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책시렁 43


《르네상스 49》

 편집부

 도서출판 서화

 1992.11.1.



  순정만화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왔을까요? 어쩌면 그러리라 봅니다. 그런데 ‘순정(純情)’이라는 한자말은 “순수한 감정이나 애정”, 곧 “티없는 마음이나 사랑”을 나타낸다고 하니, ‘순정만화 = 여자만 보는 만화’라는 눈길은 더없이 어긋나거나 엉뚱하다고 여길 만합니다. 티없는 마음이나 사랑은 남녀 모두 갖출 아름다운 모습일 테니까요. 순정만화를 담은 잡지 《르네상스》 마흔아홉 걸음은 다달이 한 권씩 모두 네 해를 꼬박 채워서 펴낸 발자국을 기리려는 뜻으로 여러 만화가가 모여 도란도란 피운 이야기를 갈무리해서 싣습니다. 한 사람 두 사람이 그리는 만화는 저마다 꽃이 되어 잡지를 이룹니다. 여러 사람이 꾸준히 일구어 지핀 만화라고 하는 밭자락에는 꿈이나 사랑을 비롯해서 삶과 살림을 거쳐 웃음하고 눈물을 나누는 아름다운 보금자리 이야기가 흐릅니다. 1990년대에 ‘만화잡지’ 《르네상스》는 남학생한테 안 팔았습니다. 여학생만 사서 볼 수 있었습니다. 남학생은 빌려서 보기에도 눈치를 살펴야 했고, 아예 안 빌려주기 일쑤였습니다. 어쩌면 뭇사내는 ‘맑은 마음·사랑’을 담은 만화를 멀리하면서 거친 마음이 되지 않았을까요? ㅅㄴㄹ



[황미나] 잘된 점이야 일일이 열거할 수 없고, 그래도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시작부터 전체적으로 ‘작품을 평준화’시켰다는 데 문제점이 있는 듯합니다. [이정애] 그림도 그림이지만 르네상스는 전통을 너무 사수하는 것 같아요. 그림의 색감만 약간 차이가 있을 뿐, 대체로 변화가 미약해요. [차성진] 일반 잡지와 비교되도록 좀더 만화스럽고, 공간활용에 충실하였으면. [원수연] 좋은 실력을 갖추고도 너무 일찍 타협하는 경향들이 있어 아쉽습니다. 신인이면 신인답게 최고의 것이 있어야 한다는 거죠. (365∼367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빛 숟가락 14
오자와 마리 지음, 노미영 옮김 / 삼양출판사(만화)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42


《은빛 숟가락 14》

 오자와 마리

 노미영 옮김

 삼양출판사

 2018.5.31.



  울 수 있는 사람은 아름답습니다. 웃을 수 있는 사람은 사랑스럽습니다. 울 줄 알기에 아름다이 하루를 짓습니다. 웃을 줄 알기에 사랑스레 하루를 가꿉니다. 《은빛 숟가락》 열네걸음은 어느새 눈물하고 웃음을 잃어버린 아이 곁에서 여러 어른이 어떻게 하면 이 아이한테 눈물하고 웃음을 되찾아 줄까 하고 헤아리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아이는 어릴 적부터 지켜본 어머니가 곁에 있으면서 웃기를 바랐고, 어머니가 웃도록 북돋우는 사람이 아버지 자리에 있기를 꿈꾸었어요. 그런데 아버지 자리에 올 듯하던 사람이 그만 말을 어기고 떠나서 마음을 꾹 닫았어요. 이때 어린 아이 루카를 아끼는 언니는 이녁이 어릴 적부터 받은 새어머니 새아버지 사랑을 어린 동생도 누릴 수 있기를 바라면서 천천히 다가섭니다. 아주 천천히 조용히 부드러이 다가서면서 살며시 안아 주지요. 아플 날도 있지만, 아픔을 눈물로 씻으면서 아름답게 피어나기를 바라요. 슬프거나 괴로운 때도 있지만, 슬픔이나 괴로움을 웃음으로 털어내어 사랑스레 자라기를 빕니다. 열네걸음을 지나 열다섯걸음으로 나아가면 어떤 꽃살림이 될 수 있을까요? ㅅㄴㄹ



‘엄마는 조금 울었다. 왜 엄마가 사과하는 걸까? 잘못한 건 난데.’ (30쪽)


“이제 아빠에 대해 기억이 잘 안 나지만, 형이랑 처음 만났을 때 아빠를 닮았다고 생각했던 건 기억해.” “아빠 보고 싶어?” “모르겠어. 왜냐면 텟짱도 계속 보고 싶었는데, 그랬는데…….” “루카.” “보지 말걸 그랬어. 텟짱 따위.” “참지 않아도 돼. 울어도 돼. 실컷 울고, 실컷 놀고 전부 잊어버리자.” (149∼151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트레칭 4
아키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41


스트레칭 4

 아키리

 문기업 옮김

 미우

 2016.8.31.



