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4.4.6.


《중간층이 승부를 가른다》

 고성국·지승호 글, 철수와영희, 2015.4.24.



작은아이랑 옆마을로 걸어가서 시골버스를 기다리려는데 14:11에 부르릉 지나간다. 어, 오늘은 해날 아닌 흙날이로구나. 흙날에도 14시에 안 지나가곤 했는데, 오늘은 용케 지나간다. 옆마을에서 다음 시골버스를 기다리는데 빈 택시가 스르르 멈추고서 “읍내 가셔요?” 하고 묻는다. “버스 타는 삯만 내고 타셔요.” 하신다. 버스삯만 낼 수는 없어서 5000원을 얹어서 드린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도 옆마을에서 내려 논둑길을 걷는다. 논둑길은 흙돌모래로 어지럽고, 새도 나비도 너무 적다. 너무 조용한 봄이다. 레이첼 카슨 님이 쓴 글이 아니어도 “조용한 봄”이고 “쥐죽은 봄”이요 “소리없는 봄”이다. 《중간층이 승부를 가른다》가 문득 떠올라서 다시 읽었다. 여러모로 새길 대목이 많되, 몇 가지를 좀 바로잡아야 한다고 느낀다. 먼저 ‘중간층’이 아니라 ‘가운데’이다. 어느 쪽에도 흔들리지 않으면서 ‘가운데’를 지키는 사람이 가슴(심장) 노릇을 한다. 가운데·가슴인 사람들은 숨을 살릴 뿐, ‘이기거나 지는 굴레(승부)’하고 멀다. 이쪽저쪽으로 기운 분들은 자꾸 싸움을 부추기면서 “이겨야 좋다”는 틀을 씌우려 든다. 뽑기(선거)는 이기고 질 일이 아니라, 일꾼을 가릴 자리여야 올바르다. 밤에 고니자리를 본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