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달 만만한 만화방 1
김소희 지음 / 만만한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 즐겨읽기 778



햇볕 안 드는 지하실에 달빛은 들까요?

― 반달

 김소희

 만만한책방

 2018.5.25.



여름 방학 중에 우리 집이 망하고, 아빠는 집을 나가고, 내가 지금 살고 있는 곳이 지하 술집이라는 것을 아이들은 상상도 하지 못한다. (15∼16쪽)



  만화책 《반달》(김소희, 만만한책방, 2018)은 집안이 쫄딱 무너져서 술집 한구석에 있는 쪽창고로, 더욱이 햇볕이 들지 않는 땅밑 자리로 옮겨서 살아야 한 어린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1980년대 한복판을 어린이로 살았던 만화가 김소희 님은 갑작스레 집안이 무너지고, 아버지는 갑자기 어디론가 사라지고, 언니는 쪽창고에 함께 깃들 수 없어 다른 데에서 혼자 지내야 하는, 말도 안 되지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고단한 나날을 보냈던 이야기를 만화로 담아냅니다.




쉽게 잠들지 못할 땐 여러 가지 상상을 해. 아무리 시끄러운 소리가 들려도 새벽 다섯 시까지는 나갈 수 없어. 하지만 이젠 밖이 너무 조용해도 잠들 수 없게 됐어. 손님이 없으면 아침까지 잠을 자지 않고 있는 엄마가 너무 안됐잖아. 그래서 나는 시끄러운 날에 잠이 더 잘 들어. (24∼25쪽)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아니 술집 한구석 쪽창고로 돌아가면, 이때부터 이튿날 아침까지 꼼짝없이 그곳에서 밖으로 한 걸음조차 내딛을 수 없었다고 해요. 술손님이 모두 떠난 아침에 이르러서야 겨우 쪽문을 열고 나오는데, 땅밑하고는 너무 다른 여느 땅을 밟으면서 눈이 너무 부신 하루를 맞이하다 보면, 나랑 다른 사람들이 사는 터전이 참으로 다르구나 하고 느꼈다고 해요.


  그런데 있지요, 이때까지 잘 모르거나 보이지 않던 모습이, 이때부터 새롭게 보였다고 합니다. 그린이 김소희 님네 집안이 쫄딱 무너진 탓에, 그린이 집안처럼 쫄딱 무너지거나 몹시 괴로운 또래 동무들 모습이 환하게 보였다고 합니다.


  더욱이 ‘집안이 쫄딱 무너지’거나 ‘힘든 집안에서 지낸다’는 대목이 학급이나 학교에 알려지면, 교사를 비롯해서 또래 동무들 누구나 쉽게 따돌리거나 놀리거나 괴롭혔다는군요.



“송이, 너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구나! 걔네, 걔네 엄마! 다방 한대! 카페 같은 거 말고! 커피 배달하고 다닌대! 애들이 지나가다 다 봤대! 백선영은 엄마 배달할 때 막 따라다닌대! 걔네 아빠 어느 나라 사람인 줄도 모른대 …… 하는 짓이 딱 더러워.” (42쪽)



  만화책 《반달》은 반달처럼 생긴 술집 무대 뒤쪽에 숨겨진 쪽창고에서 어린 날을 살던 이야기를 그리면서, ‘나랑 똑같이 힘든 날을 보낸 또래 동무한테 손을 내밀지 못한’ 바보스러운 내 모습을 나란히 보여줍니다. 그린이는 따돌림받는 동무를 돕거나 감싸는 자리에 서지 못했다고 합니다. 다른 동무들이 이 아이를 놀리거나 괴롭혀도 아무 말을 못했다고 해요.


  따돌림받던 동무는 어느 날 전학을 갑니다. 그리고 교사한테서 시달리는 다른 동무 숙희를 만났다고 하는데요, 담임 교사는 가방 공장을 하다가 집안이 쫄딱 망한 숙희라는 아이를 매우 괴롭히면서 이죽거렸대요. 숙희는 한동안 학교를 안 나왔고, 동무 숙희가 걱정된 그린이는 숙희네 집을 물어물어 찾아가 보는데, 숙희네는 그린이가 사는 지하 술집 쪽창고보다 더 깊이 지하로 들어간 허름한 곳에서 동생을 보살피면서 숨어 살더랍니다.