  홀가분하기에 말을 술술 꺼냅니다. 안 홀가분하니까 말이 자꾸 막힙니다. 홀가분하기에 생각이 즐겁게 솟아납니다. 안 홀가분하니까 생각도 자꾸 막힐 뿐 아니라, 고이 흐르지 못합니다. 이웃이나 동무라 한다면, 서로 홀가분하게 지낼 수 있는 사이이지 싶습니다. 무엇을 바라는 사이가 아닌, 홀가분하게 어우러지면서 말이며 생각이며 사랑이 곱게 피어나는 사이가 되어야 할 테지요. 《스트레칭》 네걸음으로 이야기를 마무리합니다. 다섯걸음이나 여섯걸음을 더 그려도 좋지 싶고, 나중에라도 뒷이야기를 그릴 만하지 싶어요. 어느 모로 보면 뻔한 뒷이야기일 수 있습니다만, 이 만화는 바로 ‘뻔한 줄거리’를 홀가분한 붓끝으로 홀가분한 마음을 그려서 홀가분히 말하고 함께 지내는 두 사람 사이를 보여줍니다. 이 대목이 돋보이니 뻔하거나 흔한 줄거리여도 아름다이 누릴 만하고 찬찬히 새길 만해요. 이제껏 아무도 안 그린 줄거리를 다뤄야 하지 않습니다. 줄거리 때문에 만화가 새롭지 않아요. 줄거리를 다루는 붓끝이며 마음이며 생각이며 노래가 새로울 적에 만화가 새롭습니다. 삶을 홀가분히 바라보면서 만화 하나에서 이야기꽃잔치를 이룹니다. ㅅㄴㄹ



“선배는 보통 수수한 옷만 입잖아요. 속으로는 이런 하늘하늘한 옷도 입어 보고 싶어하지 않을까 생각했던 건데, 솔직히 싫지는 않죠? 귀여워♥” “시끄러. 부정은 안 하지만.” “그럼, 불을 붙일게요!” “응. 사키가 없어서 다행이야. 이런 꼴을 보였다간 평생 놀림을.” (27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트레칭 3
아키리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6월
평점 :
품절


만화책시렁 40

스트레칭 3
 아키리
 문기업 옮김
 미우
 2016.6.30.


  아침에 일어나서 햇볕을 먹으면 새삼스럽습니다. 햇볕이 이렇게 따스하면서 부드럽구나 싶습니다. 나무 곁에 서서 춤을 추어 보면, 우리 집에서 돋는 풀한테 가만히 속삭여 보면, 이러다가 저녁에 쑥불을 피울 만큼 낫질을 하면서 고맙다고 얘기해 보면, 어제하고 다르면서 즐거운 하루가 피어나는구나 싶습니다. 스무 해쯤 앞서 서울에서 살며 전철로 새벽마다 일터로 가고 밤마다 집으로 돌아오던 때를 돌아보면 하루가 사뭇 다르다고 느낍니다. 빽빽한 전철에서 책을 읽을 수는 있어도 몸을 펴거나 차분하기는 어렵습니다. 마당에서 아이들하고 함께 서서 햇볕춤을 즐기니 한결 느긋하면서 재미납니다. 온누리 여러 겨레가 해돋이를 맞이하면서 몸을 가볍게 푸는 뜻을 어림할 만합니다. 《스트레칭》 세걸음에 이르니 앞선 두걸음에서 살짝 엿본 부드러우면서 따스하게 흐르는 마음을 얼추 짚을 만합니다. 다른 두 사람은 다른 마음이라 서로 한결 따스히 품고 부드러이 풀어 주는 자리에 섭니다. 굳은 몸이랑 뼈를 풀면서 딱딱한 마음이랑 생각을 푼달까요. 무슨무슨 체조가 아니어도 좋습니다. 함께 해바라기 별바라기 바람바라기 숲바라기 몸짓을 펴 봐요. ㅅㄴㄹ


“이제 곧 1년이에요.” “순식간이었어.” “선배.” “응?” “초콜릿. 정말 사랑해서 준 거예요.” (84쪽)

“그치? 맛있지?” “언젠가 란한테 소중한 사람이 생기면 만들어 주렴.” (110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재 유교수의 생활 애장판 12
야마시타 카즈미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39


《천재 유교수의 생활. 애장판 12》

 야마시타 카즈미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0.5.25.



  무럭무럭 자랍니다. 아이도 자라고 어른도 자랍니다. 저는 어릴 적부터 으레 ‘아이는 자라지만 어른은 안 자란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어른들 스스로 이렇게 말하더군요. 그렇지만 이런 말이 마땅하지 않다고 느꼈어요. 왜 아이만 자라고 어른은 안 자란다고 말할까요? 어쩌면 어른들 스스로 새롭게 배우려 하지 않고 그저 남이 시키는 대로 톱니바퀴가 되어 낡은 버릇을 안 버리겠다는 핑계처럼 읊는 말은 아니었을까요? 사람은 누구나 마음뿐 아니라 몸도 자랍니다. 키가 크거나 몸뚱이가 커져야 자란다고 하지 않아요. 다친 자리가 아물고 솜씨가 늘 적에도 자랍니다. 슬픔을 삭이는 힘이 자라고, 기쁨을 나누는 웃음이 자라요. 노래도 춤도 말씨도 자라지요. 아낌판으로도 나온 《천재 유교수의 생활》을 읽습니다. 아낌판은 두툼합니다. 일본 제국주의가 저물고 미군정이 일본을 다스리던 무렵 대학생으로서 삶터를 새롭게 바라보면서 하나씩 배우는 유교수 이야기가 흐르는데, 이무렵 유교수는 배움하고 가르침이 어떻게 얽히면서 사람들한테 살아가는 기쁨이 되는가를 몸으로 깨닫습니다. 새로 눈뜨는 사람이 되려고 배웁니다. ㅅㄴㄹ



“잘 들어, 미네타로. 사람은 다른 사람과 만남으로서 또 다른 사람이 되어 가는 거야.” (355쪽)


“난 여기서 내 평생을 쏟아부어도 좋을, 한 가지 가설을 얻었습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흥미 깊은 것은 인간의 마음이란 가설을.” (412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