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만 3형제 방랑기 사계절 그림책
신동근 지음 / 사계절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11.

그림책시렁 1237


《잘만 3형제 방랑기》

 신동근

 사계절

 2019.7.8



  《잘만 3형제 방랑기》는 ‘오늘날에 딱 맞춤한 옛이야기를 맛깔나게 비틀고 버무린 그림책’이라고 하는데, 고개를 갸우뚱했습니다. 다만, 이 그림책에 드러나는 멧골에 ‘나무가 없거나 드문 모습’은 오늘날에 대면 그대로 들어맞는구나 싶을 뿐입니다. 옛날 옛적은 온누리가 ‘숲’이었는데, 숲을 이룬 멧골을 보거나 겪거나 누린 적이 없으면, 멧자락도 나무도 그림으로 못 담습니다. 풀꽃나무하고 함께 살아가지 않으면서 풀꽃나무를 그리지는 못 하거든요. 지난날에는 ‘사람 사는 마을’이 아주 작았고, 뭇새가 한껏 어우러졌고, 온갖 풀벌레에 들짐승이 같이 살았습니다. 그러나 이 그림책을 들추면 그냥그냥 ‘오늘날 서울 한켠’ 같은 얼거리입니다. 옛이야기를 ‘비틀어’서 ‘서울맛’을 내는 그림책이 나쁠 일은 없습니다만, 저마다 다른 아이들이 저마다 다르게 꿈을 품고서 저마다 다르게 삶을 지은 숨결을 헤아리지 않고 ‘비틀’기만 할 적에는 무슨 줄거리를 들려줄 수 있을까요? ‘버무림’하고 ‘얼버무림’은 다릅니다. 얼렁뚱땅 짜맞추는 옛이야기로 가볍게 웃기는 틀을 짤 수 있습니다만, 삶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스스로 배우는 숨결이 없다면, 한갓 붓재주에 그칠 뿐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세트 할머니 인생그림책 20
로이크 클레망 지음, 안 몽텔 그림, 이세진 옮김 / 길벗어린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11.

그림책시렁 1239


《쇼세트 할머니》

 로이크 클레망 글

 안 몽텔 그림

 이세진 옮김

 길벗어린이

 2023.3.25.



  지난날에는 어느 집이나 다같이 살았습니다. 사랑으로 맺는 두 사람은 아기를 낳고, 아기는 무럭무럭 자라 새롭게 짝을 찾거나 단출히 어버이 곁에서 보금자리를 이뤄요. 아기를 낳은 어버이는 어느새 할매할배라는 자리에 서고, 아이들은 어버이로 자라면서 새 아기가 태어납니다. 늙음도 젊음도 어림도 없이, 저마다 다르면서 하나인 살림살이를 여미던 보금자리를 오래 이었는데, 이제는 이 보금자리가 가뭇없이 사라지고 서울살이(도시생활)만 남습니다. 《쇼세트 할머니》는 서울살이 한켠을 보여줍니다. 함께 가꾸던 살림길을 나눌 한집안이 없는 할머니는 차츰 마음 깊이 잠기고, 이웃집이라 하더라도 ‘우리 집’이 아닌 만큼 더 다가서지는 않습니다. 오늘날 서울을 돌아보면 알 만합니다. 칸칸이 겹겹이 높다랗게 올린 잿집(아파트)은 처음부터 ‘이웃’을 끊었습니다. 어쩌다가 마주칠 수는 있되, 마을살이도 살림살이도 아닌 틀이에요. 한집안을 이루는 할머니를 바라보지 못 하는 아이들은 앞으로 어떤 할매할배로 설까요? 아니, 어떤 어버이나 어른으로 클까요? ‘늙어감 + 죽음’만 잿빛으로 남은 곳에서 어떤 아이가 꿈하고 사랑을 그릴 수 있는지요?


#AnneMontel #LoicClement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리에 뿔이 났어요 소년한길 유년동화 8
데이비드 스몰 글 그림, 김종렬 옮김 / 한길사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그림책 2023.7.9.

그림책시렁 1260


《머리에 뿔이 났어요》

 데이비드 스몰

 김종렬 옮김

 소년한길

 2002.4.15.



  아이가 “머리에 뿔이 났어요!” 하고 말한다면 “그래, 뿔이 났구나. 그런데 불은 안 났니?” 하고 되묻겠습니다. 아이가 등에 “멋진 날개가 돋았어요!” 하고 말한다면 “그래, 날개가 돋았구나. 그런데 더듬이는 안 났니?” 하고 되묻겠습니다.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기도 하고, 앓기도 하고, 넘어지기도 하고, 다치기도 합니다. 언제나 새롭게 온하루를 맞아들이면서 실컷 뛰놉니다. 우리가 어른이나 어버이라면 ‘아이로서는 놀이터요 어른으로서는 살림터인 보금숲’을 일굴 노릇입니다. 오직 이 하나입니다. 다른 자잘한 수렁은 마음에 담지 말아요. 우리는 시골에서든 서울에서든 ‘놀이터 + 살림터 + 숲 = 보금숲’이라는 집을 가꾸면서 사랑을 지을 만합니다. 《머리에 뿔이 났어요》를 읽으면, ‘이모겐’이라는 이름인 아이는 집에서 엄마아빠랑 함께 놀고 얘기하고 싶은데, 엄마아빠는 아이를 안 쳐다봅니다. 집안일을 남한테 맡기고, 아이돌봄도 남한테 맡기는 엄마아빠예요. 그런데 오늘날 우리도 매한가지입니다. 아이들은 ‘학교·학원’에 맡길 뿐이고, 도시락을 안 싸고 ‘두레밥(급식)’에 내맡겨요. 낳기는 했되, 함께 보내는 하루가 없다면, 아이한테 어른이란 뭘까요?