“뭐야, 나 보러 왔냐?” “응! 괜찮아?” “어휴∼ 괜찮을 리가 있냐∼. 맨날 빚쟁이는 찾아오고, 엄마 아빤 지방으로 숨었는데, 돈도 별로 안 주고 가서 아∼주 심란해! 거기 계단 조심해. 어두워.” 숙희네는 지하로 내려가서 또 지하로 내려가는 깊은 곳에 있었다. 불행의 지하실 같은 게 있어서 내가 이쯤에 있다면, 숙희는 나보다 조금 더 아래, 더 컴컴한 불행의 지하실에 있는 느낌이었다. (98∼99쪽)



  햇볕 안 드는, 햇빛도 햇살도 안 드는, 그야말로 컴컴한 지하실이나 지하창고에 달빛은 들 수 있을까요? 햇빛도 달빛도 별빛도 지하실에는 가 닿을 수 없을까요?


  아무 빛이 가 닿을 수 없고, 전등불을 섣불리 켤 수 없는 어두컴컴한 곳에서 적잖은 아이들이 자랐고 살았습니다.


  저는 만화책 《반달》을 읽으면서 제가 어린이로 살았던 1980년대에 마주한 또래 동무를 하나둘 떠올렸습니다. 저는 고속도로 들머리에 항구랑 식품공장이 맞붙은 곳에서 살았습니다. 또래 동무는 기찻길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골목에 살았고, 옐로우하우스가 우글거리는 골목에 살았고, 연탄공장 옆에 살았고, 저잣거리 귀퉁이 상가주택에서 살았습니다. 햇볕도 바람도 안 드는 곳에 사는 동무가 많았는데, 교실에서 같이 놀면서 어두운 그늘은 못 느꼈어요. 탄가루가 날리고 짐기차가 지나는 소리로 시끄러운 데에서 사는 동무가 많았는데, 운동장에서 함께 놀면서 깜깜한 그림자는 못 느꼈어요.


  제가 무디어서 그늘이나 그림자를 못 느꼈을 수 있는데요, 《반달》에 나오는 아이들처럼 ‘어두운 집을 나와 학교에 갈’ 적에는 모든 어두운 발자국은 털고서 햇볕을 듬뿍 먹고 햇빛을 잔뜩 받아들이려는 몸짓이었으리라 느낍니다. 한 칸짜리 쪽집에서는 발 뻗을 곳조차 없지만, 교실이나 운동장에서는 땀을 뻘뻘 내면서 시름을 잊으려는 아이들이었다고 느껴요. 어둡고 시끄러우며 매캐한 곳이 우리 집이라면 어떻게 해야 좋을는지 모를 수 있을 텐데, 그린이는 바로 이런 곳에서 살며 늘 새롭게 꿈을 그렸다고 합니다. 활짝 웃으면서 해를 보고 노래할 수 있는 보금자리를. 달빛을 곱게 맞이하면서 도란도란 이야기를 지필 수 있는 둥지를. 눈에는 보이지 않는 빛이어도 마음에 꿈을 그려 긴긴 땅밑길을 지나 올 수 있었다고 합니다. 2018.7.1.해.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노코 6
츠다 마사미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만화책시렁 47


《히노코 6》

 츠다 마사미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8.5.25.



  눈에 기대는 사람일수록 눈으로 대단히 많은 모습을 보는 듯하지만, 바로 이 눈 때문에 대단히 많은 모습을 놓치기 일쑤입니다. 온누리를 이루는 삶은 눈으로만 살펴보거나 배울 수 없거든요. 온누리에는 소리가 있습니다. 빛물결이 있습니다. 바람이 있습니다. 고요가 있고, 어둠이랑 빛이 있고, 물하고 꽃이 있습니다. 흙이랑 숲이 있으며, 하늘이랑 별이 있습니다. 우리 눈으로 지구라는 별을 볼 수 있을까요? 나라마다 국경을 가른다지만, 우주에서 지구를 볼 적에 국경이란 얼마나 덧없을까요? 그렇지만 눈을 가린 사람들은, 두 눈을 감고서 마음눈을 뜨지 않는 사람들은, 스스로 새로 배우는 길을 나서기를 끊은 터라, 참길하고는 멀찍이 떨어지기 일쑤입니다. 《히노코》 여섯걸음은 정치권력이 사람들 눈이나 입이나 귀나 머리나 마음을 얼마나 꽁꽁 싸매어 놓는가를 매우 넌지시 그립니다. 무엇을 보고 생각하면서 삶을 짓는지 수수께끼에 휩싸인 이야기를 조금씩 풀어나가는 길을 그립니다. 꽁꽁 싸맨 틀을 깨려는 사람이 매우 드물기에, 이 길을 가려는 이들은 살짝 두려울 수 있지만, 서로 북돋아 줍니다. 사랑이 되고 삶이 되어 사람이 되는 길을 가자 해요. ㅅㄴㄹ



“정말 지키고 싶다면 맞서는 수밖에 없어. 4년 전과는 달라. 강해졌으니까.” (36쪽)

‘장, 편. 이 두 글자를 합하면 나무 목(木)이 된다. 둘을 합하면 의미가 생긴다.’ (98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친 Kitchien 6
조주희 글 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46


키친 6

 조주희

 마녀의책장

 2011.10.29.



  거북한 자리에 있다면 무엇을 먹든 거북합니다. 즐거운 자리에 있으면 무엇을 먹든 즐겁습니다. 아주 마땅한 이 얼거리를 어릴 적부터 느꼈지만, 이를 느끼면서도 제대로 알기까지는 오래 걸립니다. 스스로 핑계를 대며 산 탓일 수 있어요. 저 스스로 마음을 즐겁거나 홀가분하게 가꾸지 않고, 그 자리에 있는 남을 탓하면서 거북하다거나 나쁘다거나 싫다고 여기기 일쑤였으니까요. 그렇다면 무엇은 왜 거북하거나 좋을까요? 무엇은 왜 짜증스럽거나 반가울까요? 우리 마음은 어떻게 태어나고 흐르면서 거듭날까요? 《키친》 여섯걸음은 밥살림을 둘러싸고 사람들이 어우러지는 이야기를 새삼스레 들려줍니다. 짝사랑을 하는 사람도, 살림이 무너진 사람도, 힘들거나 고단한 사람도, 이래저래 갈팡질팡하는 사람도 밥 한 그릇을 앞에 두고서 무엇 때문에 왜 배고픈가를 하나하나 풀어내려 합니다. 두 그릇을 먹지 않아도 배가 부르고, 반 그릇을 먹어도 배가 부른 삶입니다. 이틀이나 사흘쯤 굶어도 배고프지 않으면서 기운찬 삶이요, 하루 대여섯 끼니를 먹어도 허겁지겁 수저질로 바쁜 삶입니다. 우리 집에는 어떤 부엌이 있을까요?



‘행복이란 거 말이야, 한 끼의 식사처럼 힘껏 씹고 빨아들여 내 몸에 스며드는 확실하고 구체적인 거라면 얼마나 좋을까? 세 끼의 식사처럼 가족이 함께 치르는 일상적이고 평화로운 의식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먼 미래에 차려질 요리를 기다리는 허기지고 고생스런 일인 걸까.’ (83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맛의 달인 48 - 단란한 식탁
카리야 테츠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시렁 45


맛의 달인 48

 테츠 카리야 글

 하나사키 아키라 그림

 김미정 옮김

 대원씨아이

 2000.6.27.



  너무 마땅한데, 제가 누리는 맛은 우리 어머니하고 아버지가 물려준 맛에 제 나름대로 걸어온 길에서 이룬 맛입니다. 우리 아이들이 누리는 맛은 저랑 곁님이 물려주는 맛에 아이들 나름대로 걸어가는 길에 이루는 맛입니다. 똑같은 맛을 물려줄 수 없고, 똑같은 맛을 물려받을 수 없어요. 늘 다른 맛을 물려주거니 물려받거니 합니다. 날마다 새로운 맛을 누리고 나누면서 살아갑니다. 이 다른 맛이 사뭇 달라서 즐겁고 새로운 줄 느낄 적에는 어깨동무하면서 웃음으로 배웁니다. 이 다른 맛이 그저 싫어 툭탁거린다면 네가 옳으니 내가 좋으니 맞붙으면서 나란히 달릴 테지요. 《맛의 달인》 마흔여덟걸음은 한집에서 새로 살아가는 두 사람이 처음으로 하루 내내 달라붙어 살아가면서 누리거나 나누는 맛이란 무엇인가를 짚습니다. 이제 ‘좋다 싫다’를 넘어서야 할 두 사람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낫다 모자라다’도 넘어서야 할 살림살이 이야기를 다루지요. 그러면 어떤 길을 가야 할까요? 이제껏 다르게 살면서 이 다른 멋 때문에 만나고 사귀며 마음을 모으려는 두 사람은 어떤 길을 새로 지을 만할까요? ㅅㄴㄹ



“결혼이란 다른 가정에서 자라난 두 사람이 양가의 맛과 관습을 가져와, 새롭게 자신들의 맛과 관습을 만들어 가는 거잖아요?” (24쪽)

“난 손님과 먹거리를 통해 함께 기쁨을 나누게 되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62쪽)

“기운이 나지 않는 것을 먹고, 그래서 얻었다고 생각한 깨달음 따위, 마늘 한쪽만 먹으면 당장에 무너져버릴 깨달음입니다.” (133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마 철학자 소라와 플라톤 2
타나카노카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만화책시렁 44


《꼬마 철학자 소라와 플라톤 2》

 타나카노카

 송수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3.6.15.



  아이하고 살아가며 아이가 들려주는 말을 새삼스레 배웁니다. 어버이로서 아이한테 말을 가르치기도 하지만, 아이한테서 배우기도 합니다. 아이는 어버이한테서 말이랑 삶이랑 사랑을 물려받으면서 배울 뿐 아니라, 즐거이 물려받거나 배운 말이랑 삶이랑 사랑을 새로 가꾸어서 어버이한테 고스란히 베풀어요. 《꼬마 철학자 소라와 플라톤》은 여덟 살 어린이가 이웃 어른하고 말을 섞는 동안 삶이랑 사랑을 새롭게 바라보도록 이끄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웃 어른은 큰맘먹고 도시로 가서 뜻을 펴겠노라 했지만 쓴맛을 실컷 보고 시골 외딴집으로 돌아와서 조용히 지내려 하는데, 이때에 불쑥 어린이가 찾아들어 이야기를 하고 자주 어울려 지내요. 축 처진 채 조용히 처박히려던 이웃 어른은 아이가 들려주는 말을 찬찬히 들으면서 천천히 기운을 북돋웁니다. 그리고 ‘어른이면서 아이라는 숨결을 함께 품은 사람’으로서 이제부터 앞으로 한 걸음씩 씩씩하게 내딛겠노라 생각합니다. 아이가 베푸는 힘이랄까요. 아이도 어른도 어깨동무를 하면서 한 걸음씩 내딛는 살림이랄까요. 아이 곁에서 손을 내밀어 봐요. 어마어마한 기운이 서로 흐르면서 흐뭇합니다. ㅅㄴㄹ



“소라는 그 책가방을 물색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진짜 물은 투명한데 왜 색으로는 물색이 될까 생각하면 머리가 빙글빙글 어지러워져서 왠지 좋았어요.” “하늘(空)은 비었다는 뜻도 있잖아. 그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는 중간색이라서 좋아.” “근데 똑같은 색을 하늘색이라고 부르면서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니. 그렇다면 이 세상에 있는 말은 화내는 것도, 웃는 것도 보기에는 다 다르게 보이지만, 사실은 다 똑같은 말을 하고 있는 건지도 몰라요. ‘좋아해’라고.” (69∼70쪽)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