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만한 책은 언젠가 읽는다
책을 잔뜩 사들이기만 하고 제대로 읽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나는 달리 생각한다. 책은 언제나 사야 할 때가 있다. 예나 이제나 모든 책이 언제나 새책방 책시렁에 놓이지는 않는다. 또한, 모든 책은 헌책이 되어 헌책방으로 들어오지만, 헌책방에 들어오는 책이 오랫동안 책시렁에서 조용히 잠들기만 하지 않는다. 새책이든 헌책이든 바로 오늘 아니라면 장만할 수 없다. ‘책을 읽을 때’처럼 ‘책을 살 때’가 있다. 새책방에서 사라진 뒤 땅을 치면 무엇하겠는가. 새책방에서 사라진 책이 헌책방에 들어오기까지 얼마나 오래 기다리고 싶은가.
‘책을 읽어야 할 때’는 어느 책 하나에 마음이 꽂힐 때이다. 그리고, 어느 책 하나를 손에 쥐어 읽으면서 ‘줄거리 훑기’가 아닌 ‘마음으로 받아들이기’를 할 수 있는 때이다. 마음으로 받아들이지는 못하고 줄거리만 훑으려 하면, 책이 얼마나 서운해 할까.
읽어치운다고 해서 책읽기가 되지 않는다. 책읽기는 ‘빨리 읽기’도 ‘천천히 읽기’도 아니다. 책읽기는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삶을 스스로 헤아리면서 ‘마음으로 읽기’이다. 그러니까, 책을 잔뜩 사들이기만 하고 정작 제대로 못 읽는다고 한다면, ‘책을 사야 할 때’는 잘 알아채거나 느껴서 이럭저럭 갖추지만, ‘책을 읽어야 할 때’는 아직 멀었다는 뜻이다. 책을 읽을 만한 눈높이와 마음가짐이 될 때까지 이 책들을 알뜰살뜰 모시면서 흐뭇하게 바라보면 된다.
애써 목돈 들여 사들인 책을 제때 못 읽는다고 뉘우칠 까닭은 없다. ‘제때’가 아직 오지 않았을 뿐이다. ‘제때’, 그러니까 ‘책을 가장 사랑스럽고 아름답게 받아들여서 읽을 마한 때’가 오기까지 찬찬히 내 마음을 갈고닦으면 된다. 날마다 내 삶을 새롭게 일구면서 언제나 즐겁게 웃으면 된다. 스스로 삶을 다스리는 동안 어느 날 어느 곳 어느 때에 어느 책을 손에 쥐면서 고운 빛이 가슴속으로 스며드는가를 시나브로 깨달을 수 있다. 4346.12.31.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책 언저리)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1231/pimg_705175124946450.jpg)