는다. 빗줄기가 굵으면 마을이 조용하고, 빗줄기가 가늘면 개구리소리에 새소리가 어우러진다. 눈금자(계량기)를 바꾼다는 사람이 불쑥 들어왔다. 한전 일꾼인지, 일만 받아서 하는 사람인지, 담배를 꼬나물고 갑자기 들어와서 뚝딱거린다. 이렇게 일해도 되나? 시골이라 이 따위일까? 빗길에 저잣마실을 다녀온다. 시골버스에서 “흙 묻은 신”을 손잡이에 척 올리고서 손전화를 들여다보는 어린이가 있다. 대단하구나 싶어 “어린이는 발을 어디에 올려놓나요? 이 버스를 어린이 혼자 타나요? 학교에서 안 배웠나요?” 하고 물어본다. 아이는 대꾸도 없이 쳐다보지도 않고 발을 얼른 내리기는 한다. 《달에 우유 가지러 간 고양이》를 되읽었다. 살뜰히 여민 줄거리이되, 좀 아쉽기도 하다. 그림결은 나쁘지 않고, 줄거리도 재미있다고 여길 수 있다만, 고양이한테 함부로 소젖(우유)을 먹이면 안 될 텐데, 너무 쉽게 이 대목부터 지나쳤다. 들숲바다가 어우러지는 살림길하고, 별빛하고 달빛하고 햇빛이 무엇인지 돌아보는 눈길하고, 이웃나라 그림책을 옮길 적에 우리말결을 어떻게 가다듬어야 어울릴는지 짚는 손길, 이렇게 세 가지 손길이 아쉽다. 우리는 “우리말을 쓴다”고 하지만, 참말로 우리말이 맞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