ㅅㄴㄹ


#DavidSmall #ImogenesAntlers


《머리에 뿔이 났어요》(데이비드 스몰/김종렬 옮김, 소년한길, 2002)


머리에 뿔이 나 있는 거예요

→ 머리에 뿔이 났어요

1쪽


이모겐의 엄마는 기절하고 말았어요

→ 이모겐 엄마는 벌렁 누웠어요

→ 이모겐 엄마는 까무라쳤어요

7쪽


도넛을 만들어 주었어요

→ 고리빵을 구워 주었어요

→ 동글빵을 구워 주었어요

1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 높이 날기 꼬마곰 달곰이
프랭크 애시 지음, 김서정 옮김 / 마루벌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2023.7.9.

그림책시렁 1184


《하늘 높이 날기》

 프랭크 애시

 김서정 옮김

 마루벌

 2007.2.12.



  새가 어떻게 하늘을 나는지 알거나 배우고 싶다면, 새가 살아가는 터전에서 새랑 함께 살아가면 됩니다. 나비가 어떻게 꿀을 찾고 가볍게 바람을 타면서 춤추는지 알거나 배우고 싶다면, 나비가 살아가는 터전에서 나비랑 오순도순 지내면 됩니다. ‘배움’이란 ‘삶으로 받아들임’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바보’인 줄 기꺼이 받아들이는 마음일 적에 ‘배워’요. 스스로 ‘똑똑하다(잘 안다)’고 여기면 하나도 못 배웁니다. 달곰(Moonbear)이 즐겁게 하루를 노는 이야기를 들려주는 《하늘 높이 날기》인데, 워낙 “Moonbears Bargain”으로 나온 그림책입니다. 책이름을 왜 바꿨을까요? 책이름을 엉뚱하게 바꾸니 옮김말도 뜬금없이 바꿀밖에 없습니다. 달곰이는 새랑 ‘흥정’이나 ‘주고받기’를 합니다. 우리말로는 ‘주고받다’가 어울릴 만합니다. 내가 너한테 하나를 알려줄 테니 너도 나한테 하나를 알려주렴, 하면서 둘이 놀거든요. 곰이랑 새는 함께 노는 마음으로 하나입니다만, ‘몸’이 워낙 다르다고 여겨서 둘은 서로서로 ‘잘 한다’고 여기는 길을 애써 알려주려고 하지만, 서로서로 ‘못 배우고 못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둘은 이렇게 놀면서 바람빛에 살림빛에 사랑빛을 가만히 느끼고 알아차리게 마련입니다.


#Moonbear #MoonbearsBargain #FrankAsch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arlie and Lola: We Honestly Can Look After Your Dog (Paperback) Charlie and Lola 4
로렌 차일드 지음 / Puffin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9.

그림책시렁 1168


《We honestly can look after your dog》

 Lauren Child

 PUFFIN

 2005.



  우리는 우리말을 아주 모른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말 한 마디를 낱낱이 헤아리지 않기 일쑤이거든요. 이웃나라 사람하고 영어로 말을 나눌 적에 아무 낱말(영어)이나 섞으면 안 되듯, 우리끼리 나누는 말에도 아무 낱말(우리말)이나 섞을 수 없습니다. 말뜻이 어긋나기도 하지만, 마음에 얹는 생각이 뒤틀릴 수 있어요. 저는 으레 “아이들을 ‘믿지’ 않는다” 하고 말하지만, 이 말을 제대로 알아듣는 이웃이 드뭅니다. ‘믿다·밀다’가 말밑이 같은 줄 모르기도 하거니와, ‘믿다’는 ‘앞뒤를 가리지 않고 기우는 몸짓’인 줄 읽지 못 하기도 합니다. 저는 늘 “아이들을 ‘믿기’보다는 아이들 ‘보고(바라보고·살펴보고·들여다보고·마주보고)’ 듣는다”고 얘기합니다. 《We honestly can look after your dog》는 한글판으로는 《나도 강아지 돌볼 수 있어》로 나왔습니다. 우리말 ‘돌보다’하고 영어 ‘look after’가 만납니다. 이 대목을 잘 읽어야 합니다. ‘돌보다’는 ‘돌아보다’를 줄였습니다. ‘돌봄’이란 “두루 봄”을 가리켜요. 우리는 서로 돌볼 뿐입니다. 서로 ‘하나하나 본다’입니다. 사랑은 늘 스스로 길어올립니다. 삶은 늘 스스로 짓습니다. 어버이는 아이를 안 키웁니다. 아이들이 스스로 자랄 뿐입니다. 어버이는 늘 ‘돌보’거나 ‘보살필’ 뿐입니다. 어버이가 할 일은 ‘봄’입니다.


ㅅㄴㄹ


#나도강아지돌볼수있어